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Meta-regression Analysis on related Protective Variables of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의 메타회귀분석

  • 문동규 (삼육보건대학교 보건사회복지과)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systematic review of the previous studies done on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From 2001 to 2011, 33 articles which reforted primary empirical data met the criteria for inclusion in the meta-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 ws: First, included in the main factors related to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were a job-related variable, an organizational internal variable and an organizational external variable. Second,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 related to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set of organizational external variables was work-time followed by welfare, education and training, remuneration, social recognition and promotion system. Third,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 related to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set of job-related variables was teacher efficacy followed by job satisfaction, participation of decision making, performance, work-autonomy and work-professionalism. Fourth, the most influential protective variable related to the child-care teacher's turnover intentions among the set of organizational internal variables was personal relations followed by relationships with the director and relationships with colleagues. The effect size of these variables was large. Fifth, the results of meta-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the survey area and years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verall effect sizes.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의 보육교사 이직의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직의도를 억제하는 변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조사시기와 조사지역에 따른 변화추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으로는 분석을 위해 효과크기 변환이 가능한 논문 33편을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이직의도와 관련된 억제변인군의 효과크기는 조직외면적, 직무, 조직내면적변인군 순으로 나타났고, 세변인군 모두 중간효과크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외면적변인군의 하위변인은 근로시간의 효과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변인군의 하위변인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이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내면적변인군의 하위변인은 대인관계와 원장과의 관계의 관계가 큰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조사년도에 따른 이직의도 억제와 관련된 변인의 메타회귀분석 결과 모든 연구 개념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변인들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복지후생은 수도권외지역보다 수도권지역일 수록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경북문화신문. 2011년 10월 3일, "어린이집 교사 초과근무수당도 못주는 정부".
  2. 광주일보. 2011년 10월 19일, "광주지역 보육교사 근로조건 열악".
  3. 김도형(2010). 학습동기, 경력계획 및 조직지원이 경력정체와 이직의도 간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안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아영, 차정은(1997). 자기효능감의 측정. 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동게학술발표대회논문집, 81-104.
  5. 김윤지(2008).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가 이직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진아(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 연구.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효심(2007).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문미선(2007).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와 근무환경 및 직무만족도와의 관계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박미순(2010).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부대학교 원격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보건복지가족부.여성정책연구원(2009). 2009전국보육실태조사: 영유아보육법을 중심으로.
  11. 보건복지부 육아정책개발센터(2009). 보육정책개편방안연구: 영유아보육법을 중심으로.
  12. 보건복지부(2009). 보육실태조사.
  13. 배종애(2009). 시설장의 리더십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서지영(2002). 유치원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이론적 모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5. 성현숙(2009).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송병식, 강문실, 김희철(2010). 직무배타성과 이직의도 간의 감성지능 조절효과. 상업교육연구, 24(1), 419-437.
  17. 시사IN(2010).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을 떠나는 까닭. 155호.
  18. 신태식(2006). 교직논술특강. 서울 : 북타운.
  19. 안성아(2004). 어린이집 근무환경이 보육교사의 이직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엄세진(2008). 보육교사의 선택.최적화.보상 책략과 소진과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5(3), 207-223.
  21. 오영숙(2010). 영아반 교사의 교수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유현정(2011). 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그리고 이직의도 간의 관계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윤경준, 지경빈(2011). 보육교사의 이직의동기와 정책 시사점: 서울형어린이집의 구조적 특성과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15(2), 171-197.
  24. 이용교(2010). 보육교사의 근무환경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이재경(2006). 보육교사의 이직과 전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준구(2009). 영유아보육시설의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에 관한연구. 고려대학교 인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진화, 이승연(2006). 보육교사가 지각한 의사결정참여와 조직적, 심리적요인, 직무만족도, 이직의도 간의 관계. 유아교육논문집, 10(1), 229-250.
  28. 이형정(2008). 국.공립 보육시설의 근무환경과 보육교사의 이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임숙이(2004). 보육교사의 이직의도 결정요인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임주희(2007).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장갑수, 홍석영(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교사효능감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몰입과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327-337.
  32. 장은주(1997).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지지가 생활 만족도와 신체적,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장진성(2010). 어린이집 영어전담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4. 정경진(2007). 직무스트레스와 자기효능감이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정란희(2010).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정훈희(2004). 기관유형에 따른 유아교사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및 교직관의 관계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조기전(2008). 노인복지시설 종사자의 이직의도와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8. 조성연(2005).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소진. 한국생활과학지, 14(1), 69-79.
  39. 최석란(2008). 보육교사의 전문성과 교사교육. 사회과학논총, 15, 101-115.
  40. 최숙희(2011). 보육교사의 직무만족도와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표갑수, 황영자(2011). 중.소도시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시설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66, 1-23.
  42. 하미영(2011). 보육교사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홍춘자(2008)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4.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Erlbaum.
  45. Dembo, M. H., & Gibson. S. (1985). Teacher's sense of efficacy: An important factor in school improvement.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6(2), 173-184. https://doi.org/10.1086/461441
  46. Ellis, A., & Bernard, M. E. (2006). Rational emotive behavioral approaches to childhood disorders. New York: Springer.
  47. Hoy, W. K., & Tarter, G. J. (1993). A normative theory of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in schools.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1(3), 4-19.
  48. Whitebook, M., & Sakai, L. (2003). Turnover begets turnover: An examination of job and occupational instability among child care staff.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8(3). 273-293. https://doi.org/10.1016/S0885-2006(03)00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