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여성의 연령에 따른 비만도가 피부저항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s of Women with Age-related Obesity on Skin Resistance Variability(SRV)

  • 김현주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 교실) ;
  • 정혁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해부학 교실) ;
  • 손영주 (상지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학 교실)
  • Kim, Hyeon-Ju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Gi University) ;
  • Jung, Hyuk-Sang (Dept. of Anatom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
  • Sohn, Young-Joo (Dept. of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ang-Gi University)
  • 투고 : 2012.01.19
  • 심사 : 2012.02.07
  • 발행 : 2012.02.24

초록

Purpose: Obesity affects dysfunction of Hypothalamus-Pituitary-Ovary(H-P-O) axis. Dysfunction of H-P-O axis could be related to Skin Resistance Variability (SRV).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s of obesity which related to female age on SRV. Methods: We randomly selected 400 women who had taken CP-6000A test and InBody test on the same day at Oriental Hospital of Sangji University from Jan. 2008 to Jun. 2011. In this study, the Body Mass Index(BMI) range of normal group is 18.5~24.9, obesity group is over 25, the age range of childbearing age group is 24~34 years, post-menopause group is 50~65 years. 139 women that met the criteria of this study were assorted by their BMI and age. After detection of SRV, SPSS 19.0 has conjugated for data analysis and the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paired samples t-test were used to verify the results. Results: At 1st and 2nd trial, the height of 3 area of childbearing age obesity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ldbearing age normal group. At 1st and 2nd trial, the height of 1, 2 area of childbearing age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childbearing age norm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t 1st and 2nd trial, the height of 1, 2, 3 area of post-menopause obesity group was mostly higher than that of post-menopause normal group,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e SRV of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normal group in most of 1, 2, 3 area.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키워드

참고문헌

  1. 이봉교, 박영배, 김태희. 한방진단학. 서울:성보사. 2000:21-36.
  2. 박영재, 남동현, 박영배. 피부저항변이도 연구. 대한한의진단학회지. 2001;5(2):365-74.
  3. 한상균 등. 요통환자 31례에 대한 EVA 測定値의 診斷的 考察. 대한침구학회지. 2002;19(1):101-10.
  4. 장조웅 등. 특발성안면신경마비환자의 양도락 변화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5;22(6):201-9.
  5. 이장원, 송범용. 7구역진단기의 유형분석과 임상지표와의 상관성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7;17(2):209-21.
  6. 유정석 등. 7구역진단기의 Factor AA의 유형분석과 임상지표와의 상관성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7;24(6):159-70.
  7. 조이현 등. 7구역진단기의 Factor AA 제1, 2, 3구역 유형과 임상지표와의 상관성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8;25(6):67-76.
  8. 유경자. 월경주기의 신경내분비적 조절. 대한내분비학회지. 2002;17(6):740.
  9. 한방여성의학 편찬위원회. 한방여성의학 I. 서울:도서출판 정담. 2007;235-47, 438-9.
  10. 조현주 등. 생체전기자율반응 측정기를 이용한 불임환자의 피부저항변이도 연구(1, 2, 3상한 중심으로). 대한한의학진단학회지. 2003;7(2):147-55.
  11. 안지선 등. 부인과내원환자의 피부저항변이도 패턴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3):191-201.
  12. 안지선, 손영주. 월경부조환자의 피부저항변이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7;20(2):176-87.
  13. 위효선, 최은미, 강명자. 생체전기자율반응 측정기를 이용한 조기난소부전증 환자의 피부저항변이도 연구(1, 2, 3 상한 중심으로).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19(3):247-56.
  14. 대한산부인과학회. 부인과학 제 4 판. 서울:도서출판 고려의학. 2008:432.
  15. 송범용. D-F-M의 한방임상 진단 지침서. 서울:도서출판(주)기림문화인쇄. 1999:5-133.
  16. Peter-Georg R, Lars W. VEGA D-E-M. 서울:용두메디칼. 2003:8-24.
  17. 송범용. 7구역진단기의 임상응용에 대한 고찰(1). 대한침구학회지. 2006;23(3):231-9.
  18. 송범용. EVA system 한방진단기기의 한방임상활용. 한방신경정신과 전공의 교육 Workshop.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005;1-17.
  19. 대한비만학회. 임상 비만학 제 3 판. 서울:도서출판 고려의학. 2008:611-9.
  20. 송범용. 7구역진단기의 임상응용에 대한 고찰(2). 대한침구학회지. 2006;23(5):11-21.
  21. 김상만 등. 복부내장지방량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단순비만지표는?. 대한비만학회지. 1998;7(2):157-68.
  22. 심우진 등. 비만치료에 유용한 단순비만지표의 선별.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6;6(1):69-79.
  23. WHO and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Clinical guidelines on the identification, evaluation, and treatment of overweight and obesity in adults, the evidence report. 1988:14.
  24. 대한비만학회지. 2장 진단과 평가, 비만의 진단과 치료 : 아시아-태평양 지역 지침 1판. 대한비만학회. 2000:10.
  25. 김 등. 건강증진센터 자료를 이용한 한국인의 비만지표에 대한 평가. 대한비만학회지. 2000;9(4):276-82.
  26. 류한우, 임은미, 김윤상. 일개 대학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11;24(1):99-108.
  27. 송윤희, 김태희. 7구역 진단기의 Factor AA를 통한 산모의 특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3):132-42.
  28. 이재은, 조현주. 정상월경주기를 가진 20-30대 여성의 난소주기에 따른 피부저항변이도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4):183-92.
  29. 이병주, 김성훈. 肥滿의 槪念 및 辨證施治에 關한 文獻的 考察.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1998;7(1):533-41.
  30. Must A et al. The disease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1999;282:1523-9. https://doi.org/10.1001/jama.282.16.1523
  31. 박용우. 복부비만의평가. 대한비만학회지. 2001;10(4):297-305.
  32. 이득주 등. 여성에서 허리둔부 둘레비와 비만 관련 질환의 예측. 대한비만학회지. 1996;5(1):41-8.
  33. 정재혁 등. 무월경 환자의 DITI와 HRV, 체성분 분석을 통한 특성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9;22(4):94-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