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Korean Traditional Nursery Rhyme for Children

유아를 위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 기준 탐색

  • 조진희 (성덕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Published : 2012.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establishing criteria for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 suitable for children and apply them effectively in early child education. The researchers of this study are firstly concerned with establishing criteria for Korean traditional nursery rhymes suitable for children. Secondly, they are concerned with establishing Korean traditional nursery rhymes suitable for children which are selected by following the established criteria. A Delphi survey was performed with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30 related professionals to establish criteria for Korean traditional nursery rhymes suitable for children. The SPSS 12.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standard deviation and average. Through this process the final seven criteria selected are: 'traditional play spaces and fun of play language is showed', 'lifestyles and emotions of children in the past is expressed', 'easy to understand story', 'the content is interesting', 'assisting i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easy to sing melody', and 'simple and repetitive in rhythm'. And 112 songs appropriate to the children were selected based on these criteria. The lyrics of the songs mainly expressed 'the joy of play.' it means songs need to combine with play to succeed to the next generation.

본 연구는 한국 전래동요 중에서 유아에게 적합한 것을 선정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여 유아교육 현장에서 전래동요가 효율적으로 적용되기 위한 가능성의 구안에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첫째,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 기준은 어떠한가, 둘째, 선정기준에 따른 유아를 위한 한국 전래동요는 어떠한가이다. 먼저,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래동요의 기준을 선정하기위해 유아교육 및 유아교육 관련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통해 문항을 선정하였다. 수집된 응답들은 spss 12.0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에게 적합한 한국 전래동요의 선정 기준은 '전통적 놀이공간과 놀이언어의 즐거움이 살아있는가, 옛 아이들의 생활 모습과 정서를 담고 있는가, 유아가 쉽게 이해할만한 내용인가, 유아가 흥미를 느낄만한 내용인가,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가, 유아가 쉽게 부를 수 있는 선율인가, 장단이 단순하고 반복적인가'로 나타났다. 또한 선정기준이 확정됨에 따라 이 기준을 바탕으로 유아에게 적합한 전래동요 112곡이 선정되었다. 112곡의 노랫말은 주로 '놀이의 즐거움'을 표현한 곡들로 전래동요의 전승을 위해서는 놀이가 함께 연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혜인(2006). 한국전래동요의 음악문화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권기회(2005). 이야기 자료와 놀이를 통한 전래동요 수업 연구. 추계예술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권창길.배현숙(2002). 효율적인 유아 음악 교수법에 대한 고찰. 영유아교육연구, 5, 85-100.
  4. 김명남(2005). 다양한 놀이를 활용한 초등학교 3,4학년 전래동요 지도방법 연구.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김미애(2006). 전래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환경 친화적 태도에 미치는영향-자연친화적 전래동요를 중심으로. 한국 유아교육.보육 행정연구, 10(3), 79-101.
  6. 김세희(1994). 한국 전래동요에 대한 유아의 선호도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세희(2001). 유아문학교육. 서울: 양서원.
  8. 김숙경(1998). 한국 전래놀이 노래. 서울: 동문사.
  9. 김연주(2005). 유아의 일반적 창의성과 음악적 창의성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1),21-35.
  10. 김영숙(2003). 전래동요 프로그램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태완, 유정호, 이현수(2003). 생산성 달성율을 이용한 생산성 관리 방안. 계획계.구조계, 22(2), 499-502.
  12. 김혜정(2010). 전래동요의 음악적 특성에 따른 교육방향. 국악교육연구, 4(1), 56-79.
  13. 남궁영주(2005). 가사 바꾸기를 통한 전래동요 지도방안.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남미경(2004). 전래동요 지도가 발달 장애 유아의 언어발달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노동은.전송배.민행난.박영신(2005). 전국 유아국악교육 실태조사 및 활성화 방안. 문화관광부 문화예술교육과 보도자료.
  16. 노원호(2009). 전래동요의 영원한 생명력. 아동문학평론, 34(3), 61-67.
  17. 마효경(2007). 코다이 교수법에 따른 활동내용의 분석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모형오(2011). 전라남도 전래동요의 음악적 분석. 국악교육연구, 5(1), 55-100.
  19. 민경희(2005). 전래동요를 통한 수학적 탐구 활동이 유아의 수학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미경. 엄정애(2008). 새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과 지도의 어려움. 아동학회지, 29(3), 93-113.
  21. 박성순(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수학교육 활동이 유아의 수학적 사고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박영태.하수연.성희미(2009).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5개 영역에 적합한 전래동요의 분석. 생태유아교육연구, 8(4),257-285.
  23. 박용미.김경숙(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국악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장단능력에 미치는 영향. 음악교육연구, 35, 1-26.
  24. 박향아(2009). 한국과 일본 유아교사의 전래동요 적용 동기에 관한 비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345-366.
  25. 서정숙.남규(2010). 유아문학교육. 서울: 창지사.
  26. 손경아(2007). 전래동요를 활용한 노랫말 바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 및 음악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송성진, 윤도근(1992). 델파이 기법을 적용한 노인요양시설의 수급전망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7), 85-93.
  28. 신인숙.김지영(2008). 전래놀이 동요 활동이 유아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교육과학연구, 39(3), 171-194.
  29. 안우환.권민석.신재한(2006). 전래동요와 놀이를 통한 경제개념의 교수, 학습방법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9(1),251-274.
  30. 안재신(2005). 유아 음악교육. 서울: 교육과학사.
  31. 안지애(2002). 영아기 전래놀이 노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엄성은.홍은주(2003). 전래동요를 활용한 자연 친화교육의 방향 모색. 국악과 교육, 21, 201-228.
  33. 엄은나.강정원.박성희(2008). 전래동요를 활용한 집단 활동이 유아의 이야기 꾸미기능력과 또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 유아교육연구, 13(2), 285-304.
  34. 영동문화원(2005). 영동의 민요. 코리아루트.
  35. 예정현(1991). 델파이법에 의한 한국기업의 정보기술 당면과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오영희.김주현(2005). 전래놀이 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대인 문제 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9(3), 127-149.
  37. 유안진(1981). 한국 고유의 아동놀이. 서울: 정민사.
  38. 이경우.이은화.김세희.이승연.전지형(1994). 한국 전래동요의 재 발굴 및 통합적 활용에 대한 연구. 인간발달, 22, 1-83.
  39. 이경우.이상금.이은화.박혜경(1995). 5개국 전래동요에 관한 연구. 서울: 창지사.
  40. 이경우.장영희.이차숙.노영희.현은자(1997). 유아에게 적절한 그림책. 서울: 양서원.
  41. 이대균(2001). 3,4,5세 유아를 위한 전통놀이교육 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42. 이상금.장영희(1986). 유아문학론. 서울: 교문사.
  43. 이숙희(2002). 전래동요의 통합적 활용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이재복(2004). 우리 동요, 동시 이야기. 서울: 우리교육.
  45. 이주선(2002). 전래동요, 창작동요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이혜선(2006). 전래동요를 활용한 자연친화 놀이가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와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임혜정(2004).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에 관한 조사 및 악곡분석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전송배(2005). 유아교육과의 전통음악교과 실태 분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전원범(1995). 한국 전래 동요 연구. 서울: 바들산.
  50. 정미경(2003). 전래동요를 활용한 작가적 전략이 유아의 어휘력 및 이야기 구성력에 미치는 영향. 경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정복희(2005). 전래놀이동요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선대학교 생활지도연구, 24, 129-146.
  52. 조미영(2003). 초등학교 음악수업의 즉흥적 신체표현 활동을 위한 지도 방안 연구. 청주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조은하(2007). 오르프 슐베르크를 적용한 한국 전래동요의 지도 교재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4. 편해문(2007). 옛 아이들 노래를 오늘 아이들에게 돌려주는 길 찾기. 구비문학연구, 25, 183-217.
  55. 하유선(2005). 전래동요를 활용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한국문화방송(주)(1989-1996). 한국민요대전. 문화방송.
  57. 한림대학교 인문학 연구소(2004). 강원의 민요. 강원도.
  58. 한인순(2003). 신체표현과 놀이 활동을 통한 전래동요의 지도 방안.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9. 홍양자(2000). 전래동요를 찾아서. 서울: 우리교육.
  60. Chosky, L.(1974). The Kodaly Method. NJ: Prentice-Hall.
  61. Cullinan, B. E., & Galda, L.(1994). Literature and the child. NY: Harcourt Brace Jovanovich.
  62. Gordon, E. E.(1990).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 born and young children. Chicago: G.I.A.
  63. Hurlock, E. B.(1972). Child development. NY: Mcgraw-Hill.
  64. Jalongo, M. R.(1988). Young Children and Picture Books: Literature from Infancy to Six. Washington : NAEYC.
  65. Katalin, F.(1990). Keynote speech at KIC 13th Annual. Conference, Canada.
  66. Norton, D. E.(1987). Through the eyes of a child : An introduction tchildren's literature. Columbus: Merrill Publishing Co.
  67. Nye, V.(1979). Music for Young Children. WMC Brown Company.
  68. Russell, D. L.(1991). Literture for children. NY: Longman Publishing Co.
  69. Susan, Kenney.(2005). Nursery Rhymes: Foundation for Learning. General Music Today, 19(1). 28-31. https://doi.org/10.1177/10483713050190010108
  70. Sutherland, A., & Arbuthnot, M.(1991). Children and books. NY: Haper collins publishers.
  71. Taylor, B. J.(1995). A child goes Forth: a curriculum guide for preschool children. NJ: A somon & Schuster.
  72. Temmerman, N.(1998). A survey of childhood Music Education Programs in Australia.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26(1). 1-10. https://doi.org/10.1023/A:10229184064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