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Young Children's Response to Technological Components in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기반으로 한 동극 활동에서 기술적인 요소에 대한 유아의 반응 연구

  • 현은자 (성균관대 아동학과/인재개발학과) ;
  • 최경 (송호대학교 유아교육과) ;
  • 연혜민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 Received : 2012.03.05
  • Accept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5.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young children's response to technological components in dramatic activities relying on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6 five-year-old children. Young children's response to the technological components was collected by interviews asking 1)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robot technology and 2) the level of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most of children playing the role of actors as well as audiences were likely to understand and get interested in the robot and augmented realty technology. This study would support the feasibility of employing the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contents to dramatic activities in early childhood sett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을 결합한 동극 활동을 개발하고, 교육 현장에 적용하였을 때 유아가 증강현실과 로봇이라는 기술적인 요소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5세 학급의 유아 16명을 대상으로 증강현실과 로봇을 기반으로 한 동극 활동을 적용하고 유아의 반응을 다음과 같은 내용의 인터뷰를 통해 조사하였다; 1) 증강현실 기술에 대한 유아의 반응(이해도와 흥미도), 2) 로봇 기술에 대한 유아의 반응(이해도와 흥미도). 연구 결과, 유아들은 증강현실과 로봇 기술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었으며, 흥미도도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증강현실과 로봇이라는 새로운 테크놀로지를 유아들이 어떻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지를 밝힘으로서 유치원 현장에서의 활용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Keywords

References

  1. M. Resnick, "Computer as Paintbrush: Technology, play, and the creative society," Oxford University Press, USA, 2009.
  2. 한정선, 이경순, "교수- 학습과정에서 가상현실의 구현을 위한 이론적 고찰", 교육공학연구, 제17권, 제3호, pp.133-163, 2011.
  3. 박영민, 김재웅, "증강현실 기술의 동화매체 적용성에 대한 델파이조사 연구", 아동과 권리, 제12권, 제4호, pp.617-642, 2008.
  4. C. Dede, "Enabling Distributed Learning Communities via Emerging Technologies," Technological Horizons in Education, Vol.32, No.1, pp.16-26, 2004.
  5. G. Underwood and J. Underwood, "Children's Interaction and Learning Outcomes with Interactive Talking Books," Computers & Education, Vol.30, No.1, pp.95-102, 1998. https://doi.org/10.1016/S0360-1315(97)00084-5
  6. 서희전, "증강현실기반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현존감, 학습 몰입감, 사용성에 대한 태도, 학업성취도의 관계 연구", 교육정보미디어 연구, 제14권, 제3호, pp.137-165, 2008.
  7. 이재인, 최종수, "증강현실 기반의 초등과학교육 콘텐츠 제작", 한국콘텐츠 학회지, 제11권, 제11호, pp.514-520, 2011.
  8. 장상현, 계보경, "증강현실 콘텐츠의 교육적 적용," 한국콘텐츠 학회지, 제5권, 제2호, pp.79-85, 2007.
  9. 김창복, 김경, "증강현실기반 체험학습이 유아동화 학습의 효과 및 수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4호, pp.449-468, 2011.
  10. 픽토 스튜디오, "애코와 친구들", 상상스쿨, 2010.
  11. 현은자, 김소연, 장시경,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연구, 제 28권, 제5호, pp.175-196, 2008.
  12. 현은자, 장시경, 박현경, 연혜민, 김수미, "유아교육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지, 제9권, 제10호, pp.482-491, 2009.
  13. 김영실, 이종향, 현은자, 박현경,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동시활동이 4세 유아의 음운인식과 단어 재인에 미치는 효과", 열린유아교육연구, 제16권, 제1호, pp.389-409, 2011.
  14. D. S. Tan, D. Gergle, P. Scupelli, and R. Pausch, "Physically large displays improve path integration in 3D virtual navigation tasks,"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n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439-446, 2004.
  15. 이백선, 장애주제 동극활동이 장애유아에 대한 일반 유아의 인식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16. 이선영, 동화를 활용한 동극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7. 최영자, 극화놀이가 유아의 대인문제해결사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18. 정영주, 노진아, 정길순, "동극을 통한 다문화적 반편견 교육활동이 유아의 편견과 장애유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특수아동교육연구, 제12권, 제3호, pp.101-117, 2010.
  19. 오채선, "유아교육기관 극 놀이의 현장적용 한계와 가능성", 교육인류학연구, 제10권, 제2호, pp.65-99, 2007.
  20. J. K. Ahn, H. S. Yang, G. Kim, N. K. Hyun, M. H. Jo, and J. H. Han, "Projector Robot for Augmented Children's Play," Proceedings of HRI '11 Proceedings of the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Human-robot interaction, pp.27-28, 2011.
  21. M. H. Jo, J. H. Han, E. J. Hyun, G. Kim, and N. G. Kim,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Projector-Robot Service for Children's Dramatic Play Activities based on Augmented Reality," Advanced in Information Science and Service Science, Vol.3, No.5, pp.277-288, 2011. https://doi.org/10.4156/aiss.vol3.issue5.32
  22. R. Azuma and Y. Baillot, "Recent advances in Augmented Reality," IEEE Computer Graphics and Applications, Vol.21, No.6, pp.34-47, 2001. https://doi.org/10.1109/38.963459
  23. T. Tullis and B. Albert, Measuring User Experience, Morgan Kaufmann, 2008.
  24. 심상탁, 멀티미디어 교수- 학습 매체의 결합 유형이 학업 성취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25. 심숙영, 오정윤,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아동체험콘텐츠에 대한 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분석," 아동권리연구 제11권, 제4호, pp.693-718, 2007.
  26. E. Hyun, C. Kyoung, K. Gerard, H, J. Han, M. H. J and N. G. Kim, "A Delphi Survey on the Use of Robot Projector based Augmented Reality in Dramatic Activity for Young Children," International Journal of Digital Content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Vol.5, No.11, pp.272-282, 2011. https://doi.org/10.4156/jdcta.vol5.issue11.35
  27. A. Druin, "The design of children's technology," Morgan Kaufmann,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