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ating Effects of Child 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

  • 양연숙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 care 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turnover intention.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with 237 child car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en child care teachers had low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or low efficacy, their job turnover intention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improved. Second, job turnover intention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was affected by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Third, child care efficacy mediated between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and occupational turnover intention.

본 연구는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 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보육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이 보육교사의 전문성을 지원할수록 보육교사의 보육효능감이 높고, 이직 및 전직의도가 낮았다. 둘째,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는 교사 및 원장과의 관계, 교사의 자율성과 의사결정이 낮을수록 높았다. 전직의도는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가 낮을수록 높았다. 셋째, 전문성지원 환경과 전직의도와의 관계에서 보육효능감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근무하는 어린이집의 전문성지원환경이 열악하다고 인식하는 보육교사는 낮은 보육효능감을 갖게 되며, 이는 다른 직업으로의 전직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혜진(2008).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적 성취감의 조절효과.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97-609.
  2. 김경철, 최인숙, 홍정선(2007). 어린이집 전문성지원환경과 교사효능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115-135.
  3. 김미정(2000). 유아교사의 의사결정 참여 정도와 교사효능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성한(1997).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현지(2006). 보육교사의 효능감과 교사역할수행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15(1), 45-53.
  6. 노혜미, 유태용, 신강현(2007). 정서지능과 정서노동 전략이 직무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개인적 성 취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0(4), 529-550.
  7. 박상철, 김명소(2008). 직업 유사성에 의한 직업군집화와 직업이동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1(2), 339-366.
  8. 박은숙(2009).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에 관한 분석. 교육연구논총, 30(1), 43-61.
  9. 박형신, 김정주(2010). 보육교사의 전문성지원환경 인식과 조직헌신도,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 아동교육, 19(2), 87-102.
  10. 손아랑(2009). 민간보육시설의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58, 81-101.
  11. 양연숙(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05-221.
  12. 유현정(2011).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 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유희정 외(2009). 2009 전국보육실태조사. 서울: 보건복지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14. 이재경(2006).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진화, 이승연(2006).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참여와 조직적.심리적 요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0(1), 229-250.
  16. 전미선(2008).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보육교사의 자기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조성연, 구현아(2005).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 아동학회지, 26(4), 55-70.
  18. 표갑수, 황영자(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19. 한민좌(2001). 교사가 지각하는 어린이집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효능감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Ashton, P. T. (1984). Teacher efficacy: A motivational paradigm for effectiv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5, 28-32.
  21. Allinder, R. M. (1994).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and the instructional practice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consultants. Teacher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17, 86-95 https://doi.org/10.1177/088840649401700203
  22. Curbow, B., Sparatt, K., Ungaretti, A., McDonnell, K., Breckler, S. (2000). Development of the child care worker job stress inventor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5(4), 515-536. https://doi.org/10.1016/S0885-2006(01)00068-0
  23. Friedman. I. A. (2000). Burnout in teachers: Shattered dreams of impeccable performance.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6(5), 595-606. https://doi.org/10.1002/(SICI)1097-4679(200005)56:5<595::AID-JCLP2>3.0.CO;2-Q
  24.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Washington DC.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410659)
  25. Kruse, S.D. & Louis, K. S. (1995). Developing professional community in new and restricting urban school. In K.S. Louis and S.D. Kruse(Eds.), Professionalism and community(pp. 23-44). Thousand Okas, CA: Corwin Press.
  26. Newmann, F & Wehlage, G. (1995). Successful school restricting. Madison, WI: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27. Stremmel, AJ, Benson, MJ, & Powell, DR. (1993).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 care center staff: Directors, teachers, and assistant teach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221-223.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92-4
  28. Torquati, J. C., Raikes, H., & Huddlestone-Class, C. (2007). Teacher education, motivation, compensation, workplace support, and links to quality of center based child care and teachers' intention to say in the early childhood professio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2(2), 261-275. https://doi.org/10.1016/j.ecresq.2007.03.004
  29. Whitebook, M., Howes, C., & Phillips, D. (1989). National Child Care Staffing. Oakland. CA: Child Care Employee Project.
  30. Whitebook, M., & Sakai, L. (2003). Turnover begets turnover: an examination of job and occupational instability among child care center staff.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 273-293.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40-1
  31. Williams, E. C. (2000). School professional learning environment characteristics and teacher self-efficacy beliefs: Linkages and measurement issues. Unpublished do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