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jective Awar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Industrial Workers

산업장 근로자의 주관적 인식과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 Park, Ji-Hyun (Dept. of Public Health Studies, Yeungnam University) ;
  • Yoon, Hyun-Seo (Dept. of Preventive Medicine Inje National University)
  • 박지현 (영남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윤현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 교실)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symptoms, self-rated systemic health state and oral health status of industrial workers in a bid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oral health education geared toward industrial work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4 workers who got a medical checkup in Korea Industrial Health Association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Those who felt less inconveniences in the oral cavity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every area except physical handicaps (p<.001, p<.01). The men's OHIP-14 was higher than the women's, and the younger workers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the area of social separation(p<.01), and the married ones did in the area of physical handicaps, mental disorder and social separation(p<.05). And the workers whose household income was larger lived a better quality of life related to oral health in the areas of Psychological discomfort, physical handicaps, mental disorder, social disorder and social separation(p<.05). Those who found themselves to be generally in good health(p<.001, p<.05) and whose subjective oral health state was led a better quality of life in every area(p<.001, p<.05).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awareness of oral symptoms, general health status and oral health state.

이 연구는 산업장 근로자가 인지하는 구강 증상 및 전반적 건강상태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에 관한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근로자의 구강건강을 실제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구강건강증진사업 및 산업구강보건제도 개선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며, 2011년 8월 8일부터 8월 31일까지 경상북도 소재의 대한산업보건협회에서 건강검진을 받는 산업장 근로자 총294명을 대상으로 최종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남자 중 30대가 38.9%, 여자는 20대가 39.3%를 차지하여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고 (p<.000), 근속년수는 남자가 3년 미만이 29.8%, 여자는 3-5년이 35.0%를 차지하여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5). 학력에서는 남자는 대졸 39.7%, 여자는 전문대졸 49.7% 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고(p<.000), 결혼유무에서는 남자가 미혼 57.3%, 여자는 기혼 52.1%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으며(p<.05), 가구소득에서는 남자가 200-299만원 33.6%, 여자는 300-399만원 26.4%로 남녀간의 차이를 보였다(p<.05). 2. 구강내 관련 증후 및 증상은 '혀 또는 입 안쪽 뺨이 욱신거리거나 아픈 경우'가 남녀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5).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는 70만점에 남자가 52.34점, 여자가 51.11 점으로 남자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점수가 높았다. 4. 전반적 건강상태에 따른 OHIP-14는 기능적 제한영역, 신체적 동통영역, 정신적 불안영역, 신체적 장애영역, 정신적 장애영역, 사회적 장애영역 및 사회적 분리영역 모든 세부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5). 5.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 따른 OHIP-14는 '건강한 편이다' 57.27점으로 가장 높았고, '매우 건강하다' 52.75점, '보통이다' 52.40점, '건강하지 않다' 49.24점, '매우 건강하지 않다' 42.50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6. 구강내 증후 및 증상에서 따른 OHIP-14는 불편감이 적은 군에서 52.89점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000), 세부적으로는 기능적 제한에서 3.61점(p=0.008), 신체적 동통에서 3.52 점(p=0.000), 정신적 불안 3.79점(p=0.000), 정신적 장애 3.90점(p=0.000), 사회적 장애 3.87 점(p=0.002), 사회적 분리에서 4.06점으로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00). 결론적으로 구강내 증후 및 증상이 적을수록, 전반적인 건강상태 및 구강건강상태가 좋다고 인식함으로써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이 높다고 평가되었다. 산업장 근로자들의 삶의 질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근로자 특성에 맞는 효과적인 교육매체와 적합한 교육방법, 구강검진과 계속구강건강관리와 같은 산업구강보건제도의 체계화가 필요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화: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영남지역 일부 주민들을 대상으로[박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7.
  2. 이미옥, 윤현서: 부산지역 임플란트 환자의 유형 및 분포 경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0(8): 274-282, 2010.
  3. 이은경 등: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OHIP-14와 EQ-5D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1(2): 197-211, 2011.
  4. 장지언, 이천희: 산업장 근로자의 치과의료이용양상 및 관련요인. 한국치위생학회지 10(5): 841-849, 2010.
  5. 장경애, 황인철: 근로자의 치아우식수에 따른 구강보건실태. 치위생과학회지 9(2): 211-217, 2009.
  6. 한국산업구강보건: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리 프로그램에 관한 포럼. 산업구강보건학술지 13(4): 331-345, 2004.
  7. 강대성, 이흥수: 우리나라 일부 노동자의 구강병으로 인한 노동손실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1(2): 91-102, 2007.
  8. 김연화: 울산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보건지식과 행태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9(1): 17-23, 2009.
  9. Schou L: Oral health promotion at worksites, Int Dent J. 39(2): 122-128, 1989.
  10. 이명선 등: 65세 이상 일부 노인의 oral health impact profile의 타당도 및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9(2): 210-221, 2005.
  11. Wong MC, Lo EC, McMillian AS: Validation of a Chinese vers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30(6): 423-433, 2002. https://doi.org/10.1034/j.1600-0528.2002.00013.x
  12. Slade GD, Spencer AJ: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al health. 11(1): 3-11, 1994.
  13. 이민영, 신경희: 경기도 안산시 일부지역 산업체 근로자의 구강보건실태 조사연구. 치위생과학회지 3(4): 225-231, 2008.
  14. 박흥식: 근로자의 구강건강관리실태[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대학원 치의학과, 광주, 2003.
  15. 우희선: 산업체 근로자와 한국성인의 구강건강실태 비교 분석[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보건학과 , 광주, 2011.
  16. 유영재: 도시지역 근로자의 구강보건 행태에 관한 연구. 한국치위생학회지 10(5): 861-876, 2010.
  17. 정정옥 등: 일부 직장근로자들의 구강건강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8(1): 21-27, 2008.
  18. 장분자, 최연희: 구시 일부 근로자의 구강검진후 치과진료 이용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치위생과학회지 9(5): 579-586, 2009.
  19. 이선미 등: 일부 고등학생들의 구강관련지식과 구강건강여향지수와의 관계. 한국치위생학회지 10(5): 877-885, 2010.
  20. 윤현서: 노인의 구강건강과 주관적 행복[박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김해, 2011.
  21. 김혜진: OHIP를 이용한 산업노동자의 구강건강평가 및 삶의 질과의 관련성: 경상북도 구미시 일부 근로자를 대상으로[박사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5.
  22. Allen PF, Locker D: Do item weights matter?: an assessment using the oral health impact profile. Community dental health. 14(3): 133-13, 1997.
  23. 한국산업구강보건원: 근로자 구강보건관리 방안에 관한 토론회. 산업구강보건 학술지 13(4): 331-345, 2004.
  24. 오효원, 이흥수: 우리나라 일부 노동자의 구강병에 기인한 활동제한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8(3):.423-437, 2004.
  25. Reisine ST: Dental health and public policy: the social impact of dental disease. Am J Public Health 75(1): 27-30, 1985. https://doi.org/10.2105/AJPH.75.1.27
  26. Feaver GP: Occupational Dentistry: a Review of 100 years of dental care in the workplace. J Soc Occup Mde 38(1): 41-43. 1988.
  27. 노동법: 근로자건강진단실시기준 제 17조. 노동부고시 92-9, 2006.
  28. 김현덕 등: 근로자 일반구강상병검진제도 개선에 관한 조사연구. 산업구강보건학술지 12(1): 1-15, 2003.
  29. 박순주: 도시 근로자들의 구강보건관리실태와 구강검사결과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2(22): 151-159, 2000.
  30. 박경섭: 충남지역 사업장 근로자의 구강건강수준 및 행태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천안, 2003.
  31. 문선정: 산업장근로자의 주관적 구강건강인식도가 구강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박사학위 논문]. 원광대학교 보건학, 익산, 2010.
  32. 노수정: 구강건강영향지수에 따른 구강건강실천행위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경산, 2011.
  33. 도정애: 교정치료 중인 환자의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와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석사 학위논문]. 계명대학교 대학원, 대구, 2009.
  34. 신상익: 성인의 구강건강영향지수와 구강건강상태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7.
  35. 이은경: 농촌지역 주민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 건강관련 삶의 질[박사학위논문]. 경북대 학교 대학원, 대구,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