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valuation Management of Public Housing Architectural Competition using BIM

공공 공동주택의 BIM적용 설계 경기 평가관리에 한 연구 - BIM적용 가능 평가항목 선정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2.08.03
  • Accepted : 2012.09.15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In Korea, recently, efforts have been made to introduce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to housing complex projects. However, there have been several problems including excessive competition for building design and outcome-oriented evaluation due to a lack of clear evaluation criteria and poorly organized management process. Under this circumstance, the study surveyed opinions of project managers and conducted a pilot test to improve evaluation criteria of BIM-based design for housing complexes. The objective is to assess the level of BIM technology and its applicability, and to propose a list of reasonable evaluation criteria for better project management.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current condition of evaluation on the BIM-based housing complexes, and identified 15 preliminary items that might be suitable for application of BIM. Second, the study conducted a pilot test for the 15 items to determine their suitability for the level of BIM technology, clarity of the calculation process, and the extent of fulfilling information quality, and short-listed eight items for application of BIM. In particular, in the design concept stage, mostly 3D visual images and area-related items are suitable for BIM-based evaluation. Accordingly, formerly used items such as project cost, energy and environmental analysis, building structure, and facilities were deemed more relevant to the subsequent stages of basic design and its implementation.

국내 공공 공동주택에 BIM 도입이 추진되었으나, BIM 기반 평가 기준 불확실성 및 관리업무 프로세스 비합리성으로 인한 참여업체의 과도한 설계 유발, 성과품 제출위주의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 공동주택의 BIM 적용 설계 경기평가관리를 위해 실무자의 의견 수렴 및 시범적용을 실시하여 BIM 기술 수준 및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현실적인 평가항목 선정을 통한 평가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첫째, 본 연구에 앞서 현재 실시되고 있는 BIM 적용 공공 공동주택의 평가 현황을 살펴본 후 사전조사를 통해 BIM이 적용 가능한 항목 15개를 예비 선정 하였다. 둘째, 예비 선정한 15개의 항목 중 BIM 기술수준 적합성, 결과 값 도출과정 명확성, 정보수준 만족 여부를 기준으로 시범적용을 실시한 결과 총 8개의 항목에서 BIM이 적용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현상설계 단계에서의 BIM 적용 평가 가능 항목은 3D 시각화 및 면적 관련 항목이 대부분이며, 기존에 요구되었던 사업비, 에너지/환경분석, 구조, 설비관련 항목은 후속설계 단계(기본, 실시)에 적합한 것으로 정리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현재 국내의 BIM 기술 수준 및 적용 가능성을 올바르게 인식하지 못하고, 무분별한 범위에서 BIM을 적용하고자 하는 현업 실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적절한 범위에서 가장 객관적인 결과 및 BIM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