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보조 인간형 로봇의 외형에 대한 만4세 유아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Young Children for the Outward Appearance of a Teacher-aided Humanoid Robot

  • 하수연 (춘해보건대학교 유아교육과) ;
  • 이성애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방법전공)
  • 발행 : 2012.10.31

초록

본 연구는 앞으로 더욱 발달되어 유아교육 현장에 보급될 교사보조 인간형 로봇의 개발에 도움이 되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유아들이 선호하는 로봇의 전체, 얼굴, 몸통, 다리 등의 모습과 활용을 위한 모습 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만4세 유아 18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 중 남아는 95명이고 여아는 85명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들은 곡선을 위주로 직선이 다소 가미된 그리고 부드러운 느낌을 주는 로봇을 선호하고 자기와 비슷한 크기의 로봇을 선호한다. 둘째, 유아들은 사람과 유사하게 가슴, 허리, 엉덩이가 구분되는 몸통을 선호한다. 셋째, 유아들은 두 다리나 탱크 바퀴 형태의 다리를 선호한다. 그러나 남아는 탱크 바퀴를 더 선호하고, 여아는 두 다리를 더 선호하고 있다. 넷째, 유아들은 실제적 얼굴 모습보다 보통 또는 좀 큰 로봇다운 눈을 가진 얼굴을 선호한다. 다섯째, 유아들은 놀이와 관련된 로봇을 가장 선호하고 또 스스로 조작할 수 있는 로봇을 선호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preference of young children for the outward appearance of a teacher-aided humanoid rob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kindergarten children who were 4 years old. Ninety five children among the subjects were male, and 85 children were female.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consisted of 15 questions that involved 3 domains; figure, face, and practical use of robot.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young children preferred a smooth and intimate robot, and one that had a similar size to them. Second, young children preferred a more characteristic face with big eyes. Third, young children preferred a robot which had a contoured body Fourth, young children preferred a robot which had two legs or tank wheels. Fifth, young children preferred a robot that could play with them and be manipulated by them.

키워드

참고문헌

  1. 강경옥, 문성환(2007). 초등학생을 위한 로봇주제 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1(4), 201-220.
  2. 강문숙, 황해익(2008). 보육교사의 직무에 대한 내용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2), 57-80.
  3. 강옥봉(2008).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육용 로봇 외형 디자인 조사. 진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곽소나, 김은호(2009). 인간의 공감을 위한 감성로봇 디자인. 디자인학연구, 22(5), 27-36.
  5. 김경철, 박성덕, 김은정(2010).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25-42.
  6. 김수정(2008). 영어 교육용 로봇 콘텐츠의 개발 및 적용.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창수(2010). 로봇 기반 학습관리시스템에서의 학업성취도 측정방법.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성덕, 장연주, 김경철(2011). 유아 교육용 교사보조로봇 경험 이야기. 유아교육연구, 31(5), 253-275.
  9. 박여주(2004). 다양한 유형의 인간집단이 요구하는 로봇디자인에 대한 인지적 특성에 대한 연구: 가정용 로봇(Home Service Robot)의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춘애(2007). 초등교육현장에서의 효율적인 로봇교육의 운영방안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서경숙(2008). 로봇주제 집단탐구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손혜진(2011). 만 5세 유아들의 유아교육용 로봇 이미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로봇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신인철(2001). 인간 친화적인 로봇 디자인 연구: 조형구조를 중심으로.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신정아(2008). 인간형 가정용 서비스 로봇 디자인을 위한 친근한 이미지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안정희(2011). 유치원에서의 교사보조로봇 활용 실태 및 교사들의 만족도.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위키피디아 백과사전(2012. 2. 5). 로봇. http://en.wikipedia.org/wiki/Robot에서 2012. 2. 5 인출.
  17. 위키피디아 백과사전(2012. 2. 5). 휴머노이드. http://en.wikipedia.org/wiki/Humanoid에서 2012. 2. 5 인출.
  18. 윤현민(2010).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이고은(2011). 교사보조로봇을 활용한 활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상호(2001). 로봇디자인에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표정요소의 결정점에 관한 연구 : 문화적 mental model의 개념을 응용한 표정표현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정욱, 이민정, 안경숙, 임수진(2011). 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기관 및 교사에게 미치는 영향. 유아 교육학논집, 15(5), 423-444.
  22. 임동욱(2009). Science Times. 2009. 11. 24.
  23. 정재경, 최종홍, 한정혜(2007). 교사 보조 로봇 스타일에 따른 아동 반응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1(2), 195-203.
  24. 정정원(2009). 로봇 표정 디자인을 위한 감정모델 개발의 맥락적 접근법 연구. KAIST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5. 정정필(2009). 로봇의 형태 상관성을 고려한 디자인 개발 가이드라인에 관한 연구: 사용목적에 따른 로봇 디자인 분류체계를 기반으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정지현, 박선미(2010.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과 이미지. 어린이미디어연구, 9(3), 1-30.
  27. 조선일보(2010). 교사보조 로봇 보급 확대, 2010, 1. 26.
  28. 최미나(2011). 유치원 교사의 유아교육용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인식 및 활용실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최유현(2003).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모형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6(3), 75-90.
  30. 한국교육학술정보원(2007). 로봇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적정 기능 연구. 서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31. 한정혜, 김동호(2006). 교사 보조 로봇의 교육적 활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0(1), 849-856.
  32. 현은자, 박현경, 연혜민, 장주연(2010).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유아교육연구, 30(4), 171-186.
  33. 현은자, 손수련(2011). 로봇은 살아 있을까? 우리 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인식. 아동학회지, 32(4), 1-14.
  34. 현은자, 윤현민, 장시경, 연혜민, 조경선(2009).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보조 서비스 로봇의 콘텐츠 개발. 어린이미디어연구, 8(1), 119-142.
  35. 현은자, 장시경, 박현경, 연혜민, 김수미, 박성주(2009).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0), 482-491.
  36. 황해익, 최혜진, 손원경, 강신영, 조은래, 김미진(2011). R-Learning(로봇기반교육)이 유아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원의 인식. 교사교육연구, 50(3), 136-151.
  37. Newby, T. J., Stepich, D. A., Lehman, J. D., & Russell, J. D.(2000). Instructional technology for teaching and learning. Designing Instruction, Integrating Computers, and Using MEDIA. Prentice-Hall, Inc.
  38. Taylor, R. P.(Ed.).(1980). The Computer in the school : Tutor, tool, tutee.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