쇠고기이력추적제와 기술수용모델의 행동의도 영향요인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Related to Beef Traceability and TAM

  • 나영선 (신안산대학교 호텔조리학과)
  • Na, Young-Sun (Dept. of Hotel Culinary Arts, Shinahnsan University)
  • 투고 : 2011.07.13
  • 심사 : 2011.12.22
  • 발행 : 2012.01.31

초록

본 연구는 쇠고기이력추적제를 이용하는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는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쇠고기이력추적제를 활용하여 소비자가 안전한 식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쇠고기이력추적제의 TAM, 사용의도에 대한 인과관계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소재 백화점, 대형마트, 축산물전문매장 등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조사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쇠고기이력추적제가 정보품질(t=3.872), 사회적 영향(t=1.938)이 높을수록 사용용이성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식품이력추적제의 사회적 영향(t=2.014), 정보접근성(t=2.016), 지각된 위험(1.910)이 높게 나타날수록 지각된 유용성은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사용용이성(t=5.826)을 높게 지각할수록 지각된 유용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각된 유용성(t=4.264)을 높게 지각할수록 사용 의도가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용용이성(t=0.682)을 낮게 지각할수록 사용의도가 낮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fluencing behavioral intention related to beef traceability and TAM to make diet safer.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the customers who use the department stores, specialty shops and large supermarkets in Seoul. The result is as follows. First, the higher the information quality in beef traceability(t=3.872) and social impact (t=1.938) were, the higher the usability became significantly. Second, as the social impact of food traceability(t=2.014), information accessibility(t=2.016), perceived risk(t=1.910) becam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w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Third, as the usability(t=5.826) was perceived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 became higher. Fourth, the higher the perceived usefulness(t=4.264), the higher the behavioral intention among the customers. Also, the lower the usability(t=-0.682), the lower the behavioral intention.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Shinansa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