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문헌
- 강성률, 조병술 (2006). 초등 도덕 교육에서 배려 윤리를 통한 정보 윤리 함양 방안. 초등도덕교육, 21, 33-65.
- 곽윤숙 (2008). 유아 교육의 주체로서 어머니와 유아 교사에 대한 비판적 고찰-모성과 보살핌의 담론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8(6), 47-64.
- 김민성 (2006). 온라인 상황에서 교수-학생간의 배려 관계 형성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심리연구, 20(2), 363-385.
- 김수동 (2002). 배려의 교육적 개념-Noddings 도덕 교육론을 중심으로. 교육철학, 22, 25-42.
- 김수동 (2004). Noddings의 배려를 위한 대화의 교육적 의미. 교육철학, 32, 45-69.
- 김수동 (2003). 배려의 교육 방법-학교에서의 도덕 교육에 대한 여성적 접근. 교육철학, 23, 17-35.
- 김추령 (2004). 여성성을 바탕으로 한 보살핌의 윤리와 환경 교육. 이화교육논총, 14, 95-106.
- 박병춘 (1999). 보살핌윤리(An ethic of care)의 도덕 교육적 접근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201pp.
- 박병춘 (2002). 배려 윤리와 도덕 교육. 서울: 울력. 208pp.
- 박윤복, 김영신, 정완호 (2002). 생물 윤리 의사결정 활동이 고등 학생들의 합리적인 의사결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54-63.
- 신창호 (2001). 배려(caring)의 동양적 의미와 교육적 함의. 안암교육학연구, 7(1-2), 27-43.
- 심성보 (1998). 공정한 보살핌의 윤리를 통한 초등 도덕 교과서 분석과 대안적 수업 지도안 구성. 초등도덕교육, 4, 131-158.
- 심성보 (1996). '보살핌'의 윤리와 도덕 교육론. 초등교육연구, 9, 1-26.
- 양옥승 (2004). 보살핌의 텍스트로서 유아 교육 과정 이해. 유아교육연구, 24(4), 247-262.
- 오기성 (2006). 배려 수업 모형과 사례 연구. 교육 과정평가연구, 9(2), 181-203.
- 유재봉, 임정연 (2008). 배려교육론 연구-자유교육론의 대안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1(2), 1-21.
- 이경숙, 김현숙, 구승혜, 김해옥, 남행주, 민지원, 배은주, 전영희, 최양희 (2009). 배려'와'행복'을 위한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자료 개발.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09년 20주년 기념 하계학술대회, 25-50.
- 이나현 (2008). 배려 윤리의 교사 양성 교육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교육과정연구, 26(1), 127-150.
- 이미식 (2001). 정의와 배려의 윤리에 대한 도덕 교육의 함의. 윤리교육연구, 1, 45-59.
- 이미식 (2003). 배려의 윤리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열린교육연구, 11(2), 109-129.
- 이미식, 김지태 (2007). 돌봄과 자치의 교실 공동체 만들기. 초등도덕교육, 24, 213-234.
- 이병승 (2002). 보살핌 윤리의 정당화 논의. 교육철학, 21, 133-151.
- 이숙정 (2008). 돌봄의 학교공동체 형성을 위한 여성 윤리적 접근. 도덕교육연구, 20(1), 141-168.
- 이연수 (2010). 초등 학생용 배려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초등도덕교육, 34, 127-152.
- 이옥순 (2002). 나딩스의 보살핌 윤리의 도덕 교육적 성격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 학위논문. 147pp.
- 이제행, 박채희 (2009). 배려 지향적 관점에서 체육 교육 접근. 홀리스틱교육연구, 13(2), 101-121.
- 정옥분, 곽경화 (2003). 배려 지향적 도덕성과 정의 지향적 도덕성에 관한 연구-성과 성역할 정체감 및 연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4(1), 1-20.
- 정은영, 김영수 (2001). 가치 탐구를 위한 생물 수업이"생물 윤리"에 대한 양면 가치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9(3), 203-212.
- 정은영, 김영수 (2000). 생물 교육에서의 가치 탐구 모형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82-598.
- 정창우 (2004). 세계화 시대의 도덕 교육에서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의 통합적 접근법 연구. 국민윤리연구, 56, 331-356.
- 조성민 (2010). 정의 윤리와 배려 윤리 교육의 통합적 접근. 윤리철학교육, 14, 15-36.
- 조주영 (2008). 새로운 도덕 패러다임으로서의 보살핌 윤리. 한국여성철학, 9, 103-125.
- 조희형, 최경희 (1998).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육의 원리와 방법.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6(2), 97-108.
-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09). 과학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676p.
- 진미숙 (2004). 도덕교육론에서 정의-배려 논쟁 재고찰. 교육철학, 26, 155-173.
- 최미숙, 윤현숙, 김미진 (2007). 배려 지향적 도덕성의 유아 교사 교육 적용을 위한 탐색적 연구. 아동교육, 16(2), 71-83.
- 최경희, 조희형 (2000). 과학의 윤리적 특성에 대한 교수-학습의 모형과 전략. 생명윤리, 1(1), 123-143.
- Brabeck, M. (1993). Moral judgment: Theory and research on differences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M. J. Larrabee(Eds.), An ethic of care: Feminist and Interdisciplinary perspectives. NY: Routledge. 310pp.
- Brell, C. D. (1989). Justice and caring and the problem of moral relativism: Reframing the gender question in ethics. Journal of Moral Eduction, 18(2), 97-111. https://doi.org/10.1080/0305724890180203
- Brown, L. M., Gilligan, C., & Tappan, M. B. (1995). Listening to different voices. In W. M. Kurtines, & J. L. Gewirtz (Eds.),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Boston: Allyn and Bacon. 548pp.
- Bulach, C. R., Brown, C., & Potter, L. (1998). Behaviors that create a caring learning community. Journal for a Just and Caring Education,4(4), 441-453.
- Carr, D. & Steutel, J. (1999). Virtue ethics and moral education.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263pp.
- Chodorow, N. (1974). Family structure and feminine personality. In M. Z. Rosaldo, & L. Lamphere(Eds.), Woman, culture and society.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352pp.
- Chodorow, N. (1978). The reproduction of mothering.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63pp.
- Daly, M. (1978). Gyn/Ecology: The metaethics of radical feminism. Boston: Beacon Press. 485pp.
-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 s development.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84pp.
- Held, V. (1995). The meshing of care and justice. Hypatia 10(Spring), 128-132. https://doi.org/10.1111/j.1527-2001.1995.tb01374.x
- Hoagland, S. L. (1991). Some thoughts about caring. In C. Card(Eds.), Feminist Ethics. Lawrence, Kansas: University of Kansas Press. 300pp.
- Jaggar, A. (1995). Caring as a feminist practice of moral reason. In H. Virginia(Eds.), Justice and care: Essential readings in feminist ethics. Westview Press. 234pp.
- Joldersma, C. W. (2009). How can science help us care for nature? Hermeneutics, fragility, and responsibility for the earth. Educational Theory, 59(4), 465-483. https://doi.org/10.1111/j.1741-5446.2009.00331.x
- Lindahl, M. G. (2010). Of pigs and men: Understanding students'reasoning about the use of pigs as donors for xenotransplantation. Science and Education, 19(9), 867-894. https://doi.org/10.1007/s11191-010-9238-y
- Lipman, M. (2003). Thinking in education.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304pp.
- Mayeroff, M. (1971). On caring. NY: Harper & Row. 106pp.
- Martin, J. R. (1981). The ideal of the educated person. Educational Theory, 31(2), 311-327.
- Martin, J. R. (1995). The schoolhome: Rethinking schools for changing families.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48pp.
- Martin, M. (1991). Science education and moral education. In M. R. Matthews(Eds.), History, philosophy and science teaching: Selected readings. NY: Teachers College Press. 244pp.
- Nahum, T. L., Ben-Chaim, D., Azaiza, I., Herskovitz, O., & Zoller, U. (2010). Does STESoriented science education promote 10th-grade students' decision-making capab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0), 1315-1336. https://doi.org/10.1080/09500690903042533
- Noddings, N. (1984). Caring: Feminist approach to ethics and moral educ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16pp.
- Noddings, N. (1992). The challenge to care in schools: An alternative approach to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191pp.
- Noddings, N. (2002). Educating moral people: A caring alternative character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171pp.
- Pecore, J., Demetrikopoulos, M., & Frantz, K. (2007). Student-centered deliberations of ethical care and use of animals. American Biology Teacher, 69(7), 416-421. https://doi.org/10.1662/0002-7685(2007)69[416:SDOECU]2.0.CO;2
- Rasinski, T. V. (1988). Aspects of a caring reading curriculum. ERIC document ED304671. 10pp.
- Stoller, R. J. (1964). A contribution to the study of gender ident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Analysis, 45, 220-226.
- Tronto, J. (1993). Moral boundaries: A political argument for an ethic of care. NY: Routledge. 226pp.
- Zell, S. K. (1998). Ecofeminism and the science classroom: A practical approach. Science and Education, 7(2), 143-58. https://doi.org/10.1023/A:1008654323091
- 네이버두산백과사전.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2865(검색일: 2012. 04. 08.)
피인용 문헌
- 다양한 상호작용 기반의 멘토멘티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인성 교육 가능성 탐색 -"과학 선생님 되어보기" 활동을 중심으로- vol.39, pp.1, 2019, https://doi.org/10.14697/jkase.2019.39.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