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Soil Binder Using Plant Extracts

식물추출액을 이용한 지반 고결제 개발

  • Park, Sung-Sik (Dept. of Civil Engrg., Kyungpook National Univ.) ;
  • Choi, Sun-Gyu (Dept. of Civil Engrg., Kyungpook National Univ.) ;
  • Nam, In-Hyun (Geologic Hazards Dept.,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 박성식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 최선규 (경북대학교 건축토목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 남인현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재해연구실)
  • Received : 2012.03.02
  • Accepted : 2012.03.26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This paper presents an environment-friendly sand cementation method by precipitating calcium carbonate using plant extracts. The plant extracts contain urease like $Sporosarcina$ $pasteurii$, which can decompose urea into carbonate ion and ammonium ion. It can cause cementation within sand particles where carbonate ions decomposed from urea combine with calcium ions dissolved from calcium chloride or calcium hydroxide to form calcium carbonate. Plant extracts, urea and calcium chloride or calcium hydroxide were blended and then mixed with Nakdong River sand. The mixed sand was compacted into a cylindrical specimen and cured for 3 days at room temperature ($18^{\circ}C$). Unconfined compression test, SEM and XRD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evaluate three levels of urea concentration and two different calcium sources. As urea concentration increased, the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increased up to 10 times those without plant extracts because calcium carbonate precipitated more, regardless of calcium source. It was also found that the strength of specimen using calcium chloride was higher than that of specimen using calcium hydroxide.

본 연구에서는 식물추출액을 이용하여 모래 입자 사이에 친환경적으로 탄산칼슘을 석출시켜 모래 고결을 유발하고자 하였다. 식물추출액에는 고결유발 미생물(예: $Sporosarcina$ $pasteurii$)과 같이 요소를 탄산이온과 암모늄이온으로 분해하는 우레아제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분해된 탄산이온과 용액 속에 녹아 있는 칼슘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을 석출시키는 원리를 이용하여 모래의 고결을 유도하였다. 깨끗한 낙동강모래에 식물추출액과 요소 그리고 칼슘원(염화칼슘 또는 수산화칼슘)을 혼합한 용액을 섞어서 비빈 다음 다짐방법으로 공시체를 제작하였다. 요소의 농도를 세 종류로 달리하였으며, 제작된 공시체를 실내($18^{\circ}C$)에서 3일 동안 양생시킨 다음 일축압축시험과 SEM 및 XRD분석을 실시하여 사질토의 고결 정도를 연구하였다. 칼슘원에 관계없이 요소의 농도가 높을수록 탄산칼슘이 더 많이 침전되어 일축압축강도는 식물추출액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10배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염화칼슘을 사용한 공시체가 수산화칼슘을 사용한 경우보다 더 높은 강도를 나타내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현, 김호철, 박경호 (2010), "Bacteria를 이용한 연약한 흙의 고결화 가능성", 한국지반공학회 가을학술발표회 논문집, pp.379-391.
  2. 김선태, 도종남, 조현수, 천병식 (2011), "다당류 친환경 지반개량재를 이용한 지반강도 증대 효과",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제12권 제11호, pp.13-21.
  3. 박성식, 김화중, 이준철 (2011), "미생물에 의해 생성된 광물질이 고결모래의 강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27권 5호, pp.75-84.
  4. 박성식, 김기영, 최현석, 김창우 (2009), "양생방법에 따른 고결 모래의 일축압축강도 특성",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29권 제5C호, pp.207-215.
  5. 안지환, 박찬훈, 김정효, 이종국, 김환 (1996), "고농도 수산화칼슘 수용액으로부터 초미립 경질 탄산칼슘 분말의 합성", 한국결정성장학회지, 제6권 4호, pp.509-520.
  6. 이병호, 김영훈, 천병식 (2010), "실리카졸 약액의 환경영향성 검토 및 내구증진방안",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제11권 제12호, pp.13-18.
  7. 천우영, 박성진, 김화중, 김사열 (2008), "미생물의 생체광물형성 작용을 이용한 스마트 콘크리트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379-384.
  8. 한현각, 김보미, 김진아 (2008), "탄산칼슘결정 생성에서 온도와 PAA 영향", 화학공학, 제46권 제6호, pp.1052-1056.
  9. Bruker-AXS (2008), $DIFFRAC^{Plus}$ TOPAS: TOPAS 4.2 User Manual, Bruker-AXS GmbH, Karlsruhe, Germany.
  10. DeJong, J. T., Fritzges, M. B., and Nüslein, K. (2006), "Microbially Induced Cementation to Control Sand Response to Undrained Shear",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pp.1381-1392.
  11. Kawasaki, S., Ogata, S., Hiroyoshi, N., Tsunekawa, M., Kaneko, K. and Terajima, R. (2010), "Effect of temperature on precipitation of calcium carbonate using soil microorganisms", Journal of Japan Society of engineering Geology, Vol.51, No.1, pp.10-18. https://doi.org/10.5110/jjseg.51.10
  12. Mitchell, J. K. and Santamarina, J. C. (2005), "Biological Considerations in Geotechnical Engineering",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131(10), pp.1222-1233. https://doi.org/10.1061/(ASCE)1090-0241(2005)131:10(1222)
  13. Terajima, R., Shimada, S., Oyama, T., and Kawasaki, S. (2009), "Fundamental study of siliceous biogrout for eco-friendly soil improvement", Journal of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 Vol.65, No.1, pp.120-130.
  14. Van Paassen, L. A., Ghose, R., van der Linden, T. J. M., van der Star, W. R. L., and van Loosdrecht, M. C. M. (2010), "Quantifying biomediated ground improvement by ureolysis: large-scale biogrout experiment", Jour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Vol.136, No.12, pp.1721-1728. https://doi.org/10.1061/(ASCE)GT.1943-5606.0000382
  15. Whiffin, V. S., van Paassen, L. A., and Harkes, M. P. (2007), "Microbial carbonate precipitation as a soil improvement technique", Geomicrobiology Journal, 24, pp.417-423. https://doi.org/10.1080/01490450701436505

Cited by

  1. Effect of Strength Enhancement of Soil Treated with Environment-Friendly Calcium Carbonate Powder vol.2014, pp.1537-744X, 2014, https://doi.org/10.1155/2014/526491
  2. Bacteria로 처리된 모래지반의 강도 및 주입효과 vol.29, pp.2, 2012, https://doi.org/10.7843/kgs.2013.29.2.65
  3. 환경 유해 부산물 누출이 없는 지반 보강용 효소 기반 탄산칼슘 침전 기법 연구 vol.37, pp.4, 2012, https://doi.org/10.7843/kgs.2021.37.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