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그리고 정서 지능 간의 관련성 연구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Theory of Mind,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 안효진 (인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 김상림 (부천대학교 영유아보육과) ;
  • 이시자 (인천대학교 유아교육학과)
  • 발행 : 2012.10.31

초록

본 연구는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그리고 정서지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만 5세 유아 남녀 각각 38명 씩, 총 76명을 대상으로 내용교체과제, 위치이동과제, 그리고 틀린 믿음과 제로 마음이론을 측정하였으며, 그들의 교사들에게 이들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을 측정하도록 하였다. SPSS 18을 사용하여, 성별 차이를 보기 위해서는 t 검증을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마음이론, 사회적 능력, 정서지능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피어슨 적률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성차, 마음이론, 정서 지능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성별에 따라 마음이론 전체점수와 위치이동과제에서 차이가 나타났고, 사회적 능력의 전체점수와 협조성, 참여성, 순응성, 지도성에서 차이가 났고, 정서지능의 자기조절, 타인인식, 타인조절에서 차이가 났다. 또한 마음이론 전체 점수와 사회적 능력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었으나, 참여성과 순응성에서는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음이론 전체 점수와 정서지능은 전반적으로 관련이 있었고,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들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았을 때, 타인조절 능력이 사회적 능력에 가장 영향력을 미쳤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children's theory of mind, social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 total of 76 five-year old children in the Seoul a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Children were tested on three different type of theory of mind tasks and teachers rated their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competency. SPSS 18,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of multilateral regression were performed for data collec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40.8% of participants passed the task of theory of mi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of theory of mind, social competence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etween successors and failures. Second, by gen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score of theory of mind, social competence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theory of mind and social competence skills, social competence skill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ory of mind and emotional intelligence.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과학기술부(2010).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사업은 이렇게 합니다.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자료. CRM 2010-12.
  2. 김경미, 김혜리, 정명숙, 향혜영, 구재선(2008). 유치원 아동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3), 21-39.
  3. 김경회(1998). 교사용 유아정서지능 평정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영심, 이종희(2003). 초기 가상놀이의 상징화 수준과 표상적 사고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 24(5), 1-14.
  5. 김은정(1998). 유아의 정서지능과 가정환경변인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정, 오진희, 유윤영(2010). 마음이론(theory of mind)의 본질과 발달에 대한 이론적 고찰. 유아교육학논집, 14(3), 293-316.
  7. 김혜리(1997). 3, 4세 아동의 마음이론. 충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4(1), 273-290.
  8. 김혜리(2000). 정서추론으로 살펴본 믿음에 대한 아동의 이해. 인간발달연구, 7(2), 15-30
  9. 김혜리, 이숙희(2005). 인기 있는 아동은 마음읽기를 잘하나?.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8(1), 1-18.
  10. 박아청(1998). 발달심리학의 이론과 연구의 교육현장 적용과 과제. 한국교육심리학회, 12(1), 35-50.
  11. 배기조(2001). 취학 전 아동의 개인 및 가족적 특성이 마음의 이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배기조, 최보가(2002). 취학 전 아동의 개인 및 가족적 특성이 마음의 이론 형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6), 71-79.
  13. 서혜정(2006). 부적절한 정서표현에 대한 부모의 수용태도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송영주(2007). 유아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421-435.
  15. 신유림(2005). 아동의 틀린 믿음 및 정서이해 능력과 인기도 및 친구관계의 관련성. 대한가정학회지, 43(8), 13-23.
  16. 심혜숙, 왕정희(2001).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 및 대인문제해결력과의 관계. 한국 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1), 163-175.
  17. 양혜영, 김혜리, 김경미, 구재선, 정명숙, 박은혜(2008). 초등학생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능력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1(1), 31-47.
  18. 오경자, 배도희(2002). 정서추론으로 살펴본 믿음과 바람에 대한 아동의 이해. 인간발달연구, 6, 102-122.
  19. 유인옥(2008). 유아의 마음이론 발달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유윤영, 오진희(2011). 유아의 마음이론과 추론능력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66, 69-88.
  21. 유경, 민경환(2000). 아동의 혼합 정서 이해의 발달적 특성. 연차학술발표논문집, 192-193.
  22. 이경혜, 김정일(2009). 유아의 마음읽기 능력 및 정서 읽기 능력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 아동교육, 18(3), 165-176.
  23. 이병래(1997). 부모의 심리적 자세와 정서의 정서지능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순복, 하명선(2008). 유아의 정서지능이 마음이론과 또래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생태유아교육연구, 8(4), 211-233.
  25. 이순미 (2007). 보육교사 - 유아의 애착안정성과 유아의 자아지각 및 사회적 능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시자(2008). 마음이론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4), 87-120.
  27.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0). 교사 평정용 영아발달 평가도구. 아동학회지, 22(2), 255-275.
  28.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1). 정서지능과 놀람정서와 관련된 마음이론과의 관계. 사회과학연구, 7, 143-160.
  29. 이영자, 이종숙, 신은수(2003). 틀린 믿음과 가장 개념 이해수준에 따른 가장 놀이 표상수준의 차이. 유아교육연구, 23(2), 147-169.
  30. 이윤옥(2004). 5-6세 유아의 가정환경과 정서지능 및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한국교육, 31(1), 231-251.
  31. 이정연(1999). 감성교육 프로그램의 적용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장정애(1998). 초등학생의 감성지능과 학업성취, 학교적응, 사회성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덕희(2009). 4, 5세 유아의 마음이론과 사회적 관계. 유아교육학 논집, 13(3), 31-50.
  34. 최경순(1992). 아버지의 양육행동 및 참여도와 아동의 사회적 능력간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5. 황혜정, 김경회(1998).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아동학회지, 20(3), 139-152.
  36. Astington, J. W. (2003). Sometimes necessary, never sufficient: False belief understanding and social competence. In B. Repacholi and V. Slaughter (Ed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 (pp. 5-32). New York: Psychology Press.
  37. Astington, J. W., & Jenkins, J. M. (1995). Theory of mind development and social understanding. Cognition and Emotion, 9, 151-165. https://doi.org/10.1080/02699939508409006
  38. Bosaki, S. (2000). Theory of mind and self-concept in preadolescent: Links with gender and languag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709-717. https://doi.org/10.1037/0022-0663.92.4.709
  39. Brown, J. R., & Dunn, J. (1991). You can cry, mum: The social and developmental implications of talk about internal state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 237-256.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1.tb00874.x
  40. Dunn, J. (1995). Children as psychologists: The later correlates of individual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emotions and the other minds. Cognition and Emotion, 9, 187-201. https://doi.org/10.1080/02699939508409008
  41. Dunn, J., & Hughes, C. (1998).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s within close relationships. Cognition and Emotion, 12(2), 171-190. https://doi.org/10.1080/026999398379709
  42. Flavell, J. H., Miller, P .H., & Miller, S. A. (1993). Cognitive development (4th ed.).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43.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Y: Bantam Books.
  44. Hadwin, J., & Perner, J. (1991). Leased and surprised: Children's cognitive theory of emotion.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 215-234.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1.tb00872.x
  45. Happe, F., & Frith, U. (1996). Theory of mind and social impairment in children with conduct disorder,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4, 385-398.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6.tb00713.x
  46. Keens, T.(2003).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 the preschool years and beyond. In B. Repachoili & V. Slaughter(Ed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ory of mind(pp, 121-142). New York: Psychology Press.
  47. Lalonde, C. E., & Chandler, M. J. (1995). False belief understanding goes to school: On the Social-emotional consequences of coming early or late to first theory of mind. Cognition & Emotion, 9, 167-185. https://doi.org/10.1080/02699939508409007
  48. Pease, D., Clark, S. G., & Crase, S. J. (1979). Iowa social competence scale: School age preschool manual. Iow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49. Perner, J. (1991). Understanding the representational mind. Cambridge, MA: The MIT Press.
  50. Peterson, C. C., & Siegal, M. (2002). Mind reading and moral awareness in popular and rejected preschoolers.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0, 205-224. https://doi.org/10.1348/026151002166415
  51. Salovey, P., & Mayer, J. D. (1990).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185-211. https://doi.org/10.2190/DUGG-P24E-52WK-6CDG
  52. Shartz, M., Diesendruck, G., Martinez, I., & Akar, D. (2003). The influence of language and socioeconomic status 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false belief. Developmental Psychology, 39(4), 717-729. https://doi.org/10.1037/0012-1649.39.4.717
  53. Wellman, H. M. (1990). The child's theory of mind. Cambridge Mass: MIT Press.
  54. Wellman, H. M., & Banerjee, M. (1991). Mind and emotion: Children's understanding of the emotional consequences of beliefs and desires.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9, 191-214. https://doi.org/10.1111/j.2044-835X.1991.tb00871.x
  55. Wellman, H. M., Cross, D., & Watson, J. (2001). Meta-analysis of theory-of-mind development: The truth about false belief. Child Development, 72, 655-684. https://doi.org/10.1111/1467-8624.00304
  56. Wimmer, H., & Perner, J. (1983). Beliefs about beliefs: Representation and constraining function of wrong beliefs in young children''s understanding of deception. Cognition, 13, 41-68.
  57. Woodward, A. L. (1998). Infants selectively encode the goal object of an actor' reach. Cognition, 69, 1-4. https://doi.org/10.1016/S0010-0277(98)000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