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omparative Study of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compare how the Enneargram personality types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would affect their job satisfac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distribution of the participants' Enneargram personality types, the most common was the Peacemaker type and the least common was the Achiever type. Second, for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job-related subcategory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he post-hot comparison showed that the Loyalist type showed the lowest score in job-related job satisfaction. Third, in term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coping strategy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s. The post-hot comparison showed that the Individualist type showed the highest score in psychological coping strategy.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are also discussed.

이 연구는 에니어그램을 이용하여 측정한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만족도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영유아교사 189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여 얻은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은 중재자 유형이 가장 많았고, 개혁가 유형, 조력가 유형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도의 4개 하위요인 가운데 직무요인에서만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성취자 유형은 직무요인에 대해 가장 만족하였고, 지도자 유형의 만족 정도가 가장 낮았다. 그러나 이 두 집단의 수가 작아서 사후검증 결과 다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 대신 충성가 유형이 개혁가, 조력가, 낙천가, 중재자 유형에 비해 직무만족도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유아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대처 방식은 5개 하위요인 가운데 심리적 대처 방식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예술가 유형이 가장 높은 점수를, 조력자 유형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사후검증 결과 예술가 유형은 개혁가, 조력가, 충성가, 낙천가, 중재자 유형보다 각각 유의하게 심리적 대처 방식을 더 많이 하는 것을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석만(1999). 인간관계 심리학. 서울: 학지사.
  2. 권혜진(2008). 보육교사의 정서노동과 소진 - 정서적 부조화의 매개효과에 대한 탐색. 인간발달연구, 15(4), 93-113.
  3. 김선영, 이지영(2004).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직무 스트레스와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3), 305-330.
  4. 김정미(2008). 초등교사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직무스트레스 수준 및 대처방식과의 관계. 에니어그램연구, 5(1), 37-58.
  5. 문채련, 이소은(2005). 유아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3), 387-399.
  6. 문태형(2003). 유치원 교사의 사회성 효능감과 스트레스대처양식 및 내외통제소재간의 관련성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7(1), 27-42.
  7. 박영태, 이경님, 하수연 2008). 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및 창의적 인성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1), 275-298.
  8. 보건복지부(2011). 보육통계. 서울: 보건복지부.
  9. 석은조, 신성철(2008). 유아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의 조직문화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와 스트레스 대처 방안.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5(1), 327-347.
  10. 육아정책연구소(2011). 유치원종일제특성화프로그램 추천제. http://www.recom,kicce.re.kr.
  11. 윤운성(2001).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검사의 개발과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15(3), 131-161.
  12. 윤운성(2003). 한국형 에니어그램 검사의 해석과 활용. 서울: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13. 윤운성(2009). 에니어그램과 인간관계. 서울: 한국에니어그램교육연구소.
  14. 윤운성, 김봉환, 임형택, 황임란, 이주하, 정정옥, 이명숙(2008). 에니어그램 -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5. 이광자(2002). 간호사의 에니어그램 유형분석. 간호과학, 14(2), 31-44.
  16. 이미련, 김순구(2005).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관한 조사. 부모자녀 건강학회지, 8(2), 168-181.
  17. 이미형(1998). 초등교사의 성격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상복, 도명애(2010). 어린이집.유치원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정서.행동장애연구, 26(4), 107-135.
  19. 이영수(2005). 어린이집 교사의 성격유형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수준과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이점자, 김현모(2012). 보육교사의 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국공립 어린이집과 민간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비교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2), 101-120.
  21. 이정복(2006). 초등교사의 성격유형, 스트레스 대처 방식,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분석. 건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주연, 강민정, 단현국(2006). 유치원 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유아의 정서신념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2), 401-420.
  23. 이진화(2007). 유아교사의 정서지능과 직무만족도, 소진과의 관계. 유아교육, 16(4), 199-210.
  24. 이희자, 송민재(2001). 교사가 지각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유형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한국생활과학회지, 10(2), 153-163.
  25. 장미아(1996).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조성연(2005a).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69-79.
  27. 조성연(2005b).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6(1), 359-373.
  28. 주선영(2008). 보육종사자의 성격유형에 따른 정서노동 및 정서지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채진영(2010). 영유아-교사 애착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1993년-2010년.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21(4), 517-528.
  30. 최유경(2009).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유아교사들의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추민아, 장영애(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대한 보육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의 영향.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지, 20(3), 343-355.
  32. 황해익, 김미진, 탁정화(2011). 직장보육시설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추계학술대회: 구두발표논문.
  33. Allport, G. W. (1963). Pattern and Growth in Personalitsy. PA: Harcourt College Publishers.
  34. Baron & Wagele (1994). The Enneagram made easy: Discover the 9 Types of People. San Francisco: Harper.
  35. Barrett, L. (1991). Impact of teacher personality on classroom environment. Journal of Psychological Type, 18, 1-2.
  36. Brebner, J. (2001). Personality and stress cop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1, 317-327. https://doi.org/10.1016/S0191-8869(00)00138-0
  37. Compbell, J. P., & Scarpello, V. (1983). Job satisfaction and the fit between indificual needs and organizational rewards.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6, 315-328. https://doi.org/10.1111/j.2044-8325.1983.tb00138.x
  38. Costa, Jr. P. T., Somerfield, M. R., & McCrae, R. R. (1996). Personality and coping: A reconceptualization. In M. Seidner, & N. S. Endler, Handbook of coping: Theory, research, applications. New York: Wiley.
  39. Feitler, F. C. & Tokar, E. B. (1981). Teacher stress: Sources,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Los Angles, CA, April, 13-17.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204 857.
  40. Klassen, R. M., Foster, R. Y., Rajani, S., & Bowman, C. (2009). Teaching in the Yukon: Exploring teachers' efficacy beliefs, stress, and job satisfaction in a remote set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 381-394. https://doi.org/10.1016/j.ijer.2010.04.002
  41. Jorde-Bloom, P. (1988). Measuring work attitudes in the early childhood setting: Technical manual for the early childhood job satisfaction survey and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Illinois Early Childhoo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ject.
  42. Judge, T. A., Thoresen, C. J., Bono, J. E., & Patton, G. K. (2001). The job satisfaction-job performance relationship: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27, 376-407. https://doi.org/10.1037/0033-2909.127.3.376
  43. Levine, J. (2003). The enneagram intelligences: Understanding personality for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에니어그램 지능 - 효과적인 수업과 학습을 위한 성격의 이해(윤운성 외 옮김), 서울: 교육과학사(원판 1999).
  44. Lounsbury, J. W., Gibson, L. W., Steel, R. P., Sundstrom, E. D., & Loveland, J. L. (2004). An investigation of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in relation to career satisfac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7, 181-189. https://doi.org/10.1016/j.paid.2003.08.010
  45. Rudasill, K. M., & Rimm-Kaufman, S. E. (2009). Teacher-child relationship quality: The roles of child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4, 107-120. https://doi.org/10.1016/j.ecresq.2008.12.003
  46. Rushton, S., Morgan, J., & Richard, M. (2007). Teacher's Myers-briggs personality profiles: Identifying effective teacher personality trait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3, 432-441. https://doi.org/10.1016/j.tate.2006.12.011
  47. Uehara, T., Sakado, K., Sakado, M., Sato, T., & Soomeya, T. (1999).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personal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s, 68, 26-30. https://doi.org/10.1159/000012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