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Case Report of Conversion Disorder with Climacteric Symptoms

갱년기 증후군을 나타낸 전환장애 환자 치험 1례

  • Kim, Ji-Eu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Dong-Shin University) ;
  • Yang, Seung-Jeong (Dept. of Oriental Gynecology, Dong-Shin University) ;
  • Cho, Seong-Hee (Dept. of Oriental Gynecology, Dong-Shin University) ;
  • Yeo, Eun-Ju (Dept. of Oriental Gynecology, Dong-Shin University) ;
  • Park, Kyung-Mi (Dept. of Oriental Gynecology, Dong-Shin University) ;
  • Kim, Kyung-Ok (Dept. of Neuropsychiatry, Collea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김지은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 양승정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 조성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 여은주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 박경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 교실) ;
  • 김경옥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속 순천한방병원 신경정신과)
  • Received : 2012.10.26
  • Accepted : 2012.11.10
  • Published : 2012.11.30

Abstract

Objectives: This case is that of a woman in her late forties who was diagnosed as conversion disorder. She suffered the climacteric while being treated with conversion disorder and the respective symptoms got worse. We investigated whether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is effective in patient with conversion disorder and menopausal symptoms. Methods: The prescription of Banhabaekchulchunma-tang, Gamisoyo-san, Bunsimgieum, acupuncture therapy and moxibustion therapy were used for the treatment. Results: After treatment, the chief complaint and accompanying symptoms were reduced to 40% compared with first visit day. Conclusions: We may conclude that Korean traditional treatment is effective in patients with conversion disorder and menopausal symptoms.

Keywords

References

  1.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정신신경과학. 서울:하나의학사. 1998:197-204, 438-57.
  2. Allen Frances et al.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 4 edition. Wash-ington DC.: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452, 457.
  3.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신경정신의학 2판. 서울:중앙문화사. 2005:247-52.
  4. 대한한방신경정신의학회. 한방신경정신신경과학. 서울:집문당. 2006:82.
  5. 대한한방부인과학회. 한방여성의학(하). 서울:의성당 2012:265, 276.
  6. 정선형 등. 갱년기 장애의 심한 근골격계 통증을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연관지어 고찰한 치험 1례.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8;21(2):252-62.
  7. 김정엽. 중년여성의 자아개념과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997; 3(2):103-16.
  8. 정숙형 등. 갱년기증상에 대한 생활스트레스의 영향. 가정의학회지. 1997;18(2): 147-58.
  9. 대한통증학회. 통증의학(둘째판). 서울:군자출판사. 2000:3.
  10. 민성길. 최신정신의학5판. 서울:일조각. 2007:361-7.
  11. J.R.Brassicc. Conversion disorder In childhood. 2002;5(2):54-61.
  12. 미국정신의학회. 정신장애의 진단 및 통계편람 제4판. 서울:하나의학사. 1995: 588-95.
  13. 전국한의과대학 신경정신과 교과서 편찬위원회. 증보판한의신경정신과학 1판. 서울:집문당. 2010:200, 670, 673,
  14. MARK H. BEERS, M.D et al. THE MERCK MANUAL. 서울:한우리. 2002: 2083
  15. 이윤호 등. 갱년기 증후군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1;8(1): 27-36.
  16. 박현숙. 갱년기 장애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 1993;6(1):84.
  17. 배종면 등. 외래용 스트레스량 측정 도구 개발 연구. 가정의학회지. 1992; 13(10):809-20.
  18. 조여주.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중년여성의 위기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1-68.
  19. 김동욱 등. 생활사건 스트레스와 갱년기 증상. 가정의학회지. 1996;17(10): 869-76.
  20. 양성우, 장준복. 갱년기장애의 한의학적 고찰. 경희의학. 2001;17(1):49-57.
  21. 전현민, 박영숙. MMPI 프로파일 유형들에 따른 자아방어기제의 특성. 한국 심리학학회지. 1995;14(1):191-9.
  22. 한의과대학 방제학 교수 共編著. 方劑學. 서울:영림사. 2006:159.
  23. 정행규 등. 東醫寶鑑. 3. 경남 하동: 동의보감출판사. 2006: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