The Way of Expression of Wangreungdo(王陵圖: A Kind of A Royal Mausoleum Map) Reflected on Sanhyoungdo(山形圖: A Kind of A Mountain Map) in the Late Nineteenth Century - Centering the Drawings Relevant to Jogyoungdan(肇慶壇) of Lee Han, the Founder of Jeonju Lee Family -

19세기 후반 산형도(山形圖)로 본 왕릉도(王陵圖)의 표현방법(表現方法) -전주이씨(全州李氏) 시조(始祖) 이한(李翰)의 조경단(肇慶檀) 관련 그림을 중심으로-

  • Kim, Jeong-Moo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 Institute of Recreation and Landscape Planning,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김정문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work attempted to study the properties of expression of ground, the composition of outlook and the implications of the connotative symbolic scenery throughout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of expression content and method of the scenery, outlook, viewpoint, natural features for each drawing and intention of making 4 old maps, which had been made in the period of the Great Korean Empire and had been called 'Wansan-dohyoung(完山圖形),' 'Jogyeongdan- bigak-jaesil-dohyoung(肇慶壇碑閣齋室圖形),' 'Jeonju-geonjisan-dohyoung(全州乾止山圖形)' and 'Jogyeongmyo-gyounggijeon-dohyoung(肇慶廟慶基殿圖形),'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drawings. For this aim, observatory investigation by using a map, on-spot investigation, analysis involving the satellite images and internet were carried out with literature review simultaneously. The result of investigation could be sum up as follows. Gyounggijeon(1410), Jogyeongmyo(1771) and Jogyeongdan(1899), where are the core space to lay the historically firm foundation for securing the fact Jeonju is the home of the Royal Family of Joseon, had been built, fixed and extended for giving legitimacy to the Joseon Dynasty and a part of strengthening of royal authority. And these had played an important role of spiritual mainstay from early in the Joseon Dynasty to the era of the Great Korean Empire and had been managed and maintained continuously. It is grasped that the 4 maps consist of Sanhyuoungdo(山形圖; a kind of a mountain map), which is the map for showing a burial place of Lee Han(李翰), the founder of the Joseon Dynasty, and its auxiliary drawings and these had been drawn intensively to justify dignity and authority of the Imperial Family and the Emperor after the name of country was renamed the Great Korean Empire as a part of national undertaking. In detail, Wansan-doghyoung is the key map for announcing the existence of Jogyeong-myo, Gyounggijeon and Jogyeongdan in Jeonju and informing their locations and Geonjisan-dohyoung is the map of divination based on topography for highlighting the geomantic justification of the founder's mausoleum. Jogyeongdan-bigak-jaesil-dohyooung is the partial map detailing for Geonjisan-dohyoung. Jeonju-geonjisan-dohyoung and Jogyeongmyo-gyounggijeon-dohyoung had employed the binary reduced scale and the bird-eye view method and in the above maps, Geonji Mountain is the main mountain and these maps make an exaggeration of the main geographical features, centering Wangjabong and Euimyoso, unlike the real geographical features. Also, the other main geographical features, which are found in the burial place, are expressed in detail by changing the view. In the point of view of 1 set being consisted of 4 maps, 'Wansan-dohyoung' has the property not only as Gunhyoundo, which Gun and Hyoun mean a unit of the administrative district, respectively and Gynhyoundo is a kind of the map for recording their locations, but also as the map of showing their locations. On the other side, 'Jogyoungmyogyounggijeondohyoung' is a kind of lay-out drawing as a partially detailed map.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out that 'Jeonju-geonjisan-dohyoung' and 'Jogyeongdan-bigak-jaesil-dohyoung' is not only Pungsu- hyounggukdo having the function of Sanhyoungdo but also a detail drawing. On the base of these properties, it is considered that the functionality as a serial map had been strengthened, unlike the existing old maps.

본 연구는 대한제국기에 그려진 '완산도형(完山圖形)', '조경단비각재실도형(肇慶壇碑閣齋室圖形), '전주건지산도형(全州乾止山圖形)' 그리고 '조경묘경기전도형(肇慶廟慶基殿圖形)' 등 4매 고지도의 제작의도 및 각 도형의 경관, 조망, 시점, 경물 등의 표현내용 및 방법의 특성을 고찰하고 도형 상호간의 관련성 분석을 통해 지형표현의 특질과 조망구도 그리고 내포된 상징경관의 의미를 고찰할 목적으로 시도되었으며, 문헌조사와 병행, 지도를 통한 관찰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현장조사 위성사진 인터넷조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주가 조선왕실의 본향이라는 역사성을 확보하는데 중심적 공간인 경기전(1410) 조경묘(1771) 조경단(1899)은 왕조의 정통성 부여와 왕권강화의 일환으로 건립 중건되었고 조선왕조 초기부터 대한제국시기까지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하면서,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되었다. 4개 도형은 국호를 대한제국으로 변경한 후 황실과 황제의 위엄성과 당위성을 정당화하기 위해 국가적 차원에서 집중적으로 그려진 조선왕실의 시조 이한(李翰)의 묘소를 알리는 산형도(山形圖)와 그에 부속되는 보조도면으로 파악된다. 즉 완산도형은 전주부에서 조경묘, 경기전, 조경단의 존재를 알리고 그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키맵(key map)이며 건지산도형은 풍수국면도로서 시조묘의 풍수적 정당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으로, 조경단비각재실도형은 이를 보다 세밀히 보여주기 위해 상세부분도로서 그려졌다. 전주건지산도형과 조경묘경기전도형은 공히 이원적축적과 부감법을 사용하고 주산을 건지산으로 삼고, 왕자봉과 의묘소(疑墓所)를 중심으로 중요지형을 실제 지형보다 과장해서 표현하였다. 또한 묘지에서 관찰되지 않는 중요 지형은 시점 이동을 통해 관찰하고 이를 세밀하게 표현하였다. 4벌 1조의 지도라는 측면에서 볼 때 '완산도형'은 군현도이며 위치도의 성격을 보이는 반면 '조경묘경기전도형'은 부분상세도로서 배치도로써의 기능을 보인다. 또한 '전주건지산도형'과 '조경단비각재실도형'은 산형도로서의 기능을 갖는 풍수형국도이자 상세도인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볼 때, 기존 고지도와는 달리 연계도면(serial map)으로서의 기능성이 강화된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중앙박물관미술부(2006). 청록산수, 낙원을 그리다.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2. 권정은(2008). 朝鮮時代 古地圖에 나타난 繪畵性에 관한 硏究.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기혁(2007). 우리나라 고지도의 연구동향과 과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3): 301-320.
  4. 김성희(2010). 규장각 소장 <도성도(都城圖)>의 산세 표현. 한국고지도 연구. 2(1): 27-45.
  5. 김정문(2001). 경기저 건축공간의 토지이용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5, p58
  6. 박정혜, 이예성, 양보경(2005). 조선왕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서울: 민속원.
  7. 안선호, 홍승재(2007). 조선시대 태조 진전의 건축 특성과 공간 구성.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계획계. 23(7): 223-232.
  8. 양보경(2009). 상징경관으로서의 고지도 연구. 문화 역사 지리. 21(1): 95-104.
  9. 위창조(1747). 北道陵殿誌.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자료.
  10. 이예성(2005a). 19세기 특정한 지역을 그린 고지도와 회화: 장서각 소장 고지도를 중심으로. 조선황실의 행사그림과 옛지도. 서울: 민속원. pp. 53-68.
  11. 이예성(2005b). 조선 후기의 왕릉도. 조선왕실의 미술문화. 서울: 대원사. pp. 203-234.
  12. 이욱(2006).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 종교지형의 근대적 변화, 대한제국기 황실의 존숭과 조경단 건립.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13. 이욱(2010). 조경묘와 조경단: 전주시.전주역사박물관 "제9기 전주학 시민강좌, 경기전과 조선왕실제례". 전주: 홍디자인.
  14. 이형윤, 성동환(2010). 풍수서 '地理人子須知'산형의 지형표현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6(1): 1-15.
  15. 이형윤, 성동환(2011). 조선시대 족보(族譜)에 게재된 산도(山圖)의 특성과 지형표현: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와 潘南朴氏世譜를 중 심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7(1): 40-57.
  16. 임진영(1999). 조선전기 왕실 사묘건축의 전개과정과 건축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진영(1999). 조선초기 왕실사묘건축의 전개과정과 건축구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전주시, 전주역사박물관(2010). 제9기 전주학시민강좌, 경기전과 조선왕실제례. 전주: 홍디자인.
  19. 전주역사박물관(2004). 지도로 찾아가는 도시의 역사: 전주의 도시형성과 공간구조의 변화. 전주: 신아출판사
  20. 전주역사박물관(2011). 조선왕실의 뿌리, 조경묘와 조경단.
  21. 전주역사박물관, 어진박물관(2011). 조선왕실의 뿌리, 조경묘와 조경단. 전주: 홍디자인.
  22. 조인수(2006). 전통과 권위의 표상: 고종대의 태조 어진과 진전. 미술사연구 제20호
  23. http://www.surname.info/i/jeon_ju.html
  24. Daum 위성사진.
  25. http://blog.naver.com/lsb8666.doclass='lime'target=_blank> Acorealog: 밝달의 지식자료관館
  26. http://cafe.daum.net/FenShui/QUK9/2?docid
  27. http://lk0332.blog.me/130027954325
  28. http://lk0332.blog.me/130027954325
  29. http://www.oneclick.or.kr/contents/nativecult/area09.jsp?cid=55662
  30. PDF/AdobeAcrobatportal.nricp.go.kr/kr/data/mkr/original/download.jsp?no=1250&mo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