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zing Relationship between Road Traffic Flows and Noise Trend using Korea Highway Traffic Noise Model

KHTN을 이용한 교통류 특성과 교통소음추이 분석

  • 최윤혁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 김철환 (한국도로공사 도로교통연구원)
  • Received : 2012.05.04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Road traffic noise is closely related to road traffic environment, including traffic volumes by type and travel speed. In this study, we stated some issues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oad traffic noise and traffic flow characteristics. First, in attempt to fi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en does the loudest traffic noise occur?" we reviewed the issue in the terms of traffic flow. As a result of analyzing level of service through Korea Highway Traffic Noise model, the actual maximum noise occurred in level of service D rather than level of service E, on the capacity state. It shows that maximum noise would be most likely to occur right before and after the peak hours. Second, this paper was looking for the method of a more easy and accurate traffic speed estimation to predict traffic noise. This paper proposed sketch planning techniques of speed-volume curve by level of service on Korea Highway Capacity Manual. As a result of trend line modeling, it was judged that quadratic form is a suitable function, and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was higher than 0.96, respectively.

도로교통소음은 자동차의 이동 즉 교통량과 통행속도등 도로교통환경과 밀접하게 관련되는바 본 논문에서는 교통류특성과 도로교통소음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하였다 첫째는 "최대 소음이 언제 발생하는가?"라는 문제로 교통량이 많은 첨두시간대에 과연 최대소음이 발생할 것인지를 교통류측면에서 검토하고자 하였다. KHTN 모델을 통해서 LOS를 분석한 결과 실제 최대 소음은 용량상태인 LOSE가 아닌 LOSD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제 첨두시간대에는 교통량은 많지만 통행속도가 낮기 때문에 오히려 첨두시간을 전후하여 최대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보여준다. 둘째는 교통소음예측에 이용되는 차종별 통행속도 추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쉬우면서도 정확성을 지닌 통행속도추정기법을 찾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케치 플래닝 기법으로 도로용량편람의 '고속도로 기본구간의 속도 교통량 곡선과 서비스수준' 그래프를 이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각 설계속도별 추세선 모형식 산정결과 최적의 함수유형은 2차 다항식이며 각각 $R^2$가 0.96이상의 값을 가지고 있어 적합한 모형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