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치위생과 학생의 식이섭취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 연구

A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 Status and Dental Caries in the Dept. of Dental Hygiene

  • 발행 : 2012.04.30

초록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식생활일지를 통한 우식성식품의 섭취빈도 및 청정식품 등의 식이섭취 실태를 조사하여 식이섭취 요인과 치아우식증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여 구강보건향상 및 교육지침 개발에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2011년 6월 경기도에 소재한 S대학 치위생과 여대생을 대상으로 5일간의 식생활일지를 기록하게 하여 기록의 누락이 없는 66명의 식생활 일지를 선정하여 본 연구에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식품섭취실태 조사 결과 우식성식품 섭취횟수는 12.82회, 우식발생가능시간은 256.36분, 청정식품 섭취횟수는 8.32회, 총간식 섭취횟수는 14.21회, 우식성간식 섭취횟수 8.70회, 1일 평균 우식간식 섭취횟수 1.74회로 나타났다. 2. 구강내 치아우식증 존재 여부에 따라 우식성식품 섭취횟수, 청정식품 섭취횟수, 우식성간식 섭취횟수는 우식집단이 비우식집단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3. 식이섭취실태와 우식치아의 상관관계에서는 우식성식품 섭취횟수가 증가할수록 청정식품의 섭취 횟수와 총간식 섭취횟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우식치아와의 상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식이섭취 조사를 통한 방법으로만 치아우식증의 발생정도와 원인을 찾고 해석하는 것은 치아우식증이 다인성 질환이라는 점을 볼 때 많은 제한점이 나타나지만, 우식성식품의 섭취횟수와 청정식품의 섭취횟수, 총간식 섭취횟수는 서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음식의 섭취횟수의 증가는 치아우식이 생길 가능성이 있음을 예측할 수 있었고 추후 더 많은 대상자를 이용한 연구가 시행되어 식이요인과 다른 여러 요인에 의한 치아우식의 영향요인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tilize it as useful basic data for improving oral health and for developing educational guidelines, by surveying the intake frequency in cariogenic food and the dietary intake status in detergent food through dietary life diary of some female undergraduates, and by researching into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intake factor and dental caries. It allowed dietary life diary for 5 days to be recorded targeting female undergraduates for the Dept. of Dental Hygiene, selected dietary life diary of 66 people without omission of record, and used it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1. As a result of surveying the food intake status, it was indicated to be 12.82 for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256.36 for caries incidence available time and 8.32 for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2. As a result of surveying in order to examine relationship between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 cariogenic light-meal intake frequency and dental caries by dividing group with caries and group with non-caries, the group with caries was indicat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the group with non-caries.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n't indicated. 3. In the correlation between dietary intake status and dental caries, it was indicated that the more rise in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leads to the more rise in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and even in total light-meal intake frequency, but wasn't shown correlation with dental caries. In light of the above results, many limitations were indicated in finding and analyzing the dental caries incidence level and cause just with a method through surveying dietary intake. However, given the more in cariogenic food intake frequency and detergent food intake frequency, the possibility of dental caries incidence could be predicted.

키워드

참고문헌

  1. Geddes DMA: Acids produced by human dental plaque metabolism in situ. Caries Res 9(2): 98-109, 1975. https://doi.org/10.1159/000260149
  2. Ogaard B et al.: Orthodontic appliances and enamel demineralization.1. Lesion development. Am J Orthod 94: 68-73, 1988.
  3. Loesche WJ: Role of Streptococcus mutants in human dental decay. Microbiol Rev 50(4): 353-80, 1986.
  4. Burt BA: Relative Consumption of sucrose and other sugars: Has it been a factor in reduced caries experience? Caries Res 27(Suppl. 1): 56-63, 1993.
  5. Gustafsson BE et al: The vipeholm dental caries study: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carbohydrate intake on caries activity in 436 individuals observed for five years. Acta Odontol scand 11(3-4): 232-264, 1954.
  6. Ruottinen S et al: Sucrose intake since infancy and dental health in 10-year-old children. Caries res 38(2): 142-148, 2004. https://doi.org/10.1159/000075938
  7. National Institute of Drug Abuse: Drug abuse prevention: What works. Institute of Medicine, Washington DC, pp.10-15, 1997.
  8. Rodrigues CS et al.: The relationships between dietary guidelines, sugar intake and caries in primary teeth in low income Brazilian 3-year-olds: a longitudinal study. Int J Paediatr Dent 10(1): 47-55, 2000.
  9. Fardy PS et al.: Health promotion in minority adolescents: a health people 2000 pilot study. J Cardulm Rehabil 15(1): 65-72, 1995.
  10. 보건복지부: 2010 국민구강건강실태조사. 요약본. 서울: 보건복지부, 2010.
  11. 박일순, 이경희, 윤혜정: 치위생 전공자와 일반 학생의 구강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비교연구. 치위생과학회지 8(3): 175-182, 2008.
  12. 예방치학연구회. 최신예방치위생학실습, 고문사. 서울, pp.97-147, 2010.
  13. Gibbons RJ: Bacteriology of dental caries. J Dent Res 43: 1021-1028, 1964. https://doi.org/10.1177/00220345640430060301
  14. 박후섭 등: 대전양치교실사업 30개월 경과 시점의 구강병 예방 효과. 치위생과학회지 11(2): 91-97, 2011.
  15. 윤미숙, 윤혜정: 20대 여대생을 대상으로 한 치아우식활성검사 연구. 치위생과학회지 10(6): 465-472, 2010.
  16. Bradford EW et al.: Carbohydrate restriction and caries incidence. British Dent J 109(8): 273-279, 1961.
  17. Eriksen HM et al.: Concepts of health disease and caries prediction : a Literature reviews. Scand J Dent Res 99: 476-483, 1991.
  18. 권호근, 김한중: 중학교 학생들의 식이섭취와 치아우식증 발생의 관련성. 대한구강보건학회지 18(1): 119-143, 1994.
  19. Hankin JH et al.: Genetic and epidemiologic studies of oral characteristics in Hawaii s schoolchildren: Dietary patterns and caries prevalence. J Dent Res 52: 1079-1086, 1973. https://doi.org/10.1177/00220345730520051601
  20. 김귀옥: 학령기 아동의 충치실태와 식습관 및 간식 습관과의 관계[석사학위논문].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88.
  21. 박경숙, 서은숙, 신미경: 초등학교 아동의 식품섭취실태가 치아우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리과학회지 15(1): 16-22, 1999.
  22. 강종미, 이정석, 이종갑: 미취학 아동의 우식유발성 평가 및 치아우식 경험과 식이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10(1): 47-55, 1983.
  23. 원복연: 대전시 초등학교 아동의 식품섭취실태가 치아우식 발생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지 23(특별호): 43-44, 1999.
  24. 이은정 등: 초등학생의 간식섭취실태와 치아우식증과의 상관관계.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4(2): 251-257,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