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n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ic Extracts of Chinese Matrimony Vine (Lycium chinensis M.)

구기자 유전자원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활성 비교

  • An, Tae-Hwan (Department of Crop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uk-Young (Department of Agro-food Resource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DA) ;
  • Cho, Jin-Woong (Department of Crop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안태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 이석영 (농촌진흥청 농업유전자원센터) ;
  • 조진웅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Received : 2011.11.01
  • Accepted : 2012.01.30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high antioxidant activity varieties of chinese matrimony from the 131 accessions which conserved at Cheongyang Gugija Experiment Station. The status of the 131 accessions were composed 21 of local varieties, 20 of introduced species and 90 of improved races. The anti-oxidant activity using DPPH and $IC_{50}$, 45 accessions out of 90 showed high activity in free radical scavenging ability as less than $200{\mu}g/m{\ell}$ in improved races, while nine and six accessions from the introduced species and local varieties, respectively. At the stem part, the highest three anti-oxidant varieties among 131 accessions are "C0148-94", "D0148-72" and "Cheongdae", while China collection 1 in leaf part. Since "Cheongdae" is the progeny from the "Cheongyang Jaerae 5" and "Myungan" and those two varieties, "C0148-94" and "D0148-72" are from the Myungan and Cheongdae, high anti-oxidant activity can be inherited in Chinese matrimony vine.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보존하고 있는 구기자$Lycium$ $chinesis$ Miller) 유전자원 131점의 잎과 줄기의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한 후 이 추출물들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관련 요소들을 바탕으로 계통 간 비교를 실시하였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잎 추출물에서 각각 농도별로 높은 활성을 보인 것은 "중국수집1" 계통으로 50, 100, 250 ppm 농도에서 32%, 65%, 92% 의 전자공여능을 보여 모든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줄기 추출물의 경우 50 ppm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38%의 활성을 보인 "C0148-94" 계통, 100 ppm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70%의 활성을 보인 "D0148-72" 계통, 250 ppm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93%의 활성을 보인 "CB01208-120" 계통으로 이 전자공여능 값을 $IC_{50}$값으로 나타내면 고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것 보단 저농도에서 부터 순차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인 계통이 $IC_{50}$값이 더 낮아 DPPH radical 소거능이 높았다. $IC_{50}$값은 잎 추출물에서 "중국수집1" 계통이 $85.61{\mu}g/m{\ell}$이었고, 줄기 추출물에서는 "C0148-94" 계통이 $52.63{\mu}g/m{\ell}$으로 각각 가장 낮았으며, $IC_{50}$값을 이용하여 구기자 잎과 줄기의 항산화활성은 $IC_{50}$값이 낮은 자원의 분포가 많은 줄기 추출물이 잎 추출물보단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자원상태별로는 대체적으로 육성종의 DPPH radical 소거능이 재래종이나 도입종에 비하여 높았다. 페놀 화합물을 정량 분석한 결과로 잎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았던($IC_{50}$이 가장 낮은) "중국수집1" 계통은 페놀화합물 총량이 가장 높은 $650.91{\mu}g/g$ 함량을 보였다. 줄기는 "C0148-94" 계통이 페놀화합물 총량이 $170.50{\mu}g/g$으로 낮았으나 두 요인간의 상관계수(미제시)가 낮은 것이 구기자 잎의 항산화활성에는 페놀화합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도 관여 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구기자 잎과 줄기의 총 페놀함량과 $IC_{50}$값의 상관관계가 잎 추출물에서 r=-0.5288, 줄기 추출물에서 r=-0.4749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항산화 활성이 높게 평가된 자원들이 유전적 배경을 공유하는 것으로 미루어 줄기의 항산화 활성이 높은 품종과의 교잡에 의해 항산화활성이 높은 품종의 육성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아직까지 항산화 소재로 사용되지 않던 구기자 잎과 줄기가 목단, 황금, 산수유 등의 약용작물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으므로 기능성 제품생산으로 유용하게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수. 1989. 한국유용자원 식물연구자원총람. 한국화학연구소, pp. 214-218.
  2. 이동진, 이지영. 2004. DPPH법에 의한 항산화활성 평가. 한국작물학회지 제49권 별호, 품질연구 제11호, 187-194.
  3. Aruoma, O. I. 1998. Free radical, oxidative stress and antioxidants in human health and disease. J. Am. Oil Chem. Soc. 75 : 199-212. https://doi.org/10.1007/s11746-998-0032-9
  4. Brieskorm, C. H., A. Fuch, J. B. Bredenberg, J. D. McChensney, and E. Wenkert. 1964. The structure of carnosol. J. Org. Chem. 29 : 2293-2297. https://doi.org/10.1021/jo01031a044
  5. Chung, I. M. 2004. Analysis Methods of Phenol Compounds. Korean J. Crop Sci. 10 : 5-12.
  6. Folin, O. and W. Denis. 1912. On phosphotungastic-phosphomolybdic compounds as color reagents. J. Biol. Chem., 12 : 239-249
  7. Han, B. H., J. H. Park, M. W. Park, and Y. N. Han. 1985. Studies on the alkaloid components of the fruit of Lycium chinense. Arch. Pharm. Res., 4(3) : 249-253.
  8. Hertog, M. G., E. J. Feskens, P. C. Hollman, M. B. Katan, and D. Kromhout. 1993. Dietary antioxidant flavonoids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the Zutphen Elderly Study. Lancet. 342 : 1007-1011. https://doi.org/10.1016/0140-6736(93)92876-U
  9. Kim, H. K., Y. E. Kim, J. R. Do, Y. C Lee, and B. Y. Lee. 1995. Anti-oxidantive activity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ome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 80-85.
  10. Madsen, H. L., C. M. Andersen and L. V. Jorgensen. 2000. Radical scavenging by dietary flavonoids. A kinetic study of antioxidant efficiencies. Eur. Food Res. Tecnol. 211 : 240-246. https://doi.org/10.1007/s002170000189
  11. Miquel, J., A. T. Quintaniha, and H. Weber. 1989. Handbook of free radical and antioxidants in biomedicine. CRC Press, Boca Raton, USA. Vol. I, p. 223.
  12. Noh, T. H. 1999. Composition and effectiveness of Gugija. Cheongyang Gugija Experiment Station, Chungnam Agricultur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f Korea. pp. 7-14.
  13. Park, J. S. 2000. Agronomic characteristic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new variety of Cheongyang Gugija. Ph. D. Thesis. Chungnam Natl. Univ. Daejeon. Korea.
  14. Park, Y. J., M. H. Kim, and S. J. Bae. 2002. Enhancement of anticarcinogenic effect by combination of Lycii fructus with Vitamin C. J.Korean Soc. Food Sci. Nutr. 31 : 143-148. https://doi.org/10.3746/jkfn.2002.31.1.143
  15. Torel, J., J. Cillard, and P. Cillard. 1986. Antioxidant activity of flavonoids and reactivity with peroxy radical. Phytochemistry. 25 : 383-385. https://doi.org/10.1016/S0031-9422(00)85485-0

Cited by

  1. Determination of Total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in Chinese Matrimony Vine's Accessions vol.57, pp.4, 2012, https://doi.org/10.7740/kjcs.2012.57.4.409
  2. 구기자나무의 재식밀도 및 예취높이가 가공용 잎 생산에 미치는 영향 vol.28, pp.2, 2020, https://doi.org/10.7783/kjmcs.2020.28.2.136
  3. A Tetraploid, Self-compatible Goji Berry (Lycium chinense Miller) Cultivar, ‘Whasu’, Adaptable to Rain Shelter Greenhouse vol.52, pp.2, 2012, https://doi.org/10.9787/kjbs.2020.52.2.165
  4. 구기자 잎 생산에 알맞은 품종, 예취시기 및 생리활성 평가 vol.33, pp.5, 2012, https://doi.org/10.7732/kjpr.2020.33.5.436
  5.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squalene as an antioxidative compound from the fruits of Prunus mume vol.45, pp.10, 2012, https://doi.org/10.1111/jfpp.15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