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pplied Indicator according to Locational Type for Secure of Parks and Green Areas in Residential Land Development District

택지개발지역의 입지유형에 따른 공원녹지확보 적용지표 개발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 최진우 (도시생태학연구센터 HUNECO) ;
  • 염정헌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안영희 (중앙대학교 식물응용과학과)
  • Received : 2011.11.22
  • Accepted : 2012.02.25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secure indicator of parks and green areas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location. There were 31 study areas where negotiation was finalized from 2001 to 2008. The location types were divided by land use type before development and the ratio of mountainous and constructed parks, the ratio of green change and so forth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hose types. As a result, location types were classified into mountainous type, arable land type, urban district type. In terms of locational property, even though the ratio of parks and green areas was the highest at 24.9% in arable land type, the ratio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others. Mountainous type depends on the ratio of mountainous park with 10.5%, and arable land type, and urban district type has high ratio of constructed parks. And, the ratio of green change arable land type is degraded by 32.8% and the ratio of mountainous green change is serious in the mountainous type. As a result of the selection of negotiation indicator, arable land type is closely related to the ratio of parks and green areas and the ratio of green change; mountainous type, the ratio of park and green, the ratio of mountainous green change and the ratio of constructed park and green; urban district type, the ratio of green areas.

본 연구는 택지개발사업의 계획지표로서 입지적 특성을 반영한 공원녹지확보를 위한 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2001~2008년까지 협의 완료된 도시개발사업지 31개소이었다. 대상지의 개발 전 토지이용유형에 따라 입지의 유형을 구분하였고, 공원녹지율, 산지 및 조성형공원녹지율, 녹지변동률 등 유형별 입지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입지유형은 산지입지형, 경작지입지형, 시가지입지형 등 3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입지적 특성으로서 경작지입지형의 공원녹지율이 24.9%로 가장 높았으며, 시가지입지형은 22.7%로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공원녹지율은 산지입지형의 경우, 개발전 산지형공원녹지에 대한 의존비율이 10.5%로 높았고, 경작지입지형과 시가지입지형의 개발사업지는 조성형공원녹지율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녹지변동률의 경우, 경작지입지형의 훼손이 32.8%로서 가장 심각하였고 산지형녹지변동률 측면에서는 산지입지형의 훼손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입지유형별 협의지표를 선정한 결과, 경작지입지형은 공원녹지율, 녹지변동률, 산지입지형은 공원녹지율, 산지형녹지변동률, 조성형공원녹지율, 시가지입지형은 녹지용지율을 각각 공원녹지확보 지표로 설정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경기개발연구원(2007) 경기도의 개발사업 유형별 환경친화적 개발방안 연구.
  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4) 지역환경보전을 위한 환경계획과 환경평가의 연계방안 연구.
  3. 신윤철(2003) 지역권역설정에 있어서 지역간 연결도와 도시화도의 측정 및 적용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안태원(2010) 저탄소 그린시티 구현을 위한 녹지계획지표 수립 연구-춘천시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이경재, 최진우, 한봉호(2008) 도시 공원녹지의 총량 산정을 위한 지표 비교 및 적용: 서울시 구로구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27-35.
  6. 이상일, 이성근(2009) 택지개발사업지구의 환경성평가를 위한 환경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2): 211-228.
  7. 이영수, 이승환(2004) 택지개발사업 사전환경성검토․ 환경영향평가 실효성 제고 방안. 환경포럼 8(14): 1-8.
  8. 임유라, 추장민, 신지영, 배현주, 박창석(2009) 소득계층요인에 따른 자연녹지와 도시공원의 접근성 분석: 경기도 성남시를 대상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4(4): 133-146.
  9.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7) 국토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평가 체계 정립과 녹지총량관점의 실험평가.
  10.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2008) 도시개발사업에서 환경생태계획의 체계적 도입방안.
  11. 환경부(2003) 환경친화적 계획기법 및 운용방안 개발에 관한 연구.
  12. 환경부(2005) 신도시 조성 등에 적용할 생태면적률 기준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13. 환경부(2009) 사전환경성검토 업무 매뉴얼.
  14. 이경재, 홍석환, 최인태, 한봉호(2007) 시가화지역 토지이용유형별 피복 현황 분석을 통한 생태면적률 적용 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4): 40-47.
  15. Ward, J. H.(1963) Hierarchical grouping to optimize an objective function. Journal of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58: 236-244 https://doi.org/10.1080/01621459.1963.10500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