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Analysis of a Picture Book-Based Leadership Education Program

그림책을 활용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정남미 (숭의여자대학교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 picture book-based leadership program on children's leadership.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76, four- and five-year-old children of two kindergartens located in Seoul.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a 10-week program. The program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10 times during two and a half months. Children's leadership rating scale(Jang & Hwang, 2009) was used in the collection of data by teachers. A pre-post test paired-samples t-test and ANCOVA(analysis of covariance)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leadershi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leadership scores of 5-year old children of the leadership scores of teachers.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cores of challenges and self-confidence, self-control, and problem solving ability among the leadership component factors only among 5-year old children.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대상은 실험집단 38명, 비교집단 38명 총76명이며, C유치원의 만4세 30명 두 반과 M유치원의 만5세 46명 두 반이다. 10주간 주1회 총10회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장영숙과 황윤세(2009)의 유아리더십 평가도구를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교사에게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t-검증과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만5세 유아의 경우, 비교집단 보다 실험집단에서 리더십 점수가 높았으며, 리더십의 구성요소 중 도전과 자신감, 자기행동관리, 문제해결력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어 만5세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그림책을 활용한 리더십교육 프로그램이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주(2008). 유아의 창의적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강희규(2010). 융합 프로젝트 중심 창의적 문제해결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과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고미애(2006). 유아리더십교육에 관한 기초연구. 교육정보연구, 4(1), 5-17.
  4. 고선옥, 전경아(2010). 리더십 독서프로그램이 유아의 자아존중감과 친사회적 행동 및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 61, 133-152.
  5. 교육과학기술부(2009). 유치원지도서 1. 총론. 서울: 두산.
  6. 권영웅(2004).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리더십 기술인식과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경연(2010). 유아사고력 증진 프로그램이 셀프 리더십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미선(2005). 유아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미숙, 전미란(2005).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 영재 리더십의 사회적 기대와 구성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10.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 손은영(2006).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I. 한국교육개발원 수탁연구 CR 2006-44.
  11. 김민선(2004). 긍정적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 기술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성숙(2009). 유아 리더십 유형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정대(2001). 청소년의 리더십 발달과 관련이론 탐색. 한국농촌지도학회지, 8(2), 235-244.
  14. 김정림, 조혜진(2012). 어린이집 교사가 지각한 원장의 감성리더십과 조직문화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1), 65-83.
  15. 김진영(1997). 유치원에서 또래 간 사회적 힘의 형성과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김혜순(2011).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원장의 리더십과 교사의 전문성 발달의 관계.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나미순(2006).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리더십간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남정선(2009). 만 4세 바다반 유아 리더의 특성에 관한 문화기술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청구 학위논문.
  19. 노영희(2004). 초등학교 아동을 위한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 개발 기초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박미숙(2008). 유아의 셀프 리더십과 부모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광주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박선영(2001). 유아의 협동학습에서 나타나는 리더의 형성과정.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박상희(2010). 유아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조망수용능력과 주장성행동에 미치는 효과.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박연경(2008). 유아 리더십 유형화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박연경, 황혜정(2009). 유아 리더십의 유형화와 특성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9(4), 281-308.
  25. 박현정(2008). 만3세 유아를 위한 리더십교육 효과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박화윤, 마지순, 조진희(2010). 5세 유아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과 자아개념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15(4), 263-282.
  27. 설희정, 문혁준(2011). 사회경제적 지위와 원가족 분화 및 원가족 건강성이 어머니의 리더십에 미치 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139-158.
  28. 송연희(2008). 유아의 리더십이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은평구 어린이집을 중심으로. 서울기독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신은주(2011). 어머니의 양육신념 및 유아의 학습관련 사회적 기술과 유아 리더십과의 관계. 가톨릭 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신응섭, 이재윤, 남기덕, 문양호, 김용주, 고재원(2007). 리더십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31. 안영진, 안은정(2009). 가치로운 삶을 위한 리더십. 파주: 정민사.
  32. 유연일, 현은자(2004). 그림책에 나타난 리더십. 유아교육연구, 24(2), 265-288.
  33. 유희정(2002). 동화를 활용한 갈등해결 교수전략이 3세 유아의 또래 간 갈등양상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4. 이경화, 유승희(2010). 글로벌 리더 프로그램이 유아의 인지, 창의, 리더십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육심리연구, 24(3), 507-523.
  35. 이명숙(2006). 유아 셀프리더십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6. 이병진(2003). 교육 리더십: 새로운 교육의 패러다임. 서울: 학지사.
  37. 이소희(2009). 다문화가정의 부모코치 매뉴얼. 천안건강가정지원센터.
  38. 이소희, 강경자, 김주아(2004). 4RL 모델에 기반한 유아교육기관장 리더십의 평가척도개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9(2), 76-93.
  39. 이순명(2007).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리더십 유형과 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이연실(2011).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력의 매개효과. 정서.행동장애연구, 27(2), 101-134.
  41. 이연승, 이순명(2008). 유아기 부모의 변혁적 리더십에 대한 이론적 탐구. 교원교육, 23(3), 89-206.
  42. 이은미(2006). 유아 리더십과 부모 양육태도 관계 분석.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이은진(2005). 유아 대인관계 리더십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이현숙(2008). 교사의 DAP 신념 및 교수활동과 유아의 셀프리더십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생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장영숙, 황윤세(2009). 교사평정용 유아리더십 측정도구 개발. 유아교육연구, 29(4), 5-22.
  46. 정남미, 이소희, 강은진, 박혜숙, 김금희, 유연일 등(2009). 유아리더십교육의 이론과 실제. 서울: 창지사.
  47. 정유정(2007). 유아 셀프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8. 정지현(2006). MLQ 조사를 통한 영유아교육 및 보육 기관장의 리더십에 대한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1), 55-90.
  49. 정지혜(2011). 유아의 리더십과 자아존중감 및 정서지능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조경서(1992). 또래집단의 리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조민경(2009). 유아 리더십교육에 대한 부모 및 교사의 인식 및 요구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2. 조은숙(1998). 코칭 기반 리더십 증진 프로그램의 경험이 청소년의 리더십 기술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3. 최남례(2006). 유아 서번트 리더십 교육프로그램 개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4. 최윤정(1998). 그림동화책 읽어주기와 토의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추론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55. 최자윤(2009). 유아 셀프리더십 평가도구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6. 한국교육개발원(2003). 지도력 진단도구 개발연구. 한국교육개발원.
  57. 황윤세(2010).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변영영유아교육연구, 4(2), 15-129.
  58. Covey, S. R. (2003). The seven habits of highly effective people,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김경섭 옮김). 서울: 김영사(원판 1989).
  59. Cropley, A. J. (2004). Creativity in education & learning: A guide for teachers and educators, 창 의성 계발과 교육(이경화, 최병연, 박숙희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원판 2001).
  60. Kagan, L. S. (1994). Leadership: Rethinking it-making it happen. Young Children, 59(4), 50-54.
  61. Lynham, S. A. (2000). Leadership development: A review of the theory and literature. Symposium 12, Academy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HRD).
  62. Sullivan, D. R-E.(2007). Effective leadership skills for teachers of young children, 유아교사의 리 더십(정수경, 김경철 옮김). 파주: 정민사(원판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