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Oral Health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the Elderly

노인들의 구강보건지식과 구강보건행태에 관한 연구

  • 이연경 (단국대학교 대학원 보건학과) ;
  • 한화진 (강동대학교 치위생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1 elderly people in some regions. After they were respectively interviewe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The group of elderly people who brushed their teeth three times or more and who did toothbrushing in an arbitrary way were more concerned about oral health,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 (p<.05). The group who paid a regular visit to dental clinics had more interest in oral health than the other (p<.01). The group who brushed their teeth in an arbitrary way had more remaining teeth,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p<.05). The group who did toothbrushing for about two minutes had more remaining teeth, and more edentulous jaws were found in the group who brushed their teeth once (p<.01). The group who did toothbrushing three times or more scored higher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s(p<.01). And the group who paid a regular visit to dental clinics scored higher in oral health knowledge, and the gap between them and the other (p<.01). In the future, the development of a wide variety of oral health programs and prolonged oral health education are both required. Diverse oral health programs and education are expected to stir up elderly people's interest in oral health, to improve their oral health knowledge and to give a positive change to their oral health behavior.

본 연구는 노인들의 사회적 특성 및 구강보건지식과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경기도 일부지역 281명의 노인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조사방법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1.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구강보건지식정도에서 성별은 여자(4.15점)에 비해 남자(4.52점)가 구강보건지식정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연령에서는 65-69세가 4.79점으로 가장 높은 구강보건지식점수를 보였고 80세 이상이 3.90점으로 가장 낮은 구강보건지식점수가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p<.01). 교육수준에서는 무학이 3.82점으로 가장 낮았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구강보건지식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1). 가족구성은 노인부부만 거주하는 그룹에서 4.65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혼자 사는 노인그룹이3.80점으로 낮은 구강지식점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2. 구강보건관심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에서 칫솔질 횟수는 3회 이상 하는 그룹이78.3%로 1회하는 그룹의 55.6%보다 구강보건관심이 있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칫솔질 방법은 노인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하는 그룹이76.5%로 다른 그룹에 비해 구강보건관심이 있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칫솔시간은 3분 이상 칫솔질을 하는 그룹이 78.3%로 1회한다고 응답한 55.6%에 비해 구강보건관심이 있는 노인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치과방문에서는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한 그룹의 구강보건관심이 96.7%로 전혀 방문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51.0%에 비해 구강보건관심이 더 많은 것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3. 잔존치 유무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에서 칫솔질방법은 노인이 생각하는 방식으로 한다고 응답한 그룹이(86.3%), 위아래로 칫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그룹에(73.4%)비해 잔존치가 있는 노인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칫솔질시간은 2분 정도 한다고 응답한 그룹(86.1%)이 1분 동안 칫솔질을 한다고 응답한 그룹(68.4%)에 비해 잔존치가 있는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4. 구강보건지식에 따른 구강보건행태에서는 칫솔질 횟수는 칫솔질을 3회 이상 한다고 응답한 그룹에서 구강보건 지식 점수가 높은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치과방문에서는 정기적으로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한 그룹에서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높은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치아가 아플 때 치과를 방문한다고 응답한 그룹이 구강보건지식 점수가 낮은 노인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1). 결과적으로 구강보건지식이 높고 잇솔질 횟수가 많거나 정기적인 치과방문을 하는 그룹이 구강보건관심이 더 있다는 결과로 보아 치아에 대한 많은 정보와 올바른 지식을 습득할 수 있는 환경에 노출된 노인이 구강건강에 더 관심을 가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소외된 노인까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다양한 구강보건프로그램의 개발과 아울러 적극적이고 계속적이며 반복적인 구강보건교육이 함께 이루어진다면 많은 노인들이 구강보건관심의 고취와 함께 구강보건지식의 향상 및 긍정적인 구강보건행태의 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아울러 이를 실행하고 뒷받침 해줄 수 있는 사회적 관심과 정책 또한 뒤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선미: 노인의 구강보건교육 경험 실태와 요구도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천안, 2010.
  2. 통계청: 2009년 한국사회지표, 서울: 통계청, 2009.
  3. 보건복지가족부: 국민건강영양조사 3기,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5.
  4. Hirano, H. et al.: Masticatory ability in relation to oral status and general health on aging. J Nutr Health Aging 3(1): 48-52, 1999.
  5. Budtz-Jorgensen, E., Chung, J. P., Rapin, C. H.: Nutrition and oral health. Best Pract Res Clin Gastroenterol 15(6), 885-896, 2001. https://doi.org/10.1053/bega.2001.0247
  6. 보건복지부: 2006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 2006.
  7. 이상숙: 노인의치보철사업에 따른 구강건조증 및 구취발생과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석사 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행정대학원, 대구, 2010.
  8. Peirce RS. et al.: Alongitudinal model of social contact,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lcohol use. Health Psychol 19(1): 28-38, 2000.
  9. 황지민: 노인의 구강보건지식, 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연구[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6.
  10. 김남희, 김현덕, 한동현 외: 서울지역 노인복지회관 이용 노인의 주관적 구강증상과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30: 141-142, 2006.
  11. 조경애: 방문보건사업 노인 대상자의 구강건강 상태[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대구, 2007.
  12. 노은미: 노인의 구강보건행태가 사회적 효능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박사학위논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대구, 2010.
  13. 윤정아: 생활보소대상자 노인들의 구강건강 실태조사[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5.
  14. 권미영, 양진영: 노인의 구강보건행위와 구강건강상태와의 관련성 조사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4): 271-276, 2006.
  15. 최윤화: 한국노인의 잔존치수와 저작능력과의 관계[박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보건대학원, 천안, 2008.
  16. 김지영, 이가령: 울산지역 일부 고등학생의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인식도 조사. 한국치위생교육학회지 5(1): 53-62, 2005.
  17. 주종욱: 경남지역 일부 고등학생들의 구강건강지식과 구강건강행태[석사학위논문].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대구, 2010.
  18. 원영순, 김지연 김수경: 서울일부 지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와 주관적 건강과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9(4): 375-380, 2009.
  19. 윤영숙: 도시농촌 노인의 구강건강과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6(8):23-28,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