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luorine-releasing of Dental Restoration Materials in which the Fluorine is Contained

불소 유리로 본 불소 함유 수복재

  • 김주원 (서라벌대학교 치위생과)
  • Received : 2012.03.14
  • Accepted : 2012.04.27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Restoration materials used to investigate effects of fluorine such as enamel strengthening and anti-caries effects in several types of dental restoration materials were five kinds including Ionoseal(VOCO GmbH, Cuxhaven, Germany), Fuji Filling LC(GC Co. Tokyo, Japan), Quadrant Universal LC(CAVEX Holland BV, Netherlands), PermaCem$^{(R)}$(DMG, Hamburg, Germany) and Dyract$^{(R)}$ AP(Dentsply GmbH, Germany), and the amount of fluorine-releasing was measured with ICS-5000 Reagent-FreeTM Ion Chromatography(RFICTM, Dionex, U.S.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all types of restoration materials, the amount of fluoride-releasing was reduced with time passage and it was declined sharply to show significance in four weeks. Fuji Filling LC(12.445PPM) or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 and PermaCem$^{(R)}$(16.121PPM) or compomer were found to release fluorine for a long term(P<.001). 2. Ionoseal(0.887PPM) or glass ionomer and Quadrant Universal LC(0.957PPM) or composite resin released a few fluorine of 1PPM or less than 1PPM after one week, and Dyract$^{(R)}$ AP or compomer released fluorine of 8.631PPM in one week and its amount of releasing decreased dramatically in two and four week by recording 0.175PPM and 0.116PPM, respectively. Therefore, the effect of releasing fluorine in four weeks was observed to be poor (P<.001). 3. Fuji Filling LC or resin-reinforced glass ionomer and PermaCem$^{(R)}$ or compomer released fluorine of 33.372 and 1.902PPM, respectively in one week and their amount of releasing increased to be 36.371 and 18.223PPM, respectively in two weeks. So, their amount of fluorine-releasing recorded the highest levels in two weeks(P<.001).

치과용 수복재에서 불소의 치질강화와 항우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재료에서 불소 유리량의 차이와 불소 유리의 지속성을 실험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복재는 Ionoseal, Fuji Filling LC, Quadrant Universal LC, PermaCem$^{(R)}$, Dyract$^{(R)}$ AP 등 5종이였고, 불소유리량 실험에는 ICS-5000 Reagent-FreeTM Ion Chromatography가 이용되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종류의 수복재에서 시간 경과 후 불소 유리량이 감소하였고, 4주 후에는 유의 할 만큼 급감하였다. Fuji Filling LC(12.446 PPM)와 PermaCem$^{(R)}$(16.008 PPM)는 장기간 불소가 유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2. Ionoseal(0.887 PPM), Quadrant Universal LC(0.957 PPM)는 1주 후부터 1 PPM 이하의 소량의 불소를 유리하였고, Dyract$^{(R)}$ AP는 1주 후에 8.631 PPM 유리하였다가 2, 4주 후에는 급감하여 각각 0.175 PPM, 0.116 PPM을 유리하여 많은 시간 경과 후에는 불소 유리 효과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3. Fuji Filling LC와 PermaCem$^{(R)}$은 1주 경과 후 각각 33.372, 1.901 PPM의 불소를 유리하였으나, 2주 후에는 급격히 많은 36.370, 18.223 PPM의 불소를 유리하여 2주 후에 가장 많은 불소를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P<.001). 따라서 치과용 충전 수복재의 불소 유리에 가장 효과적인 재료는 레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 제품으로 나타났고, 미세누출로 인한 불소의 항우식 효과를 보기위한 제품 선택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인 것 같다. 제조회사의 매뉴얼에 나타나는 항우식 효과는 본 실험과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향후 In Vitro 상태에서 레진 강화형 글래스아이오노머와 콤포머 제품에 대한 더 오랜 시간 실험을 통해 불소유리의 지속시간 확인을 위한 계속적인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Keywords

References

  1. K. M. Hse and S. H. Wei, "Clinical evaluation of compomer in primary teeth: 1-year results," J Am Dent Assoc, Vol.128, No.8, pp.1088-1096, 1997.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97.0366
  2. E. Sepet, Z. Aytepe, and Y. Guven, "Artificially formed caries-like lesions around class II glass ionomer restorations in primary molars," J Clin Pediatr Dent, Vol.20, No.1, pp.37-40, 1995.
  3. H. Forss and L. Seppa, "Prevention of enamel demineralization adjacent to glass ionomer filling materials," Scand J Dent Res, Vol.98, No.2, pp.173-178, 1990.
  4. L. Forsten, "Fluoride release and uptake by glass ionomers," Scand J Dent Res, Vol.99, No.3, pp.241-245, 1991.
  5. A. L. Sonis and W. Snell, "An evaluation of a fluoride-releasing, visible light-activated bonding system for orthodontic bracket placem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Vol.95, No.4, pp.306-311, 1989. https://doi.org/10.1016/0889-5406(89)90163-7
  6. G. E. Dijkman and J. Arends, "Secondary caries in situ around fluoride-releasing light-curing composites: a quantitative model investigation on four materials with a fluoride content between 0 and 26 vol%," Caries Res, Vol.26, No.5, pp.351-357, 1992. https://doi.org/10.1159/000261467
  7. 사우경, 김용기, "글라스 아이오노머와 레진수복물 변연의 우식내성에 관한 비교실험 연구", 대한소아치과학지, 제20권, 제1호, pp.145-154, 1993.
  8. S. H. Ghani, S. L. Creanor, J. K. Luffingham, and R. H. Foye, "An ex vivo investigation into the release of fluoride from fluoride-containing orthodontic bonding composites," Br J Orthod, Vol.21, No.3, pp.239-243, 1994. https://doi.org/10.1179/bjo.21.3.239
  9. N. A. Fox, "Fluoride release from orthodontic bonding materials. an in vitro study," Br J Orthod, Vol.17, No.4, pp.293-298, 1990. https://doi.org/10.1179/bjo.17.4.293
  10. L. Forsten and I. K. Paunio, "Fluoride release by silicate cements and composite resins," Scand J Dent Res, Vol.80, No.6, pp.515-519, 1972.
  11. 김교한, 크레이그 치과재료학 제12판, 지성출판사, 2008.
  12. I. E. Andersson-Wenckert, U. H. Folkesson, and J. W. Van Dijken, "Durability of a poly acid-modified composite resin (compomer) in primary molars. a multicenter study," Acta Odontol Scand, Vol.55, No.4, pp.255-260, 1997. https://doi.org/10.3109/00016359709115424
  13. T. Attin, M. Vataschki, and E. Hellwig, "Properties of resin-modified glass-ionomer restorative materials and two polyacid-modified resin composite materials," Quintessence Int, Vol.27, No.3, pp.203-209, 1996.
  14. M. Miyazaki, K. Fukuishi, and H. Onose, "Influence of light irradiation on the volumetric change of polyacid-modified resin composites," J Dent, Vol.27, No.2, pp.149-153, 1999. https://doi.org/10.1016/S0300-5712(98)00031-1
  15. M. Toledano, E. Osorio, R. Osorio, and F. Garcia-Godoy, "Microleakage of class V resin-modified glass ionomer and compomer restorations," J Prosthet Dent, Vol.81, No.5, pp.610-615, 1999. https://doi.org/10.1016/S0022-3913(99)70217-9
  16. 김경남 외, 치과재료학 3판, 고문사, 2010.
  17. 이미애, 서덕규, 손호현 그리고 조병훈, "복합레진 수복 시 재접착 술식이 미세누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지, 제35권, 제3호, pp.164-172, 2010.
  18. 이원철, 류재준, "복합레진으로 수복한 5급 와동의 미세누출에 대한 3종의 레진 표면 전색제의 효과", 대한치과보철학회지, 제47권, 제2호, pp.182-190, 2009.
  19. 서덕규, 민선홍 그리고 이인복, "측정장치의 compliance 유무가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응력의 측정에 미치는 영향", 대한치과보존학회지, 제4권, 제2호, pp.145-153, 2009.
  20. 김효석, 이난영, 이상호 그리고 오유향, "적층충전법이 복합레진의 중합수축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32권, 제3호, pp.481-490, 2005.
  21. 이영란, 허복 그리고 이희주, "교합면을 포함하지 않는 2급 글래스 아이오노머 시멘트 수복물의 변연누출", 대한치과보존학회지, 제23권, 제1호, pp.288-295, 1998.
  22. 박경진, 김종수 그리고 권순원, "컴포머의 수화 팽창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제29권, 제1호, pp.11-18, 2002.
  23. 김종배, 공중구강보건학 제2판, 고문사, 2009.
  24. 강부월, 현대 예방치학 제3판, 군자출판사, 2010.
  25. 이용근, "초기치아우식의 재광화에 필요한 최적 불소이온농도 탐색",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2009.
  26. 조현, 이광희, 김대업, "YAG 레이저 조사와 불화물 도포가 탈회법랑질의 재광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소아치과학회, 제31권, 제3호, pp.381-390,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