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 연곡면 유등리 '유상대(流觴臺)' 곡수로(曲水路)의 조명(照明)

A Study on the Yousang-Dae Goksuro(Curve-Waterway) in Gangneung, Yungok-Myun, Yoodung Ri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이정한 (우석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허준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박주성 (고려대학교 조경학연구실)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Lee, Jung-Han (Graduate School of Landscape Architecture, Woosuk University) ;
  • Huh, J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Park, Joo-Sung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 Korea University)
  • 발행 : 2012.03.31

초록

본 연구 대상인 강원도 강릉시 연곡동 유등리 뱀골 하류의 너럭바위에 새겨진 '유상대(流觴臺)' 각자와 암각바둑판은 이곳이 유상곡수 놀이와 신선 풍류 행위가 이루어졌던 풍류처임을 확인시켜 준다. 3차에 걸친 정밀답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통일신라 헌강왕 원년(875)에 도운(道雲)에 의해 창건되었으나 조선 중기 이후 폐허가 되었고, 1954년에 재건된, 백운사 경내에 새겨진 '만월산 백운동천(萬月山白雲洞天)'이란 암각서는 뱀골 계곡에 선도적(仙道的)풍류와 선비문화의 전통이 면면히 스며있음을 보여주는 소중한 단서이다. 최백순이 1934년 편찬한 강릉의 읍지인 동호승람 제2권에 인종원년(1545)을 전후하여 '남전현(籃田縣)의 백운사는 율곡 이이, 성제 최옥 등 명유(名儒)의 강례처(講禮處)'라고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이 공간이 유서 깊은 공간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동호승람과 완역 증보임영지에 기술된 무오년, 즉 철종9년(1858) 김윤경(金潤卿)이 창건한 백운정(白雲亭)의 존재를 통해 누정 및 동천 경영의 흔적을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유상대 각자 바위 계류 건너 입석에 새겨진 '백운정동천(白雲亭洞天)' 암각서는 백운정 건립 3년 뒤인 철종12년(1861)에 조성되었으며, 유상대와 매우 깊은 연관성이 있는 상징적 표식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정황과 입지성을 전제로 유상대 곡수유구 흔적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유상대 주변 계류 및 암반에는 수량과 유속을 조절하기 위한 세분석(細分石)과, 유로와 잔을 가두기 위한 홈인 금배석(擒盃石)과 유배공(留盃孔)의 조탁 흔적 등을 발견하였다. 더불어 하단 암벽에서 '오성(午星)'이란 명기 아래 23인명의 각자를 발견하게 됨에 따라 이곳이 20C중반까지 유상곡수연의 성격을 갖는 풍류 문화경관의 거점임을 확신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 공간에서는 적어도 20세기 중반까지 유상대를 중심으로 한 선비 풍류의 문화가 전승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는 '유 불 선(儒 彿 仙)이 습합된 독특한 역사문화공간'이란 측면에서도 심도 있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본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23인명의 정체와 유상대 각자 주체 파악 등 유상곡수 등 풍류행위를 기록한 자료 발굴 등을 통해 본 공간의 성격을 보다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기록에 전해지는 암각장기판 또한 발굴되어야 할 것으로 보이는 바, 현재 콘크리트포장 도로의 파쇄를 통한 추가 유적의 발굴 및 노선 변경 등 원형경관 회복방안 또한 시급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The object of the study, Yousang-Dae(流觴臺) and engraved Go broad text on the flat rock in Gangneung-si Yungok-myun Yoodung-ri Baemgol, reveals that the place was for appreciating arts like Yusang Goksu and Taoist hermit's games. three times of detail reconnaissance survey brought about the results as follows. There is a the text, Manwolsan(滿月山) Baegundongcheon(白雲洞天), engraved on the rock in Baegunsa(白雲寺) that had been built by Doun at the first year of King Hungang(in 875) of the United Shilla, became in ruins in the middle of Joseon, and then was rebuilt in 1954. The text is an invaluable evidence indicating that the tradition of Taoist hermit and Sunbee(classical scholars) culture has been generated in Baemgol Valley. According to the 2nd vol. of Donghoseungram(東湖勝覽), the chronicle of Gangneung published by Choi Baeksoon in 1934, there is a record saying that 'Baegunsa in Namjeonhyeon is the classroom where famous teachers like Yulgok Lee Yi or Seongje Choi Ok were teaching' that verifies the historic property of the place.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Nujeong(樓亭) and Dongcheon can be traced through Baegunjeong(白雲亭) constructed by Kim Yoonkyung(金潤卿) in Muo year, the 9th year of Cheoljong(1858) according to Donghoseungram and the completed version of Jeungboyimyoungji(增補臨瀛誌). Also, Baegundongdongcheon(白雲亭洞天), the text engraved on the standing stone across the stream from Yousang-Dae stone, was created 3 years after the Baegunjeong construction in the 12th year of Cheoljong(1861), which refers a symbolic sign closely related with Yousang-Dae. Based on this premise and circumstance, with careful studying the remains of 'Yusang-dae' Goksuro, we discovered that the Sebun-seok(細分石) controling the amount and the speed of moving water and the remains of furrows of Keumbae-soek(擒盃石) and Yubae-gong(留盃孔) containing water stream with cups through the mountain stream and rocks around Yusang-Dae. In addition, as 21 people's names engraved under the statement of 'Oh-Seong(午星)' were discovered on the bottom of the rock, this clearly confirms that the place was one of the main cultural footholds of tasting the arts which have characteristics of Yu-Sang-Gok-Su-Yeon(流觴曲水宴)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t implies that the arts tasting culture of Sunbees had been inherited centering on Yusang-dae in this particular place until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t is necessary to be studied in depth because the place is a historic and unique cultural place where 'Confucianism, Buddhism, and Zen'were combined together.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udy, the identification of 23 people as well as the writer of Yusang-Dae text should be carefully studied in depth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through gathering data about appreciation of arts like Yusanggoksu. Likewise, we should make efforts to discover the chess board engraved on the rock described on the documents, thus we should consider to establish plans to recover the original shape of the place, for example, breaking the cement pavement of the road, additional excavation, changing the existing route, and so fourth.

키워드

참고문헌

  1. 江陵金氏大同譜.
  2. 江陵崔氏文漢系族譜.
  3. 강릉문화원(1997). 完譯增補臨瀛誌.
  4. 강릉문화원(1998). 江陵祠宇資料集.
  5. 강릉문화원(2001). 國譯東湖勝覽.
  6. 강릉문화원(2008). 강릉고을 땅이름 유래. 강릉: 전진인쇄소. pp. 160-176, 463-473.
  7. 국립전주박물관(2011).
  8. 김기설(1992). 강릉지역 지명유래. 강릉: 인애사.
  9. 김정식, 김재식, 김정문(2008). 七狂圖에 표현된 경관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30-37.
  10. 노재현, 신상섭(2010). 중국과 한국의 유상곡수 유배거 특성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4(2): 1-14.
  11. 박주성(2011). 전통 조경적 관점으로 본 암각 바둑판의 입지와 장소 특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신상섭(1997). 우리나라의 유상곡수연 유구(곡수거)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5(1): 133-141.
  13. 윤국병(1983). 경주 포석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2): 109-121.
  14. 이성구(2004), 바둑문화유적, 석국을 찾아서 6: 강원 강릉 유상대 바둑판. 월간바둑. 38(1): 154-159.
  15. 장근식, 심은보(1996). 포석정 흐름의 역사적, 과학적 고찰. 한국전산유체공학회 춘계학술대회 학술발표자료.
  16. 최부득(2008). 건축가가 찾아간 중국정원. 서울: 미술문화. pp. 241-248, 295-303.
  17. 河原武敏(1993). 王朝文學に見る平安時代の庭園生活に關する硏究(I): 庭園での雪.月.花を契機とする私的行事と庭上の遊びに就いて. 日本庭園學會誌. 1(1): 6-16.
  18. 中根金作(1986). 曲水考. 造園雜誌. 49(4): 246-254.
  19. 本中眞(1980). 古代曲水宴遺構の流速について. 造園雜誌. 43(3): 25-30.
  20. Rho, JaeHyun, Cheol Gi Kang and Kyu Wan Lee(2010). A study on the Goksu(curve-stream) banquet remains in China: Focused on Goksugeo and Nanjeonggyehoedo since Jin(晉) dynasty.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8: 10-18.
  21. http://blog.chosun.com/padosori/4252370
  22. http://local.daum.net/map/index.jsp?from=total&sw=&oldw=&nil_suggest=btn&radius_level=0&tab=place&q=%B0%AD%BF%F8%20%B9%E9%BF%EE%BB%E7
  23. http://www.soswaewo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