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ototype for Real-time Indoor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using Indoor IR Sensor Information

적외선 센서정보기반 실시간 실내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 프로토타입

  • 남현우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곽수영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전철민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2.02.29
  • Accepted : 2012.04.2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Indoor fire simulators have been used to analyse building safety in the events of emergency evacuation. These applications are primarily focused on simulating evacuation behaviors for the purpose of checking building structural problems in normal time rather than in real time situations.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in handling real-time evacuation events with the following reasons. First, the existing models mostly experiment the artificial situations using randomly generated evacuees while real world requires actual data. Second, they take too long time in operation to generate real time data. Third, they do not produce optimal results to be used in rescueing or evacuation guidance. In order to solve these limitations, we suggest a method to build an evacuation simulation system that can be used in real-world emergency situations. The system performs numerous simulations in advance according to varying distributions of occupants. Then the resulting data are stored in DBMS. The actual person data captured in infrared sensor network are compared with the simulation data in DBMS and the querried data most closely is provided to the user. The developed system is tested using a campus building and the suggested processes are illustrated.

실내공간에서 화재, 붕괴 등의 재난이 증가함에 따라 그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화재 대피시뮬레이터가 활용되고 있다. 주로 대피시뮬레이터의 활용은 건축물의 설계과정에서 피난에 적합한지를 판단하는 피난안전성 검사에 이용되고 있으며, 실제 재난 상황에서의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그 이유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결과를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하기에 몇 가지의 제약조건이 있기 때문이다. 첫째는 기존 대피시뮬레이터는 가상의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는데, 실제 재난 상황에서는 실제 인원정보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결과가 필요한 점이다. 둘째는 대피시뮬레이션 수행시간이 길기 때문에 짧은 시간안에 결과를 산출하기 어려운 시간제약적인 조건이다. 셋째는 재실자의 구조활동 및 대피안내에 최적화된 결과데이터의 산출이 어려운 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제약조건을 해결하기 위해 실제 재난 상황에서 활용가능한 결과데이터를 산출하는 대피시뮬레이션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은 사전에 수많은 인원분포에 따른 대피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DBMS에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시뮬레이터를 기본으로 하며, 적외선 센서네트워크를 이용하여 건물 내 실제 재실자 인원분포를 파악하고 이와 유사한 인원분포로 수행된 결과데이터를 질의를 통해 검색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시스템을 캠퍼스 건물에 적용하고 테스트를 수행하는 과정을 예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 Kirchner, and A. Schadschneider, 2002, "Simulation of evacuation processes using a bionics-inspired cellular automaton model for pedestrian dynamics", Physica A, vol. 312, pp. 260-276. https://doi.org/10.1016/S0378-4371(02)00857-9
  2. A. Kirchner, K. Nishinari, and A. Schadschneider, 2003, "Friction effects and clogging in a cellular automaton model for pedestrian dynamics", Phys. Rev., E 65(5): 056122-056128.
  3. C. Henein and T. White, 2005, "Agent-based modeling of forces in crowds", Springer, vol. 3415, pp. 173-184.
  4. C. Henein and T. White, 2007, "Macroscopic effects of microscopic forces between agents in crowd models", Physica A, vol. 373, pp. 694-712. https://doi.org/10.1016/j.physa.2006.06.023
  5. D. Helbing and P. Molnár, 1997, "Self-organization phenomena in pedestrian crowds", In F. Schweitzer (ed.), Self-Organization of Complex Structures: From Individual to Collective Dynamics, Gordon & Beach, London, UK.
  6. D. Helbing, I. Farkas, and T. Vicsek, 2000, "Simulating dynamical features of escape panic", Nature, vol. 407, pp. 487-490. https://doi.org/10.1038/35035023
  7. D. Helbing, I. Farkas, P. Molnár, and T. Vicsek, 2001, "Simulation of pedestrian crowds in normal and evacuation situations" In M. Schreckenberg and S. Sharma, (Eds.), Pedestrian and Evacuation Dynamics, Springer-Verlag, Berlin, pp. 21-58.
  8. E. D. Kuligowski, , R. D. Peacock, 2005, "Review of Building Evacuation Models", Report NIST TN 1471, Gaithersburg, MD: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9. K. Nishinari, A. Kirchner, A. Namazi, and A. Schadschneider, 2005, "Simulations of Evacuation by an Extended Floor Field CA Model", Traffic and Granular Flow '03, pp. 405-410.
  10. PostgreSQL, http://www.postgresql.org/.
  11. R. K. Ahuja, T. L. Magnate, and J. B. Orlin, 1993, Network Flows: Theory, Algorithms and Applications.
  12. T. Kretz and M. Schrekenberg, 2006, "Floor fieldand Agent-based Simulation Tool", International Symposium of Transport Simulation, Lausanne, Switzerland.
  13. 가기환, 이광국, 윤자영, 김재준, 김회율, 2008, "적외선 거리 측정 센서를 이용한 보행자 수 측정",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2008, pp. 819-820.
  14. 강소연, 조정훈, 최선호, 홍민호, 장원복, 2004, "방재시뮬레이션을 통한 의료시설의 피난안전성 평가", 대한설비공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2004, pp. 185.
  15. 곽수영, 남현우, 전철민, 2010, "가시성을 고려한 3차원 실내 보행자 시뮬레이션 모델",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5호, pp. 133-142.
  16. 김종훈, 김운형, 허준호, 노삼규, 2003, "대공간에서의 피난안전성능평가",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003, pp. 28-33.
  17. 김창열, 최석림, 2002, "실시간 이동 인원 계수 시스템", [IITA]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학술기사 추계종합학술발표회 논문 초록집 vol.26
  18. 박인혜, 전철민, 이지영, 2008, "CA 모델을 이용한 GIS 기반 화재 대피 시뮬레이션", 한국GIS학회지, 제16권, 제2호, pp. 157-171.
  19. 윤호주, 황은경, 2009,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Exodus와 Simulex의 알고리즘 비교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 논문발표회 논문집 ,2009, pp. 46-51.
  20. 윤호주, 황은경, 2009, "피난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연구동향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춘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009, pp. 443-440.
  21. 이석, 김현희, 임정학, 김성훈, 2008, "초전 센서 기반 실내 위치 인식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제12권, 제3호, pp. 46-56.
  22. 이현진, 박소영, 유순주, 김이화, 전철민, 2006, "실내센서기반 실시간 이동객체 맵핑 시스템", 한국GIS학회 공동춘계학술대회, 2008, pp. 554-558.
  23. 정석민, 정우진, 우운택, 2005, "적외선 기반 실내 사용자 위치 추적 시스템", 전자공학회논문지 CI 편, 제42권, 제5호, pp. 9-20.
  24. 정태호, 김희규, 박상현, 2009, "Simulex와 buildingExodus를 활용한 대형 백화점의 피난안전성 비교연구", 한국화재소방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2009, pp. 532-538.
  25. 최현민, 박영균, 김장훈, 남영진, 홍춘표, 2008,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위치 인식 시스템", 한국멀티미디어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008, pp. 84-87.

Cited by

  1. Cube Avenue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한 중규모 재난대피 프로토타입 모델 연구 vol.21, pp.5,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3.21.5.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