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위생과 학생의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Dental Hygienics Students' $2{\times}2$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 정기옥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 최규일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Jung, Gi-Ok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 Choi, Gyu-Yil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Daegu Health College)
  • 발행 : 2012.08.31

초록

본 연구는 치위생과 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자기조절학습을 하기 위한 성취목표지향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적응적인 성취목표지향을 유도하기 위한 수업 환경을 제안하고자 대구 충북지역의 소재하는 치위생과 재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 지향성 및 자기조절학습 능력 및 영향력을 일원다변량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알아보았다. 전체 여대생들의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 가운데 숙달접근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수행접근, 숙달회피, 수행회피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학년에 따른 동기조절의 경우 1학년의 내재적 가치가 2학년과 3학년의 내재적 가치에 비하여 높았고, 행동조절에 있어서 3학년의 시간과 공부조절, 조력추구는 1학년과 2학년의 시간과 공부조절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은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과 정적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하위변인 가운데 숙달접근은 내재적 가치와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고,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는 외현적 목표지향과 상관관계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 가운데 내재적 가치, 외현적 목표지향, 공부환경조절의 경우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의 모든 하위변인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기조절학습의 하위변인은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의 하위변인 가운데 숙달접근과 가장 큰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가 동기조절의 하위변인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과 숙달접근이 인지조절의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동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과 숙달접근이 행동조절의 하위변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 학습의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학업목표의 방향을 수정하고 적절한 자기조절학습의 사용을 통해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학업 성취적 요인을 분석대상으로 삼지 않았기 때문에 보다 직접적인 결론을 도출할 수 있는 없었지만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은 서로 상관성이 높기 때문에 성취목표지향성에 따라 자기조절학습이 달라질 수 있으며 두 요인을 잘 고려하면 학습자들의 성취동기를 유발하고 효과적인 학습과정을 유발할 수 있다는 기초자료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후속연구로 구체적인 학업성취도와의 관련성을 탐색하여 성취목표 지향성의 하위변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구체적인 관련성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research will target the Dental Hygienics students to identify the level and type of the $2{\times}2$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and will study how this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is related to the Self-Regulated Learning, as well as the effect on the each sub elements of the Self-Regulated Learning (SRL). Among the $2{\times}2$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of all the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skillful approach was found to be highest. In case of the adjustment of the motivation following grade, intrinsic value of the 1st grader was higher than the intrinsic value of the 2nd and 3rd graders. As for the behavior adjustment, the 3rd grader's time and studying adjustment were found to be higher. Mean while, pursuit of the cooperation was found to be high compared to the time and studying adjustment of the1st and 2nd graders. Second, intrinsic value, overt goal orientation, and studying environment adjustment among the SRL's subelements, manifest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the sub elements of the $2{\times}2$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As for the elements that affected cognition adjustment, grade and skillful approach were found to exert significant effect on the performance adjustment. As for the element that affects behavior adjustment, grade and skillful approach exerted significant effect on the sub elements of the behavior adjustment. Analysis on the effect of the achievement target orientation and SRL implies that the direction of the students' learning goal can be modified and that they can learn effectively by using the SRL appropriately. When the two elements are factored in carefully, the key findings could serve as a base data that can motivate the students, inducing effective learning proces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선, 김주현, 허예라: 의과대학생 성격과 학업성취도 비교를 통한 교육방법. 한국의학교육 17(2): 107-119, 2005.
  2. 한순미: 중다목표 관점에서의 성취목표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사용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13): 291-312, 2003.
  3. Pintrich PR, Conley AM, Kempler TM: Current issues in achievement goal theory and research. JIER 39: 319-337, 2003.
  4. Elliot AJ, McGregor H: A $2{\times}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 Pers Soc Psychol 80: 501-519, 2001.
  5. Elliot ES, Dweck CS: Goals: an approach to motivation and achievement. J Pers Soc Psychol 54: 5-12, 1988.
  6. Skaalvik E: Self-enhancing and self-defeating ego orientation: Relations with task avoidance orientation, achievement, self-perceptions, and anxiety. J Educ Psychol 89(1): 71-81, 1997.
  7. 박병기, 이종옥: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9(1): 327-352. 2005.
  8. Schunk DH, Zimmerman GJ: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 and educational application. 1st ed. Erlbaum, Hillsdale, NJ, pp. 68-71, 1994.
  9. Midgley C et al.: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s assessing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Contemp Educ Psychol 23: 113-131, 1998. https://doi.org/10.1006/ceps.1998.0965
  10. McGregorMcgregor HA, Elliot AJ: Achievement goals as predictors of achievement-relevant processes prior to task engagement. J Educ Psychol 94: 381-395, 2002.
  11. Pintrich PR: An achievement goal theory perspective on issues in motivation terminology, theory, and research. J Educ Psychol 25: 92-104, 2000.
  12. Paris SG, Paris AH: Classroom applications of research on self-regulated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36(2): 89-101, 2001.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602_4
  13. Zimmerman BJ: Attaining self-regulation: a social cognitive perspective. Handbook of self-regulation. 1st ed. Academic Press, CA, pp. 13-39. 2000.
  14. 양명희, 오종철: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과의 관련성 검토. 교육심리연구 20(3): 745-764, 2006.
  15. 권성연: $2{\times}2$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관계. 교육공학연구 24(1): 213-240, 2008.
  16. 이주화, 김아영: 학업적 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5, 2005.
  17. 정미경: 대학생용 자기조절학습 검사도구 개발. 교육평가연구 18(3): 155-181, 2005.
  18. Elliot AJ: Approach and avoidance motivation and achievement goals, Educational Psychologist 34: 169-189, 1999.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403_3
  19. Barron KE, Harackiewicz JM: Achievement goals and optimal motivation: testing multiple goal models, J Pers Soc Psychol 80(3): 260-267, 2001.
  20. 정미경: 자기조절학습과 학업성취의 관계에 관한 구조모형 검증[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99.
  21. 김영상: 자기조정학습 이론과 관련변인. 교육심리연구 9(1): 33-56, 1995.
  22. 현주, 차정은, 김태은: 학교급별 성취목표지향성이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2): 443-465, 2006.
  23. 김태은, 현주: 학교급별 학업능력에 대한 학습효능감, 학습동기화, 성취목표지향성의 효과. 교육심리연구 21(1): 185-207, 2007.
  24. Radosevich D et al.: The influence of a four-factor goal orientation model on motivational processes and performance. JABE 7(2): 114-130, 2007.
  25. Harackiwicz JM, Barron KE, Elliot AJ: Rethinking achievement goals: When are they adaptive for college students and why? Educational Psychologist 33: 1-21, 1998.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301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