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장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Subjective Awar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Industrial Workers

  • 박지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윤현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 교실)
  • Park, Ji-Hyun (Dept. of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
  • Yoon, Hyun-Seo (Dept. of Preventive Medicine Inje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12.06.30

초록

이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가 인지하는 구강 증상 및 전반적 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실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건강증진사업 및 산업구강보건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2011년 8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경상북도 소재의 대한산업보건협회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산업장 근로자 총294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중 30대가 38.9%, 여자는 20대가 39.3%를 차지하여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고 (p<.000), 근속년수는 남자가 3년 미만이 29.8%, 여자는 3-5년이 35.0%를 차지하여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5). 학력에서는 남자는 대졸 39.7%, 여자는 전문대졸 49.7% 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고(p<.000), 결혼유무에서는 남자가 미혼 57.3%, 여자는 기혼 52.1%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으며(p<.05), 가구소득에서는 남자가 200-299만원 33.6%, 여자는 300-399만원 26.4%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5). 2. 구강내 관련 증후 및 증상은 '혀 또는 입 안쪽 뺨이 욱신거리거나 아픈 경우'가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70만점에 남자가 52.34점, 여자가 51.11 점으로 남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4. 전반적 건강상태에 따른 OHIP-14는 기능적 제한영역, 신체적 동통영역, 정신적 불안영역, 신체적 장애영역, 정신적 장애영역, 사회적 장애영역 및 사회적 분리영역 모든 세부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14는 '건강한 편이다' 57.27점으로 가장 높았고, '매우 건강하다' 52.75점, '보통이다' 52.40점, '건강하지 않다' 49.24점, '매우 건강하지 않다' 42.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6. 구강내 증후 및 증상에서 따른 OHIP-14는 불편감이 적은 군에서 52.89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00), 세부적으로는 기능적 제한에서 3.61점(p=0.008), 신체적 동통에서 3.52 점(p=0.000), 정신적 불안 3.79점(p=0.000), 정신적 장애 3.90점(p=0.000), 사회적 장애 3.87 점(p=0.002), 사회적 분리에서 4.06점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 결론적으로 구강내 증후 및 증상이 적을수록,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구강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함으로써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산업장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근로자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매체와 적합한 교육방법, 구강검진과 계속구강건강관리와 같은 산업구강보건제도의 체계화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symptoms, self-rated systemic health state and oral health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oral health education geared toward industrial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4 workers who got a medical checkup in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ose who felt less inconveniences in the oral cavity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every area except physical handicaps (p<.001, p<.01). The men's OHIP-14 was higher than the women's, and the younger workers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the area of social separation(p<.01), and the married ones did in the area of physical handicaps, mental disorder and social separation(p<.05). And the workers whose household income was larger lived a bette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the areas of Psychological discomfort, physical handicaps, ment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social separation(p<.05). Those who found themselves to be generally in good health(p<.001, p<.05) and whose subjective oral health state was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in every area(p<.001, p<.05).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wareness of oral symptoms, gene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state.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지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영남지역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박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7.
  2. 이미옥, 윤현서: 부산지역 임플란트 환자의 유형 및 분포 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274-282, 2010.
  3. 이은경 등: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OHIP-14와 EQ-5D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1(2): 197-211, 2011.
  4. 장지언, 이천희: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양상 및 관련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10(5): 841-849, 2010.
  5. 장경애, 황인철: 근로자의 치아우식수에 따른 구강보건실태. 치위생과학회지 9(2): 211-217, 2009.
  6. 한국산업구강보건: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포럼. 산업구강보건학술지 13(4): 331-345, 2004.
  7. 강대성, 이흥수: 우리나라 일부 노동자의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2): 91-102, 2007.
  8. 김연화: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1): 17-23, 2009.
  9. Schou L: Oral health promotion at worksites, Int Dent J. 39(2): 122-128, 1989.
  10. 이명선 등: 65세 이상 일부 노인의 oral health impact profi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2): 210-221, 2005.
  11. Wong MC, Lo EC, McMillian AS: Validation of a Chinese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0(6): 423-433, 2002. https://doi.org/10.1034/j.1600-0528.2002.00013.x
  12.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al health. 11(1): 3-11, 1994.
  13. 이민영, 신경희: 경기도 안산시 일부지역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실태 조사연구. 치위생과학회지 3(4): 225-231, 2008.
  14. 박흥식: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리실태[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대학원 치의학과, 광주, 2003.
  15. 우희선: 산업체 근로자와 한국성인의 구강건강실태 비교 분석[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보건학과 , 광주, 2011.
  16. 유영재: 도시지역 근로자의 구강보건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0(5): 861-876, 2010.
  17. 정정옥 등: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8(1): 21-27, 2008.
  18. 장분자, 최연희: 구시 일부 근로자의 구강검진후 치과진료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위생과학회지 9(5): 579-586, 2009.
  19. 이선미 등: 일부 고등학생들의 구강관련지식과 구강건강여향지수와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10(5): 877-885, 2010.
  20. 윤현서: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행복[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김해, 2011.
  21. 김혜진: OHIP를 이용한 산업노동자의 구강건강평가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경상북도 구미시 일부 근로자를 대상으로[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5.
  22. Allen PF, Locker D: Do item weights matter?: an assessment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al health. 14(3): 133-13, 1997.
  23. 한국산업구강보건원: 근로자 구강보건관리 방안에 관한 토론회. 산업구강보건 학술지 13(4): 331-345, 2004.
  24. 오효원, 이흥수: 우리나라 일부 노동자의 구강병에 기인한 활동제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3):.423-437, 2004.
  25. Reisine ST: Dental health and public policy: the social impact of dental disease. Am J Public Health 75(1): 27-30, 1985. https://doi.org/10.2105/AJPH.75.1.27
  26. Feaver GP: Occupational Dentistry: a Review of 100 years of dental care in the workplace. J Soc Occup Mde 38(1): 41-43. 1988.
  27. 노동법: 근로자건강진단실시기준 제 17조. 노동부고시 92-9, 2006.
  28. 김현덕 등: 근로자 일반구강상병검진제도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산업구강보건학술지 12(1): 1-15, 2003.
  29. 박순주: 도시 근로자들의 구강보건관리실태와 구강검사결과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2(22): 151-159, 2000.
  30. 박경섭: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수준 및 행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천안, 2003.
  31. 문선정: 산업장근로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가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박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보건학, 익산, 2010.
  32. 노수정: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따른 구강건강실천행위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경산, 2011.
  33. 도정애: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9.
  34. 신상익: 성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35. 이은경: 농촌지역 주민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건강관련 삶의 질[박사학위논문]. 경북대 학교 대학원, 대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