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according to Cultivation Activity in River District

하천구역 내 경작활동으로 인한 비점오염물질 유출특성

  • Ahn, Jae Hwan (Environmental E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Yun, Sang Leen (Environmental E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 Kim, Seog Ku (Environmental Eng. Research Division,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 안재환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실) ;
  • 윤상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실) ;
  • 김석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환경연구실)
  • Received : 2012.07.09
  • Accepted : 2012.07.27
  • Published : 2012.07.30

Abstract

The field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NPS) by cultivation activity in river district. Two sites were selected mainly as G region (paddy field, green house), located in Kwangju, Gyeonggi Province, and S region (ordinary field), located in Namyangju, Gyeonggi Province, those belong to Paldang reservoir watershed. The paddy field with water storage capacity showed a slow increase in runoff as rainfall intensity increases. Meanwhile, both green house and ordinary filed revealed a rapid increase. The average BOD runoff concentration of paddy field, green house, and ordinary field was 2.0 mg/L, 2.8 mg/L, 7.9 mg/L,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ordinary field shows the highest value in BOD, SS, T-N, and T-P concentration due to the soil loss during rainfall. As a result of runoff load estimation according to the field, a T-N runoff load of paddy field was 1,793.9 kg/year,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field. It was estimated that a SS runoff load of ordinary field was 69,704 kg/year and accounts for more than 70% of overall runoff load.

본 논문에서는 하천구역 내에서의 경작활동으로 인한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팔당상수원보호구역의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G지역(논, 비닐하우스)과 남양주시의 S지역(노지 밭)을 선정하여 강우 시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담수기능을 갖는 논은 강우강도에 따라 유출유량이 완만한 증감을 나타내어 제내지에 위치한 논의 유출특성과 유사한 현상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비닐하우스와 노지 밭 모두 강우강도에 비례하여 유출유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현상을 보여주었다. 논, 비닐하우스 및 노지 밭의 BOD 평균 유출농도는 각각 2.0 mg/L, 2.8 mg/L, 7.9 mg/L로서 노지 밭의 유출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강우사상에 따른 토양의 유출에 기인하여 SS, T-N 및 T-P 유출농도도 노지 밭이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경작지별 배출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논의 T-N 배출부하량이 1,793.9 kg/year으로 밭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노지 밭의 SS 배출부하량은 69,704 kg/year로 전체 배출부하량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산정되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강수계관리위원회

References

  1. 환경부, "비점오염원 조사연구사업 보고서," (1995).
  2. 정부합동, "팔당호 등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관리 특별종합대책-맑은 한강 새천년의 대계," (1998).
  3. 관계부처합동, "제2차 비점오염원 종합대책('12-'20)," (2012).
  4. 금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하천 제외지 및 호소 수몰지역내 농경지 현황 파악 및 오염기여율 조사," (2007).
  5. 한강수계관리위원회,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한강수계 하천구역내 경작지 현황 파악 및 수체에 미치는 영향 조사," (2008).
  6. 원철희, 신민환, 최용훈, 신재영, 박운지, 최중대, "토양유실 저감을 위한 지표피복재의 적용," 한국물환경학회지, 27(6), 848-854(2011).
  7. C. W. Richardson, and K. W. King, "Erosion and nutrient losses from zero tillage on a clay soil," J. Agric. Eng. Res., 61, 183-189(1995). https://doi.org/10.1006/jaer.1995.1045
  8. D. P. Thoma, S. C. Gupta, J. S. Strock, and J. F. Moncrief, "Tillage nutrient source effects on water quality and crop grain yield from a flat landuse," J. Environ. Qual., 34, 1102-1111(2005). https://doi.org/10.2134/jeq2004.0200
  9. 이현동, 안재환, 김운지, 배철호, "토지이용별 강우 시 비점 오염 물질의 유출특성," 한국물환경학회지, 7(2), 147-156 (2001).
  10. 김희근, 송재준, 이지은 홍순강, 장남익, 김갑순, "강우 시 영산강 둔치에서의 비점오염원 발생현황과 대책에 관한 연구," 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 pp. 83-92(2007).

Cited by

  1. ) in the Jungrang Stream during Rainfall Event vol.36, pp.6, 2014, https://doi.org/10.4491/KSEE.2014.36.6.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