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nergy-saving Landscape Facilities through a Park User's Attitude Survey - Focused on Urban Parks in Gimpo -

공원이용자 의식조사를 통한 에너지 절약형 조경시설물 도입에 대한 연구 - 김포시 근린공원을 중심으로 -

  • Doo, Chul-Eo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Resources, Sang Myung University) ;
  • Lee, Jae-Keun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Sang Myung University)
  • 두철언 (상명대학교 대학원 환경자원학과) ;
  • 이재근 (상명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Received : 2012.03.06
  • Accepted : 2012.05.03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ground for the introduction of energy-saving landscape facilities which can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age and create a new space by introducing the facilities which saves energy and that users prefer at the space where urbanites enjoy leisure activities in the urban parks. Thus, in addition to a spatial analysis of the parks for 10 urban parks in Gimpo, through an attitude survey on the users' behavior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out. First, as a result of putting all facilities in the urban parks in Gimpo, on average, 6.9 out of the standards of 9 (76.6%) have been installed, and as a result of an analysis on the total number of the installed facilities, on average, about 28 kinds of facilities have been installed, so only 22.4% of the total 125 facilities were installed. Second, many urbanites are using the parks for the purpose of taking a walk and exercise to improve their health; however, the legal standards regulate only 2.9 exercise facilities on average in the target area, which are somewhat insufficient. Third, regarding the citizens' intent to participate i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76% of them showed their intention of participation. Thus, if the energy-saving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introduced, many users will use them, and it is judged that costs for existing street lights and electric power plants will decrease. Fourth, as a result of an analysis of their 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the value of R-square meaning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put in a linear model for dependent variables was 0.860, approximately 81% of the total satisfaction, which was a high explanatory power. This study conducted an attitude survey on the users of urban parks in Gimpo at the dimensions of the introduction of energy-saving facilities in the urban parks, the national policies and responses to climate change. It is significant that it identified the appropriateness of developing much more energy-saving landscape facilities needed for low-carbon green growth in various types, and as a subsequent project, a more precision study on this is necessary continuously.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수. 2001. 기후변화협약과 교토의정서에 대한 미국의 정책 변화과정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세천. 1998. 자연공원 이용행태 및 만족도 평가. 관광학연구 : 25. pp.279-293.
  3. 김지경. 2004. 전력 다소비 시설물의 전력원단위 분석과 평가. 서울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도창희. 1988. 도시공원의 어메니티 특성 및 평가에 관한 연구. 동아대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박윤주. 1999. 도시소공원 이용실태분석 및 이용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박현신. 2010. 기후변화에 대비한 저탄소 신도시 계획지표 개발 연구.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박향수. 2003. 기후변화협약 대응을 위한 탄소세 도입이 한국의 전력가격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서주환. 1983. 근린공원의 입지성에 따른 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서정영. 2008, 도시공원의 공간구성 개선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0. 서정영.성현찬. 2009. 도시근린공원의 공간구성 분석 및 이용자 실태에 관한 연구. 환경복원녹화 12(6) : pp.99-111.
  11. 서정영.성현찬. 2009. 의식조사를 통한 이용자 중심의 도시공원 조성방안 연구. 12(2) : pp.61-72.
  12. 신현만. 2009.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외부조건에 따른 전력특성.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이도규. 2008. 기후변화협약과 한국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오동준. 2005. 도시자연공원에 대한 전문가.이용자간 관리평가 비교. 상명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5. 이임학 외 5명. 2010. 국가 에너지 정책에 따른 지방 도시의 기후변화 대응방안. 한국도시환경학회지, Vol.10 No.2.
  16. 이주홍. 2009. 태양광발전 시스템의 일사량에 따른 전력 패턴 분석 연구. 동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장우연. 2010. 기후변화에 대응한 저탄소 녹색도시 계힉요소 도출 및 탄소저감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허준. 1998. 집합주거단지의 오픈스페이스계획을 위한 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경희대 박사학위 논문.
  19. 황인석. 2005. 교토의정서와 한국의 대응체제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