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과학관 활성화를 위한 도슨트 제도 개선 연구

The Study of Docent System Improvement for Revitalization of Science Museum

  • 박영신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 이정화 (조선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 Park, Young-Shin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 Lee, Jung-Hwa (Department of earth science education, Chosun University)
  • 투고 : 2012.01.30
  • 심사 : 2012.04.19
  • 발행 : 2012.04.30

초록

현재 과학관은 관람객의 교육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도슨트 제도'를 점차 확대하고 있으나 그 교육 및 관리체제는 미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과학관 도슨트 4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이수한 양성교육, 현재의 활동 조건 및 보충 연수교육의 특징을 파악하여 도슨트 전문성을 기르기 위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설문지, 2명의 경력 도슨트와의 인터뷰, 과학관 및 도슨트 양성 관련 문서를 수집 분석하였다. 설문지는 인적사항, 도슨트에 대한 인식, 양성교육, 도슨트 활동, 보충 연수교육, 만족도를 조사하는 총 47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첫째, 과학관 관계자들의 도슨트에 대한 인식이 향상되면서 일반 자원봉사자와는 차별화된 방법으로 모집.양성되어 과학관의 교육자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육적인 측면에서 참관과 실습 위주의 도슨트 양성 및 보충 연수교육이 개발되어 강의를 통한 형식학습과 상황학습의 비형식학습이 균형을 이루면서 도슨트의 전문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셋째, 운영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인 평가제도를 도입한 도슨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 결국, 이러한 체계적인 도슨트 제도는 과학관의 위상을 향상시키는 것과 동시에 과학관교육의 입장에서 관람객에 대한 질 좋은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게 되는 과학대중화를 불러일으키게 될 것이다.

The revitalization of science museum depends on the number of qualified docents who can meet the museum visitors' educational needs. However, the current unstructured docent system is not sufficient to meet the goal. Forty six docents currently working in science museums were surveyed about docent training program, current working conditions, and docent professional program in order to propose a viable system providing a docent profess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with 46 docents, interviews with two experienced docents, and several artifacts from the science museum and selected docents. The surveys consisted of 47 items asking about personal biography, docent's perception, docents training program they took, current working conditions, and supplementary professional program.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re must be recognition about docents who can play educator's rol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ose of general volunteers in terms of recruiting and training system in science museum. Second, docents need to take training and supplementary professional courses that focus on observing and educating visitors in the field. Third, we need a docent management system by employing a well structured evaluating tools. A well established docent system will bring forth the enhancement of science museum education and the increase of science popularization by providing visitors with the quality educational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곽민경, 2007, 도슨트(docent) 프로그램의 교육적 활성화 방안연구: 초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9 p.
  2. 김영수, 2009, 국립민속박물관 전시해설 자원봉사자의 전문성 강화와 역량 개발을 위한 운영방안.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3 p.
  3. 김종대, 2009, 박물관 교육의 이론과 실제. 문음사, 서울, 190 p.
  4. 김효선, 김경훈, 2011, 국내 과학관 도슨트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9, 1-11.
  5. 노용, 이주연, 류지영, 이선아, 2007, 박물관 교육의 기본. 미진사, 서울, 312 p.
  6. 민수영, 2007, 성인학습자로서 박물관 도슨트의 경험 의미. 평생교육연구원, 13, 146-168.
  7. 박영신, 2011a, 과학관에서의 도슨트의 이론 및 실천 조사. 한국지구과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회 초록집, p. 58.
  8. 박영신, 2011b, 비형식 교육 환경에서 과학 대중화를 위한 도슨트 전문성 육성방안. 2011년도 세계 과학관 심포지엄, p. 20.
  9. 박영신, 2012, 관람객의 교육만족도를 위한 과학관의 경력 도슨트의 전시해설 기법 전략 파악.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년도 동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23.
  10. 박영신, 이정화, 2010, 국내외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도슨트 양성프로그램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 2010년도 동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173.
  11. 박영신, 이정화, 2011, 과학관 도슨트 양성 프로그램의 실태 분석 및 발전 방향 모색. 한국지구과학회지, 32, 881-901.
  12. 박영신, 이정화, 정세환, 오성훈, 김희경, 2011, 과학관에서의 도슨트의 이론 및 실천 조사. 한국지구과학학회 2011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초록집, p. 58.
  13. 박응희, 이병준, 박지연, 최유주, 2009, 박물관교육방법으로서의 '해설'에 대한 교육학적 논의. 교육사상연구, 23, 97-111.
  14. 서대문 자연사 박물관 homepage: http://namu.sdm.go.kr/sub06/?Order=06_02_1 (검색일: 2012. 4. 4.)
  15. 윤병화, 2012, 학예사를 위한 박물관학. 예문사, 파주, 206 p.
  16. 윤은희, 2005, 도슨트가 전시에 미치는 영향분석. 조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4 p.
  17. 이철희, 2009, 박물관 도슨트의 중요성에 대한 연구: 총주고 인쇄박물관을 중심으로.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13-136.
  18. 이화여자대학교 자연사 박물관 homepage: http://nhm.ewha.ac.kr/edu/edu_09.jsp (검색일: 2012. 4. 4.)
  19. 한문정, 양찬호, 노태희, 2010, 과학관을 활용한 교수.학습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교육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 1060-1074.
  20. Cox-Petersen, A.M., Marsh, D.D., Kisiel, J. and Melbar, L.M., 2003, Investigation of guided school tours, student learning, and science reform recommendations at a museum of natural histo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 200-218. https://doi.org/10.1002/tea.10072
  21. Fienberg, J. and Lienhardt, G., 2000, Looking through the glass: Reflections of identity in conversations at a history museum. Museum Learning Collaborative Technical Report # MLC-06, http://mlc.lrdc.pitt.edu/mlc (검색일: 2012. 3. 13.)
  22. Gateway Science Museum homepage: http://www.csuchico.edu/gateway/participate/volunteering.shtml (검색일: 2012. 4. 4.)
  23. Grenier, R.S., 2005, How museum docents develop expertise.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eorgia, 207 p.
  24. Grenier, R.S., 2009, The role of learning in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in museum docents. Adult Education Quarterly, 59, 142-157. https://doi.org/10.1177/0741713608327369
  25. Griffin, J., 2004, Research on students and museums: Looking more closely at the students in school groups. Science Education, 88, 59-70. https://doi.org/10.1002/sce.20018
  26. Hooper-Greenhill, E., 2007, Museums and Education: purposes, pedagogy, performance. Routledge Press, London and New York, 231 p.
  27. Lave, J. and Wenger, E., 1991, Situated learning: Legitimate peripheral particip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New York, USA, 138 p.
  28. McWane Science Center Docent Volunteer homepage: http://www.mcwane.org/contribute_volunteer/volunteer/docent (검색일: 2012. 4. 4.)
  29. National Docent Council, 2001, The docent handbook, National Docent Symposium Council, USA, 103 p.
  30. Tsybulskaya, D. and Camhi, J., 2009, Accessing and incorporating visitors' entrance narratives in guided museum tours. Curator, 51, 81-100.

피인용 문헌

  1. Exploring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Development on Exhibits at the Nuclear Information Halls vol.37, pp.6, 2016, https://doi.org/10.5467/JKESS.2016.37.6.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