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hagnum Fens in Mt. Odae : 2. Conservation Area of Jilmoe-neup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적 특성: II. 질뫼늪 보호구역

  • Received : 2011.12.07
  • Accepted : 2012.02.21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We investigate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Jilmoe-neup conservation area which is one of wetlands designated as a Ramsar convention site in Mt. Odae from 2007 to 2011. Average out-flow of water was 0.80 $m^3/min$ during observation period. Average pH of water was 6.1, electric conductivity was 19 ${\mu}S/cm$ and contents of potassium, calcium and ammonium, nitrate and available phosphorus in water were recorded below average 2.0 mg/L. Peat layer was less developed than in other montane wetlands such as Yong-neup and Wangdeungjae-neup. Plants were recorded as 49 family, 118 genus, 163 species, 3 subspecies, 29 variety and 6 forma, total 163 taxa. Trientalis europaea L., which was designated in endangered level 2 by Ministry of Environment, inhabited at Sphagnum dominated area and Carex tussocks. Vegetation analysis showed that dominance value was changed as species distribution area were increased or decreased periodically. Although Jilmoe-neup deserved conservation value for Sphagnum fen which has diverse flora, it was affected from various factors such as ranch in the vicinity. Therefore, it must be monitored and managed continuously.

람사르 습지로 지정된 오대산 습지 중 하나인 질뫼늪 보호구역에서 2007년부터 2011년까지 생태적 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유출수는 연평균 0.80 $m^3/min$이었다. 질뫼늪 보호구역 수질 중 pH는 평균 6.1, EC는 19 ${\mu}S/cm$, 칼륨, 칼슘, 암모늄 등의 양이온과 질산, 그리고 유효 인산 분석 결과 모두 평균 2.0 mg/L 이하였다. 퇴적층은 다른 산지 습지인 용늪이나 왕등재늪에 비하여 덜 발달되었다. 식물상으로는 49과 118속 163종 3아종, 29변종, 6품종으로 163종류가 조사되었으며, 물이끼가 우점하는 장소와 사초기둥에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 II급인 기생꽃이 서식하고 있었다. 식생 조사 결과 질뫼늪 보호구역에 서식하는 식물종은 시기에 따라 분포의 확장과 감소를 반복하면서 우점도의 변화가 나타났다. 질뫼늪은 물이끼를 기반으로 한 이탄습지로서 식물종 다양성 등 그 보존 가치가 뛰어난 것으로 판단되나 보호지역 주변에 위치한 목장 등 잠재적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므로 지속적인 관심과 관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구본학. 2009. 습지 생태학. 조경. p 324.
  2. 국가표준식물목록위원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nature.go.kr/kpni 2012. 1. 30 일 접속.
  3.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관리사무소. 2000.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1차)보고서.
  4.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관리사무소. 2002.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3차)보고서.
  5.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사무소. 2007.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3차년도)보고서.
  6. 국립공원관리공단 오대산사무소. 2008. 오대산 국립공원 습지생태계 모니터링(4차년도)보고서.
  7. 국립공원관리공단 지리산관리사무소. 1999. 지리산 왕등재습지 조사 (수질 및 토양환경) 모니터링 결과보고서(3차).
  8.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국립수목원.
  9. 김재근. 2003. 습지생태계의 보전과 복원. 자연보전 123: 44-54.
  10. 김재근, 박정호, 최병진, 심재한, 권기진, 이양우, 이보아, 주은정. 2004. 생태조사방법론. 보문당.
  11. 김재근. 2009. 오대산 물이끼 이탄습지의 생태특성:I. 소황병산늪. 한국습지학회지 11(1): 15-27.
  12. 대암산 고층습원 생태계 조사단. 1988. 대암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청.
  13. 데일리안 강원. 2010. 강원도내 축산농가 특별 소독 점검 실시. 8월 20일.
  14. 손명원, 박경. 1999. 오대산국립공원 내 질뫼늪의 지형생성과정. 한국지역지리학회지 5(2): 133-142.
  15. 오용자. 2006. 한국산사초아과식물. 성신여대출판부.
  16. 유호상, 공우석. 2001. 정족산 무제치늪의 경관발달. 제사기학회지 15(2): 101-109.
  17. 윤성윤. 2001. 고층습지의 정책방향 및 관리대책. 경남발전연구원 논문집 49: 62-71.
  18. 이기철, 남정칠. 2008. 신불산 고산 습지의 생태적 특성과 관리방안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10(2): 1-14.
  19.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20. 이헌호, 김재훈. 2002. 무제치늪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강우의 유출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39-248.
  21. 진득환. 2006. 습지보전 현황과 대책. 2006 세계 습지의 날 기념 특별 세미나 및 심포지엄 자료집. 해양수산부. 환경부. 순천시. pp. 117-127.
  22. Bray RH, Kurtz LT. 1945. 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and extracted forms of phosphorus in soil. Soil Sciences 59: 39-45. https://doi.org/10.1097/00010694-194501000-00006
  23. Carter MR. 1993.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Lewis Publishers, Florida.
  24. Rydin H, Jeglum JK. 2009. The biology of peatlands. Oxford university press.
  25. Spatt PD, Miller MC. 1981. Growth conditions and vitality of Sphagnum in a tundra community along the Alaska Pipeline HaylRoad. Arctic 34(1): 48-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