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erification of 2-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II) - Earthquake Records in Korea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의 검증 (II) - 국내 실지진 기록을 통한 검증

  • Lee, Sei-Hyun (Dept. of Structural System and Site Evaluation, Korea Institute of Nuclear Safety) ;
  • Park, Dong-Hee (Site Hazard Assessment Team, KHNP-CRI) ;
  • Ha, Jeong-Gon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AIST) ;
  • Kim, Dong-Soo (Dep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KAIST)
  • 이세현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구조부지평가실) ;
  • 박동희 (한국수력원자력(주) 중앙연구원 부지재해평가팀) ;
  • 하정곤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 김동수 (한국과학기술원 건설 및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2.01.06
  • Accepted : 2012.03.20
  • Published : 2012.03.31

Abstract

Following the companion paper (I. Comparisons with Well-known Seismic Code and Site Response Characteristics), several acceleration data recorded during recent earthquake events in Korea were analyzed to verify the suitability of the proposed two-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the corresponding site coefficients. For all of rock-soil site pairs less than 30 km distant, response spectrums and corresponding site coefficients, $F_a$ and $F_v$, were determined. Unfortunately, some of data have an eccentric error, where the spectral acceleration of rock site is more amplified than that of soil site. The $F_a$ and $F_v$ for all of pairs except the pairs of error were compared with those in the current code and the proposed system. The $F_a$ and $F_v$ from the recorded motions show definitely different trend from that of the current code. In addition, the site coefficients from recorded motions at four 765 kV substation sites, which are several hundred meters distant, have a remarkably similar trend and absolute values to those in proposed two-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system. Based on earthquake motions recorded in domestic areas including data from the four 765 kV substation sites, the two-parameters site classification and site coefficients are superior to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current Korean seismic code.

동반논문(I. 국외 내진설계기준 및 부지응답특성과의 비교)에 이어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의 지반 증폭계수가 국내 지반조건 및 지반증폭특성에 적합함을 검증하기 위하여, 2003년 이후 국내에서 발생 또는 영향을 미친 주요 지진에 대한 계측 기록을 분석하였다. 거리가 30km 이내인 암반 계측 관측소와 토사지반 계측 관측소의 계측 자료들을 추출하여 시간영역 가속도 신호로부터 암반 및 토사지반에서의 응답스펙트럼을 각각 결정하였고, 이로부터 단주기 및 장주기 증폭계수를 결정하였다. 일부 오류가 발생한 데이터들도 존재하였지만, 대부분 국내 지반 특성에 적합하도록 단주기 영역에서의 증폭이 장주기 영역보다 크게 나타났다. 또한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에서 제안하는 지반 증폭계수는 실지진 계측 기록으로부터 획득한 결과와 매우 유사한 경향을 보임으로써 타당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국전력연구원에서 운영중인 4개의 765kV 변전소 지진 계측 기록을 추가적으로 분석하였다. 암반 계측과 토사지반 계측 사이의 거리가 수백 m로 가깝게 설치되었으므로 오류 없이 일관된 결과를 도출하였고, 2-매개변수 지반분류 방법의 지반 증폭계수는 경향성 및 절대값에서 실지진 계측 자료 분석 결과와 유사성을 보이면서 국내 지반 조건에 대한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기상청 (2010), "지진 및 지진해일 관측망 종합계획 : 2010-2014", 551.22087-11-1, 기상청 지진관리관실.
  2. 기상청 (2009), "http://www.kma.go.kr/".
  3. 김동수, 이세현, 윤종구 (2008), "기반암 깊이와 토층 평균 전단파속도를 이용한 국내 지반분류 방법 및 지반 증폭계수 개선", 대한토목학회 논문집, 제28권 제1C호, pp.63-74.
  4. 김준경 (2009), "오대산지진 자료를 이용한 국내 지진관측소 부 지의 지반증폭특성 연구", 한국지진공학회 논문집, 제13권 제1호, pp.27-34.
  5. 박동희, 연관희, 장천중 (2003), "지진관측 자료를 이용한 국내 관측소의 지반특성 분류", 한국지진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61-68.
  6. 연관희, 서정희 (2007), "지진동모델 파라미터 동시역산을 이용한 지진관측소 분류", 물리탐사학회 논문집, 제10권 제3호, pp.183-190.
  7. 지식경제부 (2008), "지진발생 시 765kV 변전설비의 내진성능평가 및 안전조치기술 개발", R-2005-0-039, 한국전력연구원.
  8. 한국과학기술한림원 (2008), "우리나라 지진재해 저감 및 관리대책의 현황과 개선 방안", 한림원연구보고서 51.
  9. Dobry, R., Borcherdt, R. D., Crouse, C. B., Idriss, I. M., Joyner, W. B., Martin, G. R., Power, M. S., Rinne, E. E. and Seed, R. B. (2000), "New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used in recent building seismic code provisions", Earthquake Spectra, Vol.16, No.1, pp.41-67. https://doi.org/10.1193/1.1586082
  10. Dobry, R., Ramos, R., and Power, M. S. (1999), "Site factors and site categories in seismic codes", Technical Report MCEER-99-0010, Multidisciplinary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11. Idriss, I. M. (1991), "Earthquake ground motions at soft soil site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Recent Advances i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Rolla, Missouri, Vol.3, pp.2265-2273.
  12. Joyner, W. B., Fumal, T. E., and Glassmoyer, G. (1994), "Empirical spectral response ratios for strong motion data from the 1989 Loma Prieta, California, earthquake", Proceedings of the 1992 NCEER/SEAOC/BSSC Workshop on Site Response During Earthquakes and Seismic Code Provisions, G. R. Martin, ed.,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LA, November 18-20, 1992, National Center for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Special Publication NCEER-94-SP01, Buffalo, NY.
  13. Lee, Sei-Hyun, Sun, Chang-Guk, Yoon, Jong-Ku, Kim, Dong-Soo (2011),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new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site coefficients for regions of shallow bedrock in Korea",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Accepted)

Cited by

  1. Evaluation of Seismic Loading of Pile Foundation Structure Considering Soil-foundation-structure Interaction vol.18, pp.3, 2014, https://doi.org/10.5000/EESK.2014.18.3.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