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of Health College Students

일부 보건계열 대학생의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 신선행 (삼육보건대학교 치위생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relation of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 in some health college students and to consider a proper means for the solution. The population of the research is some randomly chosen health college students located in Seoul City during the period from May 10 to June 11 2010, and the sample of 295 students were recruited as the analysis object group. The data o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employment stress were collected by a questionnaire surve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WIN 12.0 program. The following shows the results of this study. 1. Employment stress was low in high group of satisfaction in campus life.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01). 2. Mean scores of total self-esteem in study population were 3.1 and positive self-esteem level(3.76) were higher than negative ones (2.44)(p<0.001). 3. The relation between employment stress and selfesteem(r=0.132) revealed significant correlation. 4. In regression analysis, home economy, competence for a schoolwork, satisfaction in campus life, self-esteem(p<0.001) were proved as significant factors that is related to the employment stress. In other words, It is significant statistically that the lower home economy, competence for a schoolwork, satisfaction in campus life, self-esteem, the higher employment stress level. I suggest with the result of the study that for coping effectively employment stress of health college students, we will need to open an educational development considering self-esteem and an exclusive employment counsel window for better administrationwelfare service in campus, to exp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community. Because of students are independent responsibility of employment, active effort must take precedence in order for the solution of problem by themselves. Also, we will need to create better academic environment and show more concern, consideration, love in family.

본 연구는 전문대학 보건계열 대학졸업 예정자들이 겪는 취업 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대처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2010년 5월10일부터 6월 11일까지 서울에 소재하고 있는 일부 보건대학 졸업예정자 295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취업스트레스, 자아존중감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모든 자료는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활 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취업스트레스가 낮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2. 자아존중감 수준은 3.10 이었고, 긍정적 자아존중감(3.76)이 부정적 자아존중감(2.44)보다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3. 취업스트레스와 자아존중감(r=0.132)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다. 4. 회귀분석 결과, 취업스트레스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요인은 가정형편, 학업성취도, 대학생활 만족도, 자아존중감(p<0.001)이었다. 즉, 가정형편이 어려울수록, 그리고 학업성취도가 낮고, 대학생활 만족도가 낮고, 자아존중감이 낮을수록 취업스트레스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를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우선 자아존중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적 접근이 필요하며 대학현장에 취업 전담부서를 비롯한 전반적인 학교행정복지서비스를 강화하여 보다 나은 학문적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사회와의 산학협력체계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취업에 대한 주체적 책임은 학생들이기 때문에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능동적인 노력이 선행되어야 하며 가족의 적극적인 관심, 배려, 사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혜정: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우울, 불안, 신체적 증상과의 관련성[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대구, 2004.
  2. 강경훈: 대학생의 자아분화, 자아존중감과 취업스트레스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김해, 2009.
  3. 이혜경: 대학생의 대학생활 만족도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공주, 2000.
  4. 황성원: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동아대학교 대학원, 부산 1998.
  5. 이미경: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일장신 대학교 아시아태평양 국제신학대학원, 완주, 2004.
  6. Samuless.A.: Enhancing self-concept in early childhood. New York: Human Science Press, 1977.
  7. Branden,N.: The power of self-esteem. Health Communications, New York: Gardner Press, 1992.
  8. 김미란: 청소년의 친구관계와 자아존중감[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광주, 2002.
  9. Shepherd M, Cooper B, Brown A.C, Kalton G.W.: Psychiatric illness in general practi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66.
  10. 박성환: 특수체육전공 대학생들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용인, 2006.
  11. 박현숙, 배영주, 정선영: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응방법 및 학업, 취업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정신간호학회지 11(4): 621-631, 2002.
  12. 한광희: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의 심리적 환경과 대인관계성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1986.
  13. 김미혜: 대학생의 가족체계,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간의 관계[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 대학원, 아산, 2004.
  14. 김남순: 한국가정의 부모-자녀간의 동일화[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75.
  15. 정해은: 오산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오산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5: 89-105, 2000.
  16. Rosenberg, M.: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s, 1979.
  17. Kliewer,W, Sandler I.N.: Locus of Control and self-eseem ad moderators of stressor-symptom relations in children and adolescent.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0(4): 393-413, 1992. https://doi.org/10.1007/BF00918984
  18. 류진혜, 김태성: 자아존중감과 사회적 지지가 취업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양식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6(1): 211-232, 1998.
  19. 최혜란: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분석[석사학위논문].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전주, 2002.
  20. 한건환, 장휘숙, 안권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경험, 대처방식 및 문제 행동에서 자기존중감의 역할. 청소년학연구, 11(3): 385-402, 2004.
  21. 최미례: 스트레스와 우울의 관계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와 매개효과[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서울, 2000.
  22. Kwak, D.I, Choi, Y.K. ,Lim, H.J. Oh, H.J.: A study on the stress, coping and General well-being of medical students. The Medical Education of Korea. 12(2): 227-239,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