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a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by Considering Effects of the Dry Period and Rainfall

무강수일수와 강우효과를 고려한 개선된 표준강수지수 개발

  • Lee, Jun-Won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rg., Kyungbook National Univ.) ;
  • Kim, Gwang-Seob (Department of Architecture and Civil Engrg., Kyungbook National Univ.)
  • 이준원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 김광섭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토목공학부)
  • Received : 2012.01.06
  • Accepted : 2012.01.27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A modified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was developed by considering the length of dry period and surface run-off effect. The official reports and newspapers on drought from 1973 to 2009 were quantified to evaluate drought indices. The developed index was evaluated using the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 In order to suggest improved drought index, we cut the precipitation amount that may do not contribute the mitigation of drought and weight dry period by considering cumulative distribution, decile distribution of dry periods. Drought detection capability of the suggested index has improved by weighting of dry period effects and considering precipitation amounts contributing drought mitigation.

본 연구에서는 가뭄의 심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무강수일수를 고려하고, 강수에서 기인하는 지표면유출 효과를 반영한 가뭄해갈에 유효한 강수를 산정하여 기존의 SPI3을 개선한 Modified SPI를 제시하였다. 1973년부터 2009년까지 각종 보고서 및 문헌자료를 통해 실제 발생한 가뭄사례를 수집하여 행정구역별 가뭄공간정보를 생산하고, 동일기간 전국 69개지점에서산정된 가뭄지수를 우리나라 전체 공간으로표현하여각종 지수의 적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ROC 분석을 수행하였다. 개선된 가뭄지수 제시를 위하여 총 강우량 중단기적인 유출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는 부분을 절삭하여 유효강우를 산정하였으며, 월단위의 무강수일수를 십분위, 누적분포함수로 변형하여 기존의 지수에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분석결과 유출량을 고려한 강우의 절삭은 기존의 SPI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가뭄감지능력을 보여주었으며, 무강수일수를 고려한 가뭄지수의 개선은 누적분포함수의 수치를 고려함으로서 상당히 개선된 가뭄감지 능력을 보여주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5).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2. 건설교통부 (2002). 2001년 가뭄기록조사 보고서.
  3. 김수영, 조환범, 이승오, 최민하 (2010). "KoFlux 타워에서 관측된 토양수분 값을 이용한 가뭄지수 활용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0권, 제6B호, pp. 541-549.
  4. 권형중, 박현진, 홍대의, 김성준 (2006). "SWSI 가뭄지수를 보완한 준분포형 수문학적가뭄평가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8호, pp. 645-658.
  5. 김광섭, 이준원(2011). "관측 자료를 이용한 가뭄지수의 평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4권, 제8호, pp. 639-652.
  6. 농업기반공사 (2003).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
  7. 농업기반공사 (2004).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II).
  8. 농업기반공사 (2005). 농업가뭄지표 실용화 및 정보제공방안 연구(최종).
  9. 류소라, 유철상 (2004). "수정 표준강수지수의 제안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7호, pp. 553-567.
  10. 오재호 (1999). 기후학 I. 도서출판 아르케, pp. 259-266.
  11. 유지영, 박종용, 김태웅, 박무종 (2011). "용수과부족지수(WEDI)를 이용한 사회경제학적 가뭄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31권, 제3B호, pp. 253-264.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2). 가뭄관리 종합대책 수립연구.
  13. 한국수자원공사 (2001). 2001년 전국 가뭄조사 보고서.
  14. Heckerling, P.S. (2002). "Parametric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nalysis using mathematica." Computer Methods and Programs in Biomedicine, Vol. 69, pp. 65-73. https://doi.org/10.1016/S0169-2607(01)00179-1
  15.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to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aheim, California, Vol. 17, No. 22, pp. 179-184.
  16. Turkeş, M., and Tath, H. (2009). "Use of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and a modified SPI for shaping the drought probabilities over Turkey." 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RMets, Vol. 29, No. 15, pp. 2270-2282. https://doi.org/10.1002/joc.1862
  17. NOAA(2006). NOAA drought fact sheet. National weather service, pp. 1-3.
  18. Shafer, B.A., and Dezman, L.E. (1982). "Development of surface water supply index to asses the severity of drought condition in snowpack runoff areas." Proc. Westren Snow Conf., pp. 164-175.
  19. VanErkel, A.R., and Pattynama, P.M.T. (1998).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alysis: Basic principles and applications in radiology." European Journal of Radiology, Vol. 27, pp. 88-94. https://doi.org/10.1016/S0720-048X(97)00157-5

Cited by

  1. Estimating Vulnerable Duration for Irrigation with Agricultural Water Supply and Demand during Residual Periods vol.54, pp.5, 2012, https://doi.org/10.5389/KSAE.2012.54.5.1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