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초.중등학교 과학 실험실 및 교수 환경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선호와 실제

Preference and Actuality for Science Laboratory and Teaching Environment of Science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 투고 : 2012.09.27
  • 심사 : 2012.11.23
  • 발행 : 2012.12.31

초록

과학 실험실은 과학에 대한 흥미 유발, 개념 이해의 촉진은 물론 과학 교육의 궁극 목표인 탐구 능력에 효과적인 교육의 장이다. 따라서 교육 과정의 요구를 만족할 수 있는 적절한 실험 실습 기자재 확충, 수업보조 자료, 사회적 지원 등 외적 수업 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수업 환경은 교사의 직접적인 영향력이 발휘되는 영역이며 수업을 주도하는 교사가 가진 수업환경에 대한 인식은 과학 수업의 질을 좌우할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습 태도와 성취도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초 중 고 과학 교사 262명을 대상으로 과학 실험실 및 교수 환경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이들이 선호하는 수업 환경과 실제의 환경은 어떠한지에 대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실험실 및 교수 환경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은 선호에 비해 실제가 낮게 나타나(p<.05), 학교의 실제 수준은 교사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교사의 성별에 따른 선호와 실제 간의 차이는 없었으며, 남 여 교사 모두 선호가 실제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한편, 선호의 경우 모든 하위 영역에서 여교사가 남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셋째, 초 중 고 모든 학교급에서 선호가 실제보다 높게 나타났다(p<.05). 한편, 선호의 경우 모든 하위 영역에서 초등과 고등학교 교사 간 인식에 차이를 보였으며(p<.05), 실제의 경우 '과학 실험실 설비 상태' 영역에서만 초 중학교 교사 간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학교 소재지별로는 세 지역 모두 선호가 실제보다 높았다(p<.05). 또한 선호의 경우 모든 영역에서 소재지별 차이가 없었으나, 실제의 경우 '과학 실험실 설비 상태', '교수 조건과 서비스 지원', '지원 정책과 실천'의 세 가지 영역에서 중 소도시 교사의 인식이 대도시보다 낮게 나타났다(p<.05). 결론적으로 과학 탐구 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선호와 실제 간에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제반 교수 환경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is study carried a survey to investigate teacher's cognition on preference and actuality about science laboratory and class environment targeting 262 science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actuality cognition of science teachers on science laboratory and class environment was lower than preference (p<.05).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between preference and actuality regardless of gender (p<.05). However, the cognition on all of subordinates of preference appeared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p<.05). Third, at all levels of schools, preference is higher than actuality for science laboratory and teaching environment (p<.05). In case of preference, all of the subordinates indicated the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high school teachers (p<.05). On the other hand, in actualit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science laboratory facilities condition' domain only (p<.05). Fourth, the preference was higher than actuality in all school locations (p<.05). And in case of preference, there was no difference in all subordinates regardless of school sites. Whereas the cognition of small-medium city teachers was lower than metropolitan in actuality on the three domains of 'science laboratory facilities condition,' 'teaching condition and service support,' and 'staff policy and practice' (p<.05). As a result, this study informs that upgrading is necessary to achieve inquiry activity in science class in overall teaching environment including science classroom and laborator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