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on Managing Incineration Facility according to Prediction of Change in Amount of Waste

폐기물 발생량 변화 예측에 따른 소각시설 운영에 관한 연구

  • Ha, Sang An (Silla university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 하상안 (신라대학교 환경공학과)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In the state that re-evaluation of calculating optimum amount of incineration in the future is needed, as considering the amount of waste, increase of heat value and change in floating population in each area in city B,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predict optimum available capacity in incineration plant and to study alternatives for the amount of disposal in each incineration plant based on the available capacity that was predicted. As a result of predicting the change in population based on progress of population in city B in the past, it is expected that an overall population is decreasing, but in some areas, population is concentrated due to increased apartment complexes, showing similar figures as the present. Moreover, when predicting the amount of waste through forecasting popula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amount of waste by decreased population is also decreasing. However, the amount of combustible component among a total amount of waste is expected to increase, so it is predicted that the amount of incineration and combustible component will be reasonable except D incineration plant, Therefore, D incinerating plant showed 72.7% of rate of utilization of incineration facility compared to 59.1% of national rate. However, if shortfall of waste in the future can be used wisely in other areas, the use of renewable energy using burner useless heat can be maximized.

본 연구는 향후 최적 소각용량의 산정에 관해 재평가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에서 반입되는 폐기물 발생량, 발열량 증가 및 B시 구역별 유동인구 변화 등을 고려하여 소각 사업소의 최적 가용용량을 예측하고, 예측된 가용용량을 기초로 하여 각 소각 사업소 별 처리량 대안에 대해 연구하는 게 목적이다. B시의 과거 인구추이를 바탕으로 인구변화량을 예측한 결과 전체 인구는 감소추세에 있으나, 일부 지역에 따라서는 아파트 단지 증가 등으로 인구 집중 현상이 나타나 현재와 비슷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인구예측을 통한 폐기물 발생량 예측 시 인구의 감소에 의한 폐기물 발생량은 감소할 것으로 판단되지만, 총 폐기물 발생량 중 가연성분 발생량은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가연성 성분 및 소각 처리량은 D 소각 사업소를 제외하고는 적정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현재 D소각 사업소의 소각율은 72.7%로 전국 소각비율 59.1%보다는 높지만 향후 소각량 확보를 위하여 B시의 MBT시설의 잔재폐기물 및 RDF 회수 잔재물 등과의 혼재 소각과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쓰레기의 혼재소각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지며 2015년 이후 D 소각 사업소를 폐쇄한다고 가정하였을 때는 각 소각장과의 거리와 가용할 수 있는 소각장 규모를 파악하여 경제성에서 가장 적합한 연동구역에 운반(연동제)하여 운영하는 방법이 경제적일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D 소각 사업소의 경우는 새로운 소각시설 설치에 따른 주민불편 및 사회적 피해를 고려하여 폐수처리장 통합연계 시스템 구축에 따라 폐기물과 혼재 처리할 수 있는 장래의 여유 소각을 할 수 있는 시설 확보 측면에서 2020년까지 운영이 필요하고, H나 M 소각 사업소는 적정 소각량이 감소하는 경우 3개 소각시설이 운휴 기간이 없이 운영되기 위해서 2기를 확보하고 단위사업별 1기 단위로 6개월씩 단위 운영 병행제로 하는 관리방안의 구상도 해결방안이라고 판단되어 진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철태, 안문수, 배성렬, "국내 쓰레기 소각장의 실태조사 연구(I)", 한국폐기물학회지, 12(3), pp. 353-364. (1995).
  2. 이사라, 김현선, 조영태, 김 호, 이승묵, "인구구조변화에 따른 생활폐기물 발생량 현황 및 전망", 대한환경공학회지, 特輯 Special Feature, pp. 263-268. (2008).
  3. 백성문, "생활쓰레기 발열량 변화에 따른 소각로 운영 개선에 관한 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 통계청, http://www.nso.go.kr (2010).
  5. 주민등록인구통계, 부산광역시 단행본. (2010).
  6. 환경부, 국립환경연구원, 폐기물공정 시험방법, 환경부 고시 제 2008-96호. (2008).
  7. 양진우, "부산지역 생활계폐기물 소각처리시설의 장기소요 예측과 대응방안", 부산발전연구원.(2006).
  8. 부산광역시 환경시설공단, 소각시설 최적 용량 산정 및 혼재처리 적정 소각 시 최적 조건에 관한 조사연구. (2008).
  9. 부산광역시청 폐기물관리의 기본방향, http: //www.busan.go.kr/04_life/06_environment/05_01.jsp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