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봉산 생태·경관보전지역 팥배나무 군락 보전방안

Conservation Measures of Korean Whitebeam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 이숙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 Lee, Sook Mee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Oh, Choong Hyeon (Dep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Science, Dongguk University)
  • 투고 : 2011.09.08
  • 심사 : 2012.01.11
  • 발행 : 2012.02.28

초록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presenting basic data bases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measures of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in Bongsa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actual vegetation showed that rate of vegetation cover were composed of 72.3% of Robinia pseudo-acacia Forest, 10.7% of Sorbus alnifoila Forest, and Sorbus alnifoila was founded as a dominant woody plant species in the Core Zone of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o investig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in Bongsan Ecological and Scenery Conservation Area, twelve $100m^2$ sized plots were set up in Bongsa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TWINSPAN, the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three groups of Sorbus alnifolia Community, Pinus koraiensis Community and Robinia pseudo-acacia Community, To analyze annual diameter growth rate for major tree species, nine sample trees from research plots were measured. Expected ages of Sorbus alnifoila trees were 27~37years, Robinia pseudo-acacia trees were 17~26 years, Pinus koraiensis, Pinus rigida, Prunus sargentii, and Quercus mongolica trees were 27~38 years. As a result, annual diameter growth rates of Robinia pseudo-acacia and Pinus rigida tended to remarkably decreased, Sorbus alnifoila had the wood on inter-specific competition of the woody plant species. Importance values of Sorbus alnifoila in the three layers of Sorbus alnifoila communities were evenly high.

키워드

참고문헌

  1. 강원대학교. 2006. 산불피해지 식생 회복 및 토양 안정성 증진 기술 개발. 환경부 보고서. 136-138pp.
  2. 강현경. 2001. 도시 식물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자연성 복원을 위한 식생모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9p.
  3. 권진오. 2009. 도시숲의 가치와 이해 그리고 미래. 농업전망 2009(1). 한국 농업.농촌 도전과 새로운 희망 발표 자료집.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009-1013pp.
  4. 김시연. 1996. 점봉산에서 숲틈과 비숲틈사이의 환경요인과 초본식물 반응에 대한 비교.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p.
  5. 김준호. 1991. "환경오염에 의한 도시림의 쇠퇴기후군" 도시와 숲과의 만남, 도시․산림․환경 심포지움. 산림청 임업연구원. 3-12pp.
  6. 김종원. 2004. 녹지생태학. 서울 : 월드사이언스. 51p.
  7. 농업과학기술원. 1988. 토양화학분석법. 450p.
  8. 박수현. 2009. 한국의 귀화식물. 서울 : 일조각.
  9. 변우혁․김기원․김은식․김태진․박관수․박미호․박찬열․손요환․오충현․윤여창․이동근․이우균․이임영․전재경․전진형․조기종․최재용. 2010. 도시숲의 이론과 실제. 서울 : 이채. 43-80pp.
  10. 변재경. 2006. 수목식재지의 토양분석과 판독 및 조치방법. LAC. 환경과 조경. 44-53pp.
  11. 산림청. 2007. 도시내 공원, 녹지와 도시림의 통합적 조성․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18p.
  12. 산림청. 2010. 전국 도시숲 통계.
  13. 서울특별시. 2008. 남산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계획. 51p.
  14. 서울특별시. 2008. 서울시 도시숲(산림) 생태계 조사 학술연구. 240p.
  15. 서울특별시. 2008. 청계산 원터골 생태․경관보전지역 생태변화관찰 및 관리계획 수립 연구. 17p.
  16. 서울특별시. 2009. 인왕산 생태․경관보전지역 관리계획 수립연구. 44p.
  17. 송인주. 2010. 서울시 외래식물의 분포특성 및 관리방안II. 서울시정개발연구원. 102p.
  18. 오충현․이경재. 1993. 도시녹지의 생태학적 조성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서울시 안산 도시자연공원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1(1) : 125-137.
  19. 이경재․홍석환․김종엽․한봉호. 2004. 서울 강북 도시화지역 서양등골나물군락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4) : 351-358.
  20. 이승우․변재경․지동훈․권영대. 2009. 아까시나무 황화현상 발생임분의 토양 이화학적 특성.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2(6) : 409-414.
  21. 이인숙․김옥경․조경숙․박진성. 1998. 남산 삼림 토양에서의 효소 활성도와 중금속 함량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학회지 21(5-3) : 695-702.
  22. 이준복. 1998. 조경수 이용을 위한 우리나라 자생 팥배나무의 생태적 특성 및 신품종 육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0p.
  23. 이준복․심경구․노의래․하유미. 1998. 조경수 이용을 위한 자생 팥배나무의 생태 및 생육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 229-239.
  24. 이호준. 1978. 팥배나무(Sorbus alnifolia)의 내건성에 관한 연구. 생물과 자연. 한국자연사박물학회 8(1) : 41-56.
  25. 임경빈․박인협․이경재. 1980. 경기도지방 적송림의 식물사회학적 연구. 한국임학회지 50 : 56-71.
  26. 조도순. 1990. 삼림생태계에서의 교란과 그 역할. 식물학회지 33(2) : 147-150.
  27. 한국산지보전협회. 2006. 2006 전국 산림건강 모니터링 조사 종합보고서. 167p.
  28.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01. 표토보전 및 침식방지 대책에 관한 연구. 환경부. 38p.
  29. 허태철․주성현. 2002. 침․활엽수림에서 산림토양의 이․화학적 특성 비교. 경북대농학지 20 : 39-47.
  30. 홍성진․송승달. 1990. 아까시나무(Robinia pse- udoacasia L.)의 공생적 질소고정. 한국생태학회지 13(2) : 93-100.
  31. Brokaw N. V. L. 1982. The Definition of Treefall Gap and Its Effect on Measures of Forest Dynamics. Biotropica 14(2) : 158-160 https://doi.org/10.2307/2387750
  32. Choung, Y., B. C. Lee, J. H. Cho, K. S. Lee, I. S. Jang, S. H. Kim, S. K. Hong, H. C. Jung and H. L. Choung. 2004. Forest responses to the large-scale east coast fires i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1) : 43-54. https://doi.org/10.1111/j.1440-1703.2003.00607.x
  33. Curtis, J. T., and R. P.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 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3) :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34. Grey, Gene W. 1986. Urban Forestry. Krieger Publishing Company. 50-116pp.
  35. Hill M. O. 1979. TWINSPAN-a FORTRAN program for arranging multivariate data in an oedered two-way table by classification of the individuals and attributes. Ecology and Systematics, Cornel University. Ithaca. New York. 99p.
  36. Nowak, D. J., and J. F. Dwyer. 2007. Understanding the benefits and costs of urban forest ecosystems, 25-46pp.
  37. Numata, M., and O. Kotak. 1975. Naturalized Plants. Tokyo : Japan Society of Library. 160pp.
  38.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 John Wiley. 165p.
  39. Shannon, C. E., and W. Weaver. 1963. The mathe- 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17p.
  40. Vitousek P. M., and J. S. Denslow. 1986. Nitrogen and Phosphorus Availability in Treefall Gaps of a Lowland Tropical Rainforest. Journal of Ecology 74(4): 1167-1178. https://doi.org/10.2307/2260241
  41. Whittaker R. H., and S. A. Levin. 1977. The Role of Mosaic Phenomena in Natural Commu- nities. Theoretical Population Biology 12 : 117-139. https://doi.org/10.1016/0040-5809(77)90039-9

피인용 문헌

  1. 전라북도 임실군 병아리꽃나무 자생지의 생태적 특성 vol.24, pp.4, 2015, https://doi.org/10.14249/eia.2015.24.4.3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