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Public Health to Climate change Using Spatio-temporal Information Based on GIS

GIS기반 시공간정보를 이용한 건강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 유성진 (고려대학교 환경GIS/RS센터) ;
  • 이우균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부) ;
  • 오수현 (고려대학교 기후환경학과) ;
  • 변정연 (고려대학교 환경생태공학과)
  • Received : 2012.02.03
  • Accepted : 2012.04.16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o prevent the damage to human health by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for establish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this study, vulnerability assessment was conducted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vulnerable area for making adaptation policy.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human health was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extreme heat, ozone, and epidemic disease. To assess vulnerability, suitable indicators were selected by three criteria; sensitivity, adaptive capacity, and exposure, spatial data of indicators were prepared and processed using GIS technique. As a result, high vulnerability to extreme heat was shown in the low land regions of southern part. And vulnerability to harmful ozone was high in the surrounding area of Dae-gu basin and metropolitan area with a number of automobiles. Vulnerability of malaria and tsutsugamushi disease have a region-specific property. They were high in the vicinity of the Dimilitarized zone and south-western plain, respectively. In general, vulnerability of human health was increased in the future time. Vulnerable area was extended from south to central regions and from plain to low mountainous regions. For assessing vulnerability with high accuracy, it is necessary to prepare more related indicators and consider weight of indicators and use climate prediction data based on the newly released scenario when assessing vulnerability.

기후 변화로 인한 건강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고 적응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적응 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취약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건강 부문의 취약성 평가는 폭염, 오존, 매개질환 전염병의 세부 부문으로 나누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각 부문별로 민감도, 적응능력, 노출 규준을 설정하고, 적합한 평가 지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GIS를 이용하여 지표별 공간자료를 구축하고 처리하였다. 그 결과, 폭염에 의한 취약성은 남부 지방의 저지대가 중부지방에 비해 높았고, 오존에 의한 취약성은 대구분지 주변과 자동차수가 많은 수도권 및 대도시권에서 높게 나타났다. 지역 특이성이 높은 말라리아와 쯔쯔가무시증은 각각 군사분계선 근방, 남서 평야지대에서 취약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미래에는 전반적으로 취약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부에서 중부로 그리고 평지에서 낮은 산간지대로 취약 지역이 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향후 관련 지표 자료의 확보와 지표별 가중치를 산정하고, 새로운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기상예측자료를 사용하면 좀 더 신뢰성 높은 취약성 평가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D. R. Easterling, B. Horton, P. D. Jones, T. C. Peterson, T. R. Karl, D. E. Parker, M. J. Salinger, V. Razuvayev, N. Plummer, and P. Jamason, 1997,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trends for the globe," Science, vol. 277, no. 5324, p. 364. https://doi.org/10.1126/science.277.5324.364
  2. D. Tilman, J. Fargione, B. Wolff, C. D'Antonio, A. Dobson, R. Howarth, D. Schindler, W. H. Schlesinger, D. Simberloff, and D. Swackhamer, 2001, "Forecasting agriculturally driven global environmental change," Science, vol. 292, no. 5515, p. 281. https://doi.org/10.1126/science.1057544
  3. H. E. Landsberg, 1981, The Urban Climate. New York Academic Press.
  4. H. M. Fussel, and R. J. T. Klein, 2006,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s: an evolution of conceptual thinking," Climate Change, vol. 75, no. 3, pp. 301-329. https://doi.org/10.1007/s10584-006-0329-3
  5. IPCC, 2007, Fourth Assessment Report: Climate Change 2007: Impact, Adaptation & Vulnerability.
  6. J. C. Semenza, C. H. Rubin, K. H. Falter, J. D. Selanikio, W. D. Flanders, and J. L. Howe Wilhelm, 1996, "Heat-related deaths during the July 1995 heat wave in Chicago,"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vol. 335, pp. 84-90. https://doi.org/10.1056/NEJM199607113350203
  7. J. H. Greenberg, J. Bromberg, C. M. Reed, T. L. Gustafson, and R. A. Beauchamp, 1983, "The epidemiology of heat-related deaths, Texas-1950, 1970-79, and 1980,"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73, pp. 805-807. https://doi.org/10.2105/AJPH.73.7.805
  8. L. P. Rothfusz, 1990, The heat index equation (or more than you ever wanted to know about heat index), NWS Southern Region Technical Attachment, SR/SSD-90-23, Foort worth, TX;1-2.
  9. R. T. Watson, M. C. Zinyowera, and R. H. Moss, 1998, The regional impacts of climate change: an assessment of vulnerability, Cambridge Univ. Press.
  10. S. Hajat, R. S. Kovats, R. W. Atkinson, and A. Haines, 2002, "Impact of hot temperatures on death in London: a time series approach," The journal of Epidemiology Community Health, vol. 56, pp. 367-372. https://doi.org/10.1136/jech.56.5.367
  11. S. W. Lindsay, and M. H. Birley, 1996, "Climate change and malaria transmission," Annals of Tropical Medicine and Parasitology, vol. 90, no. 6, pp. 573-588. https://doi.org/10.1080/00034983.1996.11813087
  12. T. S. Jones, A. P. Liang, and E. M. Kilbourne, 1982, "Morbidity and mortality associated with the July 1980 heat wave in St. Louis and Kansas City,"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vol. 247, pp. 3327-3331. https://doi.org/10.1001/jama.1982.03320490025030
  13. W. N. Rom, 1998,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Harvard Univ. Press
  14. 공우석, 신이현, 이희일, 황태성, 김현희, 이난영, 성지혜, 이슬기, 윤광희, 2007, "쯔쯔가무시증의 시,공간적 분포와 환경생태 요인," 대한지리학회지, 제42권, 제6호, pp. 835-958.
  15. 국립기상연구소, 2011, IPCC 5차 평가보고서 대응을 위한 기후변화 시나리오 보고서 2011.
  16. 국립환경과학원, 2012,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계획 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총괄/요약보고서-.
  17. 김동진, 2009, "기후변화에 따른 전염병관리 분야 적응대책," 보건복지포럼, 제154호, pp. 23-38.
  18. 김소연, 2004,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혹서현상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의학박사학위 논문.
  19. 류성호, 송양숙, 정수용, 문성실, 송진원, 송기준, 박광숙, 2003, "한국 야생들쥐의 Orientia tsutsugamushi 감염에 대한 역학적 조사," 대한미생물학회지, 제33권, 제2호, pp. 131-137.
  20. 박선민, 이우균, 권태협, 이버들, 손요환, 조용성, 2011, "GIS 기반 공간정보를 이용한 해양부문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1-9.
  21. 박종길, 정우식, 김은별, 최효진, 2006, 폭염특보에 관한 연구(I), 기상청.
  22. 윤진일, 최재연, 안재훈, 2001, "일별 국지기온 결정에 미치는 관측지점 표고영향의 계절변동," 한국농림기상학회지, 제3권, 제2호, pp. 96-104.
  23. 이현주, 이귀옥, 원경미, 이화운, 2009, "최신토지 피복자료를 이용한 대구시의 열환경 수치모의,"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25권, 제3호, pp. 196-210.
  24. 장재연, 조승헌, 2003,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 프로그램 마련, 환경부.
  25. 장재연, 박윤형, 2008, 기후변화에 따른 건강피해 모니터링 및 위험인구 감소전략 개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6. 정지웅, 이우균, 최계선, 이상철, 최성호, 최현아, 2010, "수자원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모형의 공간 및 유역규모별 적용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제1권, 제1호, pp. 21-30.
  27. 질병관리본부, 2010, 한국의 기후변화 건강영향과 적응대책.
  28. 차유미, 이효신, 문자연, 권원태, 부경온, 2007, "ECHO-G/S를 활용한 미래 동아시아 기후 전망," 대기, 제17권, pp. 55-68.
  29. 최광용, 최종남, 권호장, 2005, "높은 체감온도가 서울의 여름철 질병 사망자 증가에 미치는 영향, 1991-2000,"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3호, pp. 283-290.
  30. 최광호, 2008, "기후변화 영향과 향후 적응대책방안에 대한 소고," 환경영향평가, 제17권, 제3호, pp. 201-212.
  31. 최종근, 2007, 지구통계학, 시그마프레스.
  32. 최현아, 이우균, 곽한빈, 최성호, 변재균, 유성진, Guishan Cui, 2009, "시공간정보기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지, 제11권, 제3호, pp. 63-69.
  33. 한화진, 안소은, 최은진, 한기주, 이정택, 김해동, 손요환, 박용하, 조광우, 윤정호, 이은애, 김승만, 2007,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III,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4. 환경부, 2001, 오존 오염의 현황과 대응방안.
  35. 환경부, 2010,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시행에 따른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2011-2015.

Cited by

  1. The Impact of Environmental Health Factors on Extreme-heat Vulnerability Assessment in a Metropolitan City vol.39, pp.6, 2013, https://doi.org/10.5668/JEHS.2013.39.6.492
  2. Scrub Typhus Incidence Modeling with Meteorological Factors in South Korea vol.12, pp.7, 2015, https://doi.org/10.3390/ijerph120707254
  3. Evaluation and Utilization of Thermal Environment Associated with Policy: A Case Study of Daegu Metropolitan City in South Korea vol.10, pp.4, 2018, https://doi.org/10.3390/su10041179
  4. Comparison of Fuzzy AHP and AHP in Multicriteria Inventory Classification While Planning Green Infrastructure for Resilient Stream Ecosystems vol.12, pp.21, 2012, https://doi.org/10.3390/su122190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