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Wind Power Generation Exports on the National Economy

풍력발전 해외수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Jin, Se-Ju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Jeong, Dong-W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 Kwon, Yong-O (KEPCO Economy Management Research Institute) ;
  • Yoo, Seung-Hoon (Department of Energy Policy, Graduate School of Energy & Environment,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 진세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정동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 권용오 (한국전력공사 경제경영연구원) ;
  •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에너지정책학과)
  • Received : 2012.08.05
  • Accepted : 2012.09.17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Recently, global economy has recovered and aspects of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in the global competition is more fierce, the new growth engines of the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and China, industry promotion policy as being deployed. Major advanced countries and Korea also invested a lot of money to wind power development as a part of renewable energy development and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The global wind power generation market is expected to further increase the scale to about 70 billion US dollars, thus, Korea as well as the installation of domestic wind power overseas actively considering. This study uses input-output analysis to estimate the role of wind power generation sector exports national economy. More specifically, this study shows what national economy effect of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explored with demand-driven moel. After define wind power generation sector what small sized of Input-Output table 168 sectors among 11 sectors, this study pays particular and close attention to wind power generation sector by taking the sector as exogenous specification and then investigating economic impacts of it. The wind power generation exportation case of overseas 100 billion won, production-inducing effect, value-added inducing effect, and employment-inducing effect are 205 billion won, 68 billion won and 1,054 persons, respectively. These quantitative information can be usefully utilized in the policy-making for the industrialization of wind power generation exports.

최근 세계경기가 회복되고 미국 및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의 신성장동력산업 육성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의 글로벌 경쟁이 더욱 치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개발의 일환으로 주요 선진국 및 우리나라도 풍력발전에 많은 자금을 투입하여 개발 및 풍력발전소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 풍력발전 시장은 약 700억 달러 규모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우리나라도 풍력발전의 국내 설치뿐만 아니라 해외진출도 적극 고려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하여 풍력발전의 해외수출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특히 경제적 파급효과로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의 3가지를 분석하되, 수요유도형 모형을 적용한 분석 결과를 제시한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 통합소분류 기준 168부문 중에서 11개 부문을 풍력발전 관련 부문이라 정의한 후, 풍력발전 관련산업을 중심에 놓고 이를 외생화하여 분석한다. 1,000억원 규모의 풍력발전을 해외로 수출하였을 경우, 생산유발효과, 부가가치 유발효과, 취업유발효과는 각각 2,050억원, 678억원, 1,054명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References

  1. 강광하 (2000), "산업연관분석론", 연암사
  2. 강기춘.양상돈 (1999), "산업연관표를 이용한 전력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 경제논집, 제13집 제1호, 제주대학교 관광산업연구소, pp. 437-455.
  3. 곽소윤, 유승훈, 곽승준 (2008), "디지털 방송산업의 향후 전망과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1권, 제6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2371-2388.
  4. 곽승준, 유승훈, 한상용 (2002), "발전부문별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자원.환경경제연구, 제11권, 제4호, 한국자원경제학회, pp.581-608
  5. 손양훈.정태용 (1993), "전력산업의 규모의 경제성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제45집 제2호, 한국경제학회, pp.29-47.
  6. 유승훈 (2003), "정보통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Telecommunications Review, 제13권, 제3호, SK Telecom, pp. 347-359.
  7. 유승훈 (2007),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해양심층수 산업화의 국민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20권, 제4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1345-1357.
  8. 유승훈, 양창영 (2007), "지상파 방송광고 단가 변동의 경제적 파급효과", 광고연구, 제75권, 한국방송공사, pp. 143-162.
  9. 유승훈, 임응순, 구세주 (2008), "광고산업의 국민경제적 산업파급효과 분석", 광고연구, 제78권, 한국방송공사, pp. 189-214.
  10. 유승훈, 정동원, 박세헌 (2010)), "태평양 심해저 망간단괴 개발사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2권, 한국해양연구원, 제4호, pp. 489-499. https://doi.org/10.4217/OPR.2010.32.4.489
  11. 유승훈.허재용.김기주 (2004), "투입산출표의 외생화를 이용한 전파방송산업의 산업파급효과 분석", 산업경제연구, 제17권, 제5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1593-1612.
  12. 한건택, 김혜민, 유승훈 (2012), "집단에너지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에너지공학, 제21권, 제1호, 한국에너지공학회, pp. 47-54.
  13. 허재용, 유승훈 (2009), "지식서비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국가간 비교분석 : 한국, 미국, 일본, 영국을 중심으로", 산업경제연구, 제22권 제6호, 한국산업경제학회, pp. 3189-3208.
  14. 에너지경제연구원 (2010), "국내 풍력발전산업의 전망과 경쟁력 분석".
  15. 에너지경제연구원 (2011), "에너지 수요전망".
  16. 지식경제부 (2010), "제5차 전력수급 기본계획(2010년-2024년)".
  17.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09), "국내 풍력발전산업의 전망과 경쟁력 분석".
  18. 한국은행 (2011), "2009년 산업연관표".
  19. Bulmer-Thomas, V.(1982). Input-Output Analysis in Developing Countries. New York: Wiley.
  20. Ciaschini, M.(1988). Input-Output Analysis. London: Chapman and Hall.
  21. Ghosh, A.(1958). Input-output approach to an allocative system. Economica, 25, 58-64. https://doi.org/10.2307/2550694
  22. Han, S. -Y., Yoo, S. -H., & Kwak S. -J.(2004). The role of four electric power sectors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Energy Policy, 32, 1531-1543. https://doi.org/10.1016/S0301-4215(03)00125-3
  23. Kwak, S. -J., Yoo S. -H. and Chang J. -I.(2005), Role of maritime industr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An Input-Output Analysis, Marine Policy, 29, 371-383. https://doi.org/10.1016/j.marpol.2004.06.004
  24. Miller, R. E., & Blair, P. D.(1985). Input-output Analysis: Foundations and Extensions. New Jersey: Prentice-Hall.
  25. Miller, R. E., Polenske, K. R., and Rose, A. Z. (ed.)(1989), Frontiers of Input-Output Analysi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6. Wu, R. H., & Chen, C. Y.(1990), On the application of input-output analysis to energy issues. Energy Economics, 12, 71-76. https://doi.org/10.1016/0140-9883(90)90010-D
  27. Yoo S. -H., & Yang C. -Y.(1999). Role of water utility in the Korean national economy. International Journal of Water Resources Dev

Cited by

  1. The Effects of Coal Thermal Power Plant Exports on the National Economy vol.22, pp.1, 2013, https://doi.org/10.5855/ENERGY.2013.2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