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f the Work Efficiency in the High Altitude according to Climatic Elements

지역별 기후에 따른 고소작업가능률 산정 - 서울, 인천, 부산 지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1.11.09
  • Accepted : 2012.02.02
  • Published : 2012.05.31

Abstract

O Having a highly reliable plan for the process and estimating an accurate construction period during the early stages of a construction project can prevent falsifying the plan and reduce the occurrence of construction delays. Moreover, it allows a succession of swift and accurate decisions to happen. The difficulty in obtaining an accurate estimate of the construction period is especially prominent in high-rise building projects because the works involved are very complicated and costly. As such, it is important that research is done to find out the impacts a reliable plan and good estimate of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ring with regards to the monthly work efficiency and success of a high-rise building project. However, due to the difference in climatic conditions at high altitude and surface level, the current way of calculating work efficiency in a typical project is inaccurate for a high-rise building project. With that, this paper aims to compute the work efficiency with heigh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change in climatic elements at different working heights. A comparison of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climatic features of each city can also be done in this paper. According to the results calculated in work altitudes, the work efficiency in Busan falls the most. On the other hands, the work efficiency in Seoul falls the least. The reason these results are shown is the influence of wind speed at high altitude. The estimation of work efficiency at high altitude would be used for estimating construction period, feasibility studies, and selecting a city of high-rise building projects.

프로젝트 초기단계에서 신뢰도 높은 공정계획을 수립하고 공사기간 산정을 정확하게 하는 것은 공사 지연을 예방할 수 있으며,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의사결정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내리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초고층 프로젝트의 경우는 작업이 복잡하고 공사비가 크기 때문에 공사기간을 정확히 예상하는 것이 어렵고 공사지연시 발생하는 손실이 막대하다. 따라서 월별 작업가능률을 정확히 예상하고 적용하는 연구가 매우 중요하며 이는 초고층 프로젝트의 성패와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후 환경은 지표면 근처와 차이가 생기기 때문에 일반적인 프로젝트의 작업가능률 산정방법은 초고층 프로젝트에서 정확성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작업높이에 따라 변하는 기후요소 변화를 예측하여 이를 적용하여 높이에 따른 작업가능률을 산정하고, 각 지역의 기후특색에 따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산정된 결과에 따르면 작업고도가 높아질수록 부산, 인천, 서울 순으로 작업가능률이 떨어졌으며, 이는 풍속의 영향이 가장 컸다. 이러한 작업높이를 고려한 지역별 작업가능률 산정은 향후 초고층 프로젝트 공사기간 산정업무, 타당성 조사, 대상 지역 선택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고용노동부령 제 30호, 2011
  2. 구해식.최봉철 (1999). "건축공사의 기후요소에 대한 공기산정방안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15권 제11호
  3. 기상청 (2011). "기상청 날씨정보.", (2011.05.31)
  4. 김기국 (2007). "FMEA 기법을 이용한 초고층 건축시공의 주요공사비 초과요인 발굴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병열(2008)." 중소도시의 열환경 실측 및 예측연구", 호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대한토지주택공사," 주택공사표준시방서"
  7. 대한민국국회," 건축법 시행령", 대통령령 제22993호, 2011
  8. 박인범(2009)." 기후요소에 의한 건축공사 작업불능일 산정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재원.류한국.이현수.박문서 (2007). "기후정보를 이용한 초고층 건축 골조공사의 확률적 공기산정 모델.",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3권 제6호
  10. 신종현.이진아.이찬식 (2005). "기후요소를 고려한 인천지역의 작업불가능일수 산정.",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6권 제1호
  11. 이근효.김경래.신동우 (2006). "국내 건설공사의 기후조건에 의한 작업불능일 예측방법 개선,"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4호
  12. 장명훈.윤유상(2008)." 건설공사 일정관리를 위한 날씨정보 활용방안.",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제24권 제9호
  13. 한영구(2008)." 초고층 빌딩 골조 공사의 작업가능률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한충희.방종대(2006)." 동절기 골조공사 시행이 마감공사의 주공정선에 미치는 영향.",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제7권 제 1호
  15. A. D. McNaught and A. Wilkinson. (1997). IUPAC. Compendium of Chemical Terminology, 2nd Ed.,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Oxford, pp. 2199.
  16. CTBUH. (2011). "Tall Buildings Database.", (2011.10.10)
  17. Dyrbye, Claes. and Hansen, Svend Ole. (1997). Wind loads on structures, John wiley & sons
  18. Enno Koehn, and Gerald Brown (1985)." Climatic effects on constructio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11(2), pp. 129-136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1985)111:2(129)
  19. Lee, H., Shin, J., Park, M., and Ryu, H.. (2009), "Probabilistic Duration Estimation Model for High-Rise Structural Work",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135(12), pp. 1289-1298 https://doi.org/10.1061/(ASCE)CO.1943-7862.0000105

Cited by

  1. A Study of the Tower Crane Hoisting Time Estimation Simulation Model with Climate Element for the High-Rise Building Construction vol.14, pp.2, 2013, https://doi.org/10.6106/KJCEM.2013.14.2.0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