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pplication of Augmented Reality based Urban Planning Support System for Effective District Unit Planning

효율적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증강현실 기반 도시계획지원시스템 적용 연구

  • 전병국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철주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
  • 김창석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공학과) ;
  • 소진광 (가천대학교 행정학과)
  • Received : 2012.02.13
  • Accepted : 2012.04.2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is paper is aimed at offering preliminary data that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district unit planning, which has adopted to make comfortable environment of national land, to prevent urban sprawl rural area and to perform systematic maintenance of the existing urban area, by case study analysis about the applied possibility of GIS-based augmented reality. To do this, we developed the augmented reality based urban planning support system and checked the parts that can be applied of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in the process of district units planning. And we analysed about merits and demerits of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which is about form, arrangement, use, and height of building, building coverage ratio, floor area ratio and landscape planning in the case study area, the Yeosu district(located in Seongnam).

본 연구는 공간계획의 일환으로 도입된 지구단위계획의 수립과정을 중심으로 GIS에 기초한 증강현실기법의 도입가능성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증강현실 기반의 도시계획 지원시스템을 구축하였고 현행 지구단위계획 내용 중 공간적인 성격이 강하여 증강현실기법의 적용이 가능한 부분들을 검토하였으며 성남 여수지구를 대상으로 지형현황분석, 용도지역 구분 및 기반시설 배치분석, 건축물 형태 및 배치분석, 건축물 용도 높이 건폐율 용적률 및 경관계획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증강현실기법의 지구단위계획으로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또한 지구단위계획 수립과정에서 증강현실기법 적용 효과를 기존 방법과 비교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여 증강현실기법 적용을 통한 지구단위계획 수립의 실효성 확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Azuma, T. Ronald, 2001, "Augmented Reality: Approaches and technical challenges". in Fundamentals of wearable computers and augmented reality (Eds.) Woodrow Barfield and Thomas Caudell,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p. 27-63.
  2. Faust, N. L., 1995, "The virtual reality of GIS", Environment and Planning B: Planning and Design, vol.22, pp. 257-268. https://doi.org/10.1068/b220257
  3. Huang, B., Jiang, B., and Li, H., 2001, "An integration of GIS, virtual reality and the internet for visualization, analysis and exploration of spatial data",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15, no.5, pp. 439-456. https://doi.org/10.1080/13658810110046574
  4. Kealy, A. and Stephen Scott-Young, 2006, "A technology fusion approach for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Transactions in GIS, vol.10, no.2, pp. 279-300. https://doi.org/10.1111/j.1467-9671.2006.00258.x
  5. 계보경, 김정현, 류지현, 2007, 증강현실의 교육적 이해, 한국교육학술정보원.
  6. 곽일천, 2009, "녹색성장과 도시정책", 도시행정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pp. 103-104.
  7. 김경호, 2002, The State of the art and R&D Perspectives on Virtual Reality in GIS, Tech Memo, 한국과학기술원.
  8. 김정환, 김신형, 길우성, 2009, "u-GIS 야외 증강 현실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83-188.
  9. 김희관, 조현달, 2009, "실내 정보 가시화에 의한 u-GIS 시스템을 위한 Markerless 증강현실 방법",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호, pp.195-199.
  10. 노인준, 2006, 지구단위계획의 활성화를 위한 건축개발밀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1. 송태수, 천호준, 2008, A Direction for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in Korea, 도시행정학보, 제21집 제1호, 한국도시행정학회, p.337.
  12. 윤용인, 2006, "증강현실 구현을 위한 기본기술과 카메라 모델링",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제10권, 제2호, pp. 1-8.
  13. 원종석, 2007, "서울시 업무고도화를 위한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GIS) 구축방안", 서울정책포커스 제29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4. 이용범, 2006, "국토정보의 활용과 향후 전망 : 토 지이용규제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토지연구, 제19권 통권77호, 한국토지공사, pp. 93-103.
  15. 이종열, 김동한, 김걸, 2006, GIS를 활용한 난개발 상시 감시체계 구축방법 연구, 국토연구원.
  16. 하해진, 2004, 지구단위계획과 정비계획의 연계를 통한 효율적 도시관리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한국도시설계학회, 2004, 지구단위계획의 이해와 활용.
  18. 황재훈, 박승기, 이희정, 2007, "사회여건 변화와 지구단위계획", 도시정보,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pp. 10-14.

Cited by

  1. 환경생태요소를 고려한 계획지원시스템 구축 vol.21, pp.1, 2013, https://doi.org/10.12672/ksis.2013.21.1.075
  2. 절차적 모델링을 활용한 지구단위계획 시뮬레이션 개발 vol.22, pp.3, 2012, https://doi.org/10.5762/kais.2021.22.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