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ends for the Promising Career of Science and Engineering Workforce: Job Outlook of Korea.USA.Australia

이공계 인력의 미래 유망직업 연구동향: 한국.미국.호주의 직업전망을 중심으로

  • Han, Jiyoung (Innovation Center for Engineering Education, Daejin University)
  • 한지영 (대진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
  • Received : 2011.05.24
  • Accepted : 2011.10.12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and analysis researches related the promising career and job outlook and to provide the direction for job choice to engineering students.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uncil were used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study.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nalyzed that these jobs were promising, that is, environmental scientist and specialist, earth scientist and hydrologist(education and research related career), architecture and architectural engineer, civil engineer, landscape technician, land surveyor map production expert photo surveyor surveying technician(construction related career), material engineer (mechanics and material related career), mine and geology engineer(chemistry, fiber and environment related career), computer system design and analyst, system software engineer, application software engineer, web specialist, and computer support specialist (electrical and telecommunication related career) and food engineer(food related career). In addition, health silver specialist, bio biomedical engineer, renewable energy specialist etc. were promising by considering social and economic trend for demographic change like aging and green growth.

Keywords

References

  1. 과학동아. (2007). 10년 후 나를 디자인한다. 동아사이언스.
  2. 김재원. (1996). 일과 직업의 세계. 중앙경제사.
  3. 김정흠 외. (2006). 혁신전략형 이공계인력육성을 위한 방안연구에 관한 연구. 과학기술부.
  4. 산업연구원. (2009). 2010년 경제 ․ 산업전망 - 거시경제와 산업별 전망-. 산업연구원 ISSUE PAPER 2009-250.
  5. 송병준 외. (2006). 2020년 유망산업의 비전과 발전전략. 산업 연구원.
  6. 어수봉 ․ 강순희 외. (2000). 신산업분야 훈련직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훈련수요조사. 한국산업인력공단.
  7. 오세홍, 손석호, 김병수. (2009) 미래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국가존망(存亡)기술의 발굴.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오은진 외. (2006). 문화서비스산업의 여성 유망직종 발굴 및 교육훈련 시스템 구축방안. 서울:여성가족부.
  9. 이정표, 권혁규. (1999). 여성 유망직종 자격증 개발.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10. 정윤경 외. (2008).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08).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1. 정윤경 외. (2009).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2009).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2. 조경동. (2006). 직업세계의 변화와 유망직업에 관한 고찰-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3. 조용수. (2010a). LGERI의 미래생각(1) 10년 후 세상을 말한다. LG경제연구원.
  14. 조용수. (2010b). LGERI의 미래생각(3) 2020년 글로벌 고령시대의 빛과 그림자. LG경제연구원.
  15. 최지희. (2000). 유망직업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한상근 외. (2006). KRIVET 직업전망 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7. 황규희, 오호영, 김민경. (2008). 2009 직업시장 전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8. 허대녕 외. (2008). 과학기술분야 신직업군 발굴 및 인력육성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19. 미국 노동통계국(BLS). [http://www.bls.gov]
  20.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http://www.kostat.go.kr/]
  21. 한국고용정보원. [http://www.keis.or.kr/]
  22. 한국직업전망. [http://www.work.go.kr]
  23. Australian Jobsearch. [http://jobsearch.gov.au]
  24. job outlook. [http://joboutlook.gov.a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