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 of Work Environment, Job-related Environment and Burnou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mong Nursery School Teachers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업무요인과 소진을 매개로

  • 권화숙 (대구산업정보대학 유아교육과)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factors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among nursery school teachers. To accomplish the study purpose, this study first classified several variables into three broad categories including work environment (social support & work environment), job-related environment (work-related stress &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And then, 302 nurse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were surveyed in order to explore whether those factors were associated with life satisfaction. The overall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work environment had a direct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econd, soci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had a direct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Third, social support, work-related stress and job satisfaction directly influenced burnout. Fourth, job-related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had a direc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Overall, it was found that job-related environment,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had a direct influence on life satisfaction among nursery school teachers and social support and work-related stress had an indirec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via burnout.

본 연구는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어떤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 지를 탐색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여자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즉 근무환경요인(사회지지와 근무환경), 업무환경요인(업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 및 소진요인으로 범주화하여 이들 변인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업무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지지와 근무환경이었다. 둘째,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사회지지와 업무스트레스였다. 셋째,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지지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였다. 넷째, 삶의 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는 근무환경과 직무만족도 및 소진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에 근무환경, 직무만족도 및 소진은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사회지지와 업무스트레스는 소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이슬, 김민경(2011). 영아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325-352.
  2. 강혜경(200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곽은희(2002).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성민(2011). 유아교사에 대한 사회지지가 업무스트레스, 직무만족도, 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6(5), 313-333.
  5. 김미라(2004). 기관특성과 개인적 특성에 따른 소진이 유아교사의 이직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미영(2005).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갈등 및 사회적 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선희(2004). 보육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인식 비교 연구.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영선(2000).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대처방법.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용미(2003).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관련된 사회적 지지에 대한 문헌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34, 111-127.
  10. 김유진(2003). 영아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은숙(2010). 어린이집 교사의 삶에 대한 자전적 탐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은주(2006). 어린이집 교사의 삶의 만족도와 직무스트레스 및 대처방법과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은화(2004). 유치원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 및 자아존중감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정휘(1991).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정신. 신체적 증상 또는 설진과의 관계 : A형 성격과 사회적 지원의 완충 효과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문미선(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연구.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박근영(2011). 보육시설 유형에 따른 교사 직무 만족도 및 학부모 만족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박소영(2010).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 10년이상 경력 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박태인(20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박헌미(2002).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 슈퍼바이저 지지변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서지영(2002). 유치원 교사의 이직 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성정애(2006). 농촌 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송유진(1993). 유아교육기관의 조직풍토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신성아(2006).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 및 이직의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신재흡(2007). 도덕적 지도성과 임파워먼트가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25(2), 93-119.
  25. 양연숙(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및 전직의도에 미치는 보육효능감과 소진의 상호작용효과.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205-221.
  26. 오영희, 김숙령(1996). 영유아 보육시설장의 보고에 의한 보육시설의 현황. 한국영유아보육학, 8, 33-52.
  27. 윤혜미(1991).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과 예방적 접근, 동광, 101, 22-49.
  28. 이경민(2001). 유치원 교사의 생애에 대한 기초연구. 유아교육연구, 22(2), 95-114.
  29. 이영희(2005). 교사의 조직몰입에 관한 연구동향. 교육행정학연구, 23(4), 29-48.
  30. 임현순(2010).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과난 연구 : 청주시 보육교사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정정희(2003).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지도성 및 운영관리능력과 교사의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신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4(1), 69-79.
  33. 차경호(2001). 대학생의 성격 특성과 삶의 만족도. 청소년 상담연구, 9(1), 7-26.
  34. 최진호(1996). 보육교사의 지굼 만족도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추헌(1993). 조직행동론. 서울 : 형설출판사.
  36. 허용남(2006). 보육교사의 직무소진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허정희(2005). 어린이집 유형에 따른 교사 직무 만족도 비교연구 : 경남 김해, 창원, 마산시를 중심으로. 인제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Chan, D. W. (2003). Hardiness and it's role in the stress-burnout relationship among prospective Chinese teachers in Hong Kong. Teaching and Thecher Education, 19(4), 381-395. https://doi.org/10.1016/S0742-051X(03)00023-4
  39. David, E A., & James, P. E. (2001). Social support and principal leadership style : A means to reduce teacher stress. Education, 105(3), 327-332.
  40. Schonfeld, I. S. (2001). Stress in 1st-year women teacher : the context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7(2), 133-168.
  41. Schwazer, R. & Nina, K. (2007). Functional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3. https://doi.org/10.1080/00207590701396641
  42. Skaalvik E. M., & Skaalvik, S. (2010). Teacher self-efficacy and teacher burnout : A study of relation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 1059-1069. https://doi.org/10.1016/j.tate.2009.11.001
  43.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 290-312). San Francisco : Jossey-B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