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in Korea

우리나라 해상경계 획정기준에 관한 기초 연구

  • 최윤수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김재명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 김현수 (인하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
  • 박병문 (서울시립대학교 공간정보공학과)
  • Received : 2012.02.08
  • Accepted : 2012.04.24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Recently, local governments in Korea are promoting the rapid development of marine for delineating jurisdictional sea area. The importance of a maritime boundary has being emphasized, as jurisdictional sea area disputes among local governments have been increasing. The absence of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has become a source of contention between neighborhood local governments. So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in Korea will be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mprovement plan for the scientific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by analyzing "A hydrographic survey guideline for confirmation of maritime boundar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we defined the concept of the delimitation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Secondly, we set the boundary, factors and processes of the delineating standard of maritime boundary through classifying them in detail. Lastly, we suggested the makeup of a conflict adjustment committee for preventing jurisdictional sea area disputes among local governments.

최근 국내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은 해양개발이 활성화됨에 따라 관할해역 확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인접 지방자치단체간 분쟁의 증가로 인하여 관할해역 구분의 기준이 되는 해상경계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되고 있다. 특히, 해상경계 획정기준의 부재는 인접 지방자치단체들 간 분쟁을 발생시킬 수 있는 요소를 많이 내포함에 따라서 해상경계 획정기준 마련을 위한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해상경계 획정기준을 마련하기 위하여 기 고시된 "해상경계 확인을 위한 수로측량업무규정"을 조사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해상경계 획정의 개념을 수립하였고 둘째, 해상경계 획정기준의 범위와 내용 및 절차를 구체적으로 설정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들 간 해상경계 분쟁의 사전예방 및 사후 합법적 해결을 목적으로 해상경계조정위원회의 설치, 구성, 직무, 조정결과의 효력 등과 같은 해상경계 분쟁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호, 2003, "지방자치단체 해상경계설정의 법적 쟁점에 관한 연구", 한국공법학회 공법연구 제32집 제2호.
  2. 김성은, 2006, "지방자치단체 상호간의 해상경계 분쟁에 관한 연구"
  3. 김백수 외 3명, "한반도 주변의 영해기점 및 기선에 관한연구_한국, 중국, 일본을 중심으로", 한국GIS학회, 2008
  4. 김현수, 2010, "해상경계측량 규정(안)연구",국립해양조사원 보고서"
  5. 계기석, 2006, "지방자치단체 해상경계 분쟁의 원인과 해소방안", 국토연구제51권, pp. 57-70..
  6. 임재형, 2009, "지방자치단체간 공공분쟁의 발생 원인 : 평택항 공유수면 매립에 따른 분쟁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Vol.35 No3 2009, pp105-128."
  7. 장학봉, 조승환, 김진섭, 최윤수, 2004, "해상경계 설정방안 연구", 2004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 27-31.
  8. 장학봉, 2003. "해상경계설정방안 연구", 국토해양부최종보고서
  9. 정남균, 2002, "지방자치단체의 해상구역경계 설정방안에 관한 연구:충청남도근역 아산만분쟁사례를 중심으로
  10. 최윤수 외 3명, "영해기준점의 효율적 유지관리",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1호
  11. 법제처 www.moleg.go.kr
  12. 세계법제정보센터 http://world.moleg.go.kr
  13. 법률지식정보시스템 http://likms.assembly.go.kr
  14. 한국석유공사 www.knoc.co.kr
  15. 국토해양부 www.mltm.go.kr
  16. 국립해양조사원 www.khoa.go.kr
  17. 헌법재판소 www.ccourt.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