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ing Science Education with Consideration of "Ethics of Care"

"보살핌 윤리"를 적용한 과학 교육 가능성 탐색

  • Received : 2012.04.19
  • Accepted : 2012.06.25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o apply "ethics of care" into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summarized previous studies of care, ethics of care, and caring education. Through a wide range of literature review, we proposed science learning model with ethics of care. This model has steps of 'being in a context of issue, perception of issue-related value, choosing value with ethics of care, feeling empathy to caring subject, experiencing care, and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caring, which are reflected characteristics of ethics of care, contextual, connected, and practical. It is expected that students will be able to solve science-related issues while keeping in mind consideration for nature as a caring subject.

보살핌 윤리를 과학 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살핌과 보살핌 윤리, 보살핌 교육 등에 대한 다양한 문헌을 탐색하여 관련 이론들을 정리했다. 이를 통해 보살핌 윤리를 적용한 과학 학습 모형을 제안했다. 이 모형은 문제 상황 제시, 문제 관련 가치 파악하기, 보살핌 윤리 가치 선택하기, 보살핌 대상에 감정 이입하기, 보살핌 체험하기, 보살핌 효과 확인하기 등의 단계를 가지는데, 맥락성, 관계성, 실천성 등의 보살핌 윤리 철학이 반영되었다. 이 모형을 통해 학생들이 자연을 보살피는 대상으로 고려하고 과학과 관련된 사회 문제 해결 시 보살핌 측면에서 의사 결정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성률, 조병술 (2006). 초등 도덕 교육에서 배려 윤리를 통한 정보 윤리 함양 방안. 초등도덕교육, 21, 33-65.
  2. 곽윤숙 (2008). 유아 교육의 주체로서 어머니와 유아 교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모성과 보살핌의 담론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6), 47-64.
  3. 김민성 (2006). 온라인 상황에서 교수-학생간의 배려 관계 형성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20(2), 363-385.
  4. 김수동 (2002). 배려의 교육적 개념-Noddings 도덕 교육론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22, 25-42.
  5. 김수동 (2004). Noddings의 배려를 위한 대화의 교육적 의미. 교육철학, 32, 45-69.
  6. 김수동 (2003). 배려의 교육 방법-학교에서의 도덕 교육에 대한 여성적 접근. 교육철학, 23, 17-35.
  7. 김추령 (2004). 여성성을 바탕으로 한 보살핌의 윤리와 환경 교육. 이화교육논총, 14, 95-106.
  8. 박병춘 (1999). 보살핌윤리(An ethic of care)의 도덕 교육적 접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201pp.
  9. 박병춘 (2002).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서울: 울력. 208pp.
  10. 박윤복, 김영신, 정완호 (2002). 생물 윤리 의사결정 활동이 고등 학생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54-63.
  11. 신창호 (2001). 배려(caring)의 동양적 의미와 교육적 함의. 안암교육학연구, 7(1-2), 27-43.
  12. 심성보 (1998). 공정한 보살핌의 윤리를 통한 초등 도덕 교과서 분석과 대안적 수업 지도안 구성. 초등도덕교육, 4, 131-158.
  13. 심성보 (1996). '보살핌'의 윤리와 도덕 교육론. 초등교육연구, 9, 1-26.
  14. 양옥승 (2004).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 교육 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4(4), 247-262.
  15. 오기성 (2006). 배려 수업 모형과 사례 연구. 교육 과정평가연구, 9(2), 181-203.
  16. 유재봉, 임정연 (2008). 배려교육론 연구-자유교육론의 대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1(2), 1-21.
  17. 이경숙, 김현숙, 구승혜, 김해옥, 남행주, 민지원, 배은주, 전영희, 최양희 (2009). 배려'와'행복'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년 20주년 기념 하계학술대회, 25-50.
  18. 이나현 (2008). 배려 윤리의 교사 양성 교육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26(1), 127-150.
  19. 이미식 (2001). 정의와 배려의 윤리에 대한 도덕 교육의 함의. 윤리교육연구, 1, 45-59.
  20. 이미식 (2003). 배려의 윤리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1(2), 109-129.
  21. 이미식, 김지태 (2007). 돌봄과 자치의 교실 공동체 만들기. 초등도덕교육, 24, 213-234.
  22. 이병승 (2002). 보살핌 윤리의 정당화 논의. 교육철학, 21, 133-151.
  23. 이숙정 (2008).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성 윤리적 접근. 도덕교육연구, 20(1), 141-168.
  24. 이연수 (2010). 초등 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초등도덕교육, 34, 127-152.
  25. 이옥순 (2002). 나딩스의 보살핌 윤리의 도덕 교육적 성격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학위논문. 147pp.
  26. 이제행, 박채희 (2009). 배려 지향적 관점에서 체육 교육 접근. 홀리스틱교육연구, 13(2), 101-121.
  27. 정옥분, 곽경화 (2003). 배려 지향적 도덕성과 정의 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연구-성과 성역할 정체감 및 연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1), 1-20.
  28. 정은영, 김영수 (2001). 가치 탐구를 위한 생물 수업이"생물 윤리"에 대한 양면 가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3), 203-212.
  29. 정은영, 김영수 (2000). 생물 교육에서의 가치 탐구 모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82-598.
  30. 정창우 (2004). 세계화 시대의 도덕 교육에서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적 접근법 연구. 국민윤리연구, 56, 331-356.
  31. 조성민 (2010).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 교육의 통합적 접근. 윤리철학교육, 14, 15-36.
  32. 조주영 (2008). 새로운 도덕 패러다임으로서의 보살핌 윤리. 한국여성철학, 9, 103-125.
  33. 조희형, 최경희 (1998).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2), 97-108.
  34.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676p.
  35. 진미숙 (2004). 도덕교육론에서 정의-배려 논쟁 재고찰. 교육철학, 26, 155-173.
  36. 최미숙, 윤현숙, 김미진 (2007). 배려 지향적 도덕성의 유아 교사 교육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동교육, 16(2), 71-83.
  37. 최경희, 조희형 (2000). 과학의 윤리적 특성에 대한 교수-학습의 모형과 전략. 생명윤리, 1(1), 123-143.
  38. Brabeck, M. (1993). Moral judgment: Theory and research on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M. J. Larrabee(Eds.), An ethic of care: Feminis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NY: Routledge. 310pp.
  39. Brell, C. D. (1989). Justice and caring and the problem of moral relativism: Reframing the gender question in ethics. Journal of Moral Eduction, 18(2), 97-111. https://doi.org/10.1080/0305724890180203
  40. Brown, L. M., Gilligan, C., & Tappan, M. B. (1995). Listening to different voices. In W. M. Kurtines, & J. L. Gewirtz (Eds.),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Boston: Allyn and Bacon. 548pp.
  41. Bulach, C. R., Brown, C., & Potter, L. (1998). Behaviors that create a caring learning community. Journal for a Just and Caring Education,4(4), 441-453.
  42. Carr, D. & Steutel, J. (1999). Virtue ethics and moral educa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63pp.
  43. Chodorow, N. (1974). Family structure and feminine personality. In M. Z. Rosaldo, & L. Lamphere(Eds.), Woman, culture and socie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352pp.
  44. Chodorow, N. (1978).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3pp.
  45. Daly, M. (1978). Gyn/Ecology: The metaethics of radical feminism. Boston: Beacon Press. 485pp.
  46.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 s developm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84pp.
  47. Held, V. (1995). The meshing of care and justice. Hypatia 10(Spring), 128-132. https://doi.org/10.1111/j.1527-2001.1995.tb01374.x
  48. Hoagland, S. L. (1991). Some thoughts about caring. In C. Card(Eds.), Feminist Ethics. Lawrence, Kansas: University of Kansas Press. 300pp.
  49. Jaggar, A. (1995). Caring as a feminist practice of moral reason. In H. Virginia(Eds.), Justice and care: Essential readings in feminist ethics. Westview Press. 234pp.
  50. Joldersma, C. W. (2009). How can science help us care for nature? Hermeneutics, fragil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earth. Educational Theory, 59(4), 465-483. https://doi.org/10.1111/j.1741-5446.2009.00331.x
  51. Lindahl, M. G. (2010). Of pigs and men: Understanding students'reasoning about the use of pigs as donors for xenotransplantation. Science and Education, 19(9), 867-894. https://doi.org/10.1007/s11191-010-9238-y
  52. Lipman, M. (2003). Thinking in educ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4pp.
  53. Mayeroff, M. (1971). On caring. NY: Harper & Row. 106pp.
  54. Martin, J. R. (1981). The ideal of the educated person. Educational Theory, 31(2), 311-327.
  55. Martin, J. R. (1995). The schoolhome: Rethinking schools for changing famili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48pp.
  56. Martin, M. (1991). Scienc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M. R. Matthews(Eds.),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Selected readings. NY: Teachers College Press. 244pp.
  57. Nahum, T. L., Ben-Chaim, D., Azaiza, I., Herskovitz, O., & Zoller, U. (2010). Does STESoriented science education promote 10th-grade students' decision-making cap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0), 1315-1336. https://doi.org/10.1080/09500690903042533
  58. Noddings, N. (1984). Caring: Feminist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6pp.
  59. Noddings, N. (1992).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191pp.
  60. Noddings, N. (2002). Educating moral people: A caring alternative character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171pp.
  61. Pecore, J., Demetrikopoulos, M., & Frantz, K. (2007). Student-centered deliberations of ethical care and use of animals. American Biology Teacher, 69(7), 416-421. https://doi.org/10.1662/0002-7685(2007)69[416:SDOECU]2.0.CO;2
  62. Rasinski, T. V. (1988). Aspects of a caring reading curriculum. ERIC document ED304671. 10pp.
  63. Stoller, R. J. (1964).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gender ident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5, 220-226.
  64. Tronto, J. (1993). Moral boundaries: A political argument for an ethic of care. NY: Routledge. 226pp.
  65. Zell, S. K. (1998). Ecofeminism and the science classroom: A practical approach. Science and Education, 7(2), 143-58. https://doi.org/10.1023/A:1008654323091
  66. 네이버두산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2865(검색일: 2012. 04. 08.)

Cited by

  1. 다양한 상호작용 기반의 멘토멘티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인성 교육 가능성 탐색 -"과학 선생님 되어보기" 활동을 중심으로- vol.39, pp.1, 2019,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