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혁신도시의 지속가능한 혁신창출을 위한 관리기구 설립방안 조사 연구

A Study on the Measures to Install of Management Organization for the Sustainable innovation Creation in Innovation City

  • 투고 : 2012.03.13
  • 심사 : 2012.04.27
  • 발행 : 2012.04.30

초록

정부는 수도권으로의 집중을 해소하고 지역균형발전을 도모하고자 2005년 전국10개 지역에 혁신도시를 지정하였다. 혁신도시는 공공기관을 지방에 이전하여 기업 대학 연구소 공공기관 등의 기관이 서로 긴밀하게 협력할 수 있는 혁신여건과 높은 주거 교육 문화 등의 정주환경을 갖추도록 개발하는 미래형 도시개념이었다. 혁신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현재 한시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혁신도시 비즈니스센터가 향후 혁신도시의 혁신창출을 위한 관리기구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방향설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혁신도시 조기정착 및 활성화를 위해 운영 중인 혁신도시 비즈니스센터가 한시적 기구가 아니라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운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혁신도시의 부지조성 이후 혁신도시 조성목표인 공공기관의 이전과 산학연 클러스터구축, 혁신창출, 혁신확산의 중심주체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기구의 역할정립 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책사업의 관리기구에 대한 연구라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고 향후 개발사업에 대한 중장기적인 관리에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Korean government designated 10 innovation cities throughout the country in 2005 in order to resolve concentration on the capital region and to promote balanced development of localities. An innovation city is a future-type city equipped with environment for innovation and high-quality settlement environment in terms of residence, education and culture by accommodating public institutions and facilitating close cooperation among companies,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es. Thus, for the early settlement and activation of innovation cities, this study suggested a plan to operate the current innovation city business centers from a mid- and long-term viewpoint rather than for a limited time. Through this study, we attempt to establish the roles of the centers so that they can play central roles in the move of public institutions, the development of industry-university-research institute clusters, the creation of innovations, and the spread of innovations, which are the goals of the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after the sites have been prepare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5),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안).
  2. 건설교통부(2005), 수도권 공공기관의 효율적인 지방이전 추진방안 연구.
  3. 건설교통부(2005), 혁신도시 입지선정기준 연구.
  4. 국가균형발전위원회(2004), 경쟁력 있는 지방화시대를 여는 혁신도시 건설방안.
  5. 권영섭(2006), "혁신도시의 클러스터 기능 확보방안", 국토 297: 23-68.
  6. 권영섭, 박경현(2009), "혁신도시 조성과제와 혁신주체별 역할", 충북개발연구, 17(1): 1-20
  7. 권용우(2009), "혁신도시와 광역경제권 발전방향", 국토지리학회지 43(3): 307-323.
  8. 권정주, 김윤수, 황희연(2009), "혁신도시 조성의 산업클러스터 구축효과 분석", 국토지리학회지, 43(4): 557-569, 국토지리학회.
  9. 김광익, 이동우, 권영섭, 김형진, 박경현(2006), 공공기관 지방이전 및 혁신도시 건설백서 연구, 국토연구원.
  10. 김준우, 안영진, 이정록(2007), "혁신도시 이전대상 기관 직원들의 이주 및 정착의지: 광주 ․ 전남 공동혁신도시 나주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6): 639-660.
  11. 변창흠, 권영섭(2007), "도시규모별 혁신잠재력과 혁신창출능력 간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55: 137-154, 국토연구원.
  12. 산업연구원(1999), 국가 및 지역경쟁력 연구 보고서.
  13. 오덕성, 최영일(2005), "독일의 지역혁신 클러스터 구축과 Technopark의 역할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0(3).
  14. 윤칠석(2009), "혁신도시와 연계한 지역산업 육성전략 : 경북 혁신도시를 사례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5(5): 537-553, 한국지역지리학회.
  15. 이만형(2007), "혁신도시 건설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8(2): 141-173.
  16. 이보영, 2011, "혁신도시와 지역 및 국가의 경쟁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1): 1-18.
  17. 이현주, 김도형, 권용우, 이원호, 박원석(2007), 혁신도시의 조기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토지공사 국토도시연구원.
  18. 이정록(2007),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 입지선정과 지역발전 효과", 한국경제지학회지, 10(2):223-238.
  19. 이철우, 이종호, 김명엽(2003), "지역혁신체제에 있어 지역개발기구의 역할:이탈리아 에밀리아 로마냐 지역개발기구를 사례로", 한국경제지리학회지, 6(1): 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