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se Study of Remidation and Investigation of Closed Unsanitary Landfill for Prevention of Leachate

비위생매립지 정밀조사 및 침출수 방지를 위한 정비방안 연구

  • Published : 2012.01.01

Abstract

For the last decade the amount of waste has rapidly been increased in South Korea and many waste landfills have been built according to government guidelines specifying required systems such as landfill liner, leachate collecting facilities, final cover system, etc. This effort has led the recently constructed landfills to be under well managed sanitary condition. In a meanwhile closed waste-landfill sites in the past before the adoption of the government guidelines exits under unsanitary condition. In these cases untreated leachate flew out to the surroundings due to the absence of liner and leachate collecting facilities and caused groundwater and soils to be contaminated. Waste generated odor and gas also brought civil complaints. Because environmental influences bring serious problems nearby sites, it is required to have unsanitary waste-landfills to be appropriately treated and managed. A study to evaluate environmental influence and contamination level of surroundings nearby and on the unsanitary landfills is necessar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Management guide of closed landfill site." This paper presents an environmental evaluation for the closed site, Doil-dong landfill, according to "Closed landfill management regulation" by Ministry of Environment. "D" landfill, located in Pyeongtaek city, has possobility to contaminate surrounding surfacewater and groundwater by leakage of leachate. The in-situ stabilization carried out to build the DMW(deep soil mixing cutoff wall) wall and drainage systems.

지난 10년 동안 폐기물의 발생량이 크게 증가하여 매립지의 숫자가 급증하고 있으며 건설되는 폐기물 매립지는 차수층, 침출수 집배수층 및 최종복토층 등을 갖춘 위생매립지이며 폐기물관리법의 기준을 만족하는 처리시설로 건설된다. 그러나 과거 매립지는 차수막이 설치되어 있지 않는 단순 비위생 매립지의 형태로써 침출수 발생에 의한 지하수 및 지표수 수질오염과 토양오염을 지속적으로 유발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위생 형태의 사용종료매립장은 주변 지하수 및 토양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으므로 환경부에서는 침출수 처리 및 사후관리가 미흡한 사용종료 매립지에 대하여 '사용종료매립지 정비지침'을 제정하여 관리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평택시에 위치한 D 사용종료 비위생 매립장에 대하여 정비지침의 안정화도 조사기법에 따라 정밀조사를 실시하여 환경적 평가를 수행하였다. D 매립지의 경우, 침출수의 외부누출 등으로 주변 지표수 및 지하수를 오염시킬 수 있어 우수배제시설 및 심층혼합공법시설을 설치하여 현지안정화 사업을 수행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오, 김태경, 김미화, 김문일(2009), 선별이적처리를 통한 사용종료 비위생매립지 정비방안 연구,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 10, No. 1, pp. 15-23.
  2. 신은철, 박정준(2009), 최신 지반환경공학, 씨아이알, pp. 89-90.
  3. 이재영, 정문경, 고재만(1999), 연직 차수벽을 이용한 폐기물 매립지 침출수 오염제어 사례연구, 한국토양환경화학지, Vol. 4, No. 3, pp. 163-174.
  4. 정준교, 장정희, 오승훈(2006), 비위생매립지 규모에 따른 정비방안, 대한토목학회지, Vol. 54, No. 4, pp. 54-60.
  5. 정하익(1998), 지반환경공학, 유림출판사, pp. 286-288, p.
  6. 평택시(2003), 평택시 사용종료매립지 정밀조사 용역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122-144.
  7. 평택시(2007), 평택시 도일동 비위생매립지 주변환경영향 종합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72-94.
  8. 한국토지공사(2007), 매립폐기물 처리 매뉴얼,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pp. 35-36.
  9. 현재혁(2002), 사용종료 매립지의 개선방안과 현장 적용사례, 2002 지반환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p. 201-204.
  10. 홍상표, 김광렬(2005), 사용종료된 비위생매립지의 매립가스 안정화 평가 -실미매립지 사례연구-, 한국환경영향평가지, Vol. 14, No. 6, pp. 365-375.
  11. 환경부(2009), 2009년 전국 생활폐기물 매립시설 운영현황.
  12. 환경부(2003), 사용종료매립지 관리대상별 현황.
  13. 환경부(2001), 사용종료매립지 정비지침.
  14. 환경부(2010), 사용종료매립지 정비지침.
  15. 환경부(2004), 수질오염공정시험법.
  16. 환경부(2011), 지하수의 수질보전 등에 관한 규칙 [별표 4] 지하수 수질기준.
  17. 환경부(2002),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18. 환경부(2011),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별표 3] 토양오염 우려기준.
  19. 환경부(2007), 폐기물공정시험방법.
  20. 환경부(2011),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 지정폐기물에 함유된 유해물질.
  21. 환경부(2011), 폐기물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11] 폐기물처리 시설의 관리기준.
  22. 환경부(2011), 환경정책기본법 시행령 [별표 1] 환경기준.
  23. EPA Guidelines(2007), Environmental Management of Landfill Facilities(Municipal Solid Waste and Commercial and Industrial General Waste), pp. 15-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