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일반고 학생들과의 비교 분석을 통한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수준 및 구조 분석

The Analysis of Level and Structure of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Motivation Compared to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 투고 : 2012.03.07
  • 심사 : 2012.07.27
  • 발행 : 2012.08.31

초록

자연과학고는 자연과학과 관련된 직업 교육을 특성화한 고등학교이며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높은 수준의 과학 동기가 요구된다. 이 연구는 자연과학고 학생들과 일반 고등학교의 학생들의 과학 동기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서 자연과학고 학생 193명, 일반고 학생들은 208명이 참여하였다. 참여 학생을 대상으로 직업적 관심, 학습내용의 관련성 인식, 과학 점수 동기, 과학 수업의 필요성, 과학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 자아 효능감, 과학수업의 즐거움의 7개 변인의 수준과 구조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자연과학고 학생들은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7개 동기 요소 모두 낮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과학 점수 동기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에서 가장 큰 차이가 나타났다. 7개 변인간 경로 분석의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일반 고등학교 학생들에 비하여 직업에 대한 관심이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에 대한 영향력이 더 높았으며, 과학 점수에 대한 동기가 수업의 대한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높았다.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자기 의지와 자아 효능감에 관련된 변인의 설명력은 일반 고등학교에 비하여 약 30%가 높았다. 이 결과는 자연과학고 학생들의 과학 동기 구조는 일반 학생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명확하며, 직업에 대한 관심과 과학 점수동기와 같은 외적 동기 요소에 큰 영향력이 있었다.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is specialized in vocational education or training related to natural sciences such as biology or chemistry. Therefor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are expected to possess a high level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This study aims to explor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level and structure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by comparing students in general high school. One hundred ninety three students from a natural science high school and 208 from a general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 administered a questionnaire that consisted of seven science motivation components: 1) career motivation; 2) science grade motivation; 3)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scientific knowledge; 4) need for learning science; 5) self-determination; 6) self-efficacy; and 7) attitudes toward science class. We employed independent t-test, path analysis, bivariate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regression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Our findings illustrated that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levels on all seven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The path analysis illustrated that career motivation and science grade motivation had relatively stronger influence on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in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ample than in the general high student sample. The explanatory powers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career motivation, science grade motivation, understanding the relevance of scientific knowledge, and need for learning science) predicting self-determination and self-efficacy were 30% higher in the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 sample than in the general science high student sampl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natural science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learning motivation may be easier to change by extrinsic motivations such as career and science grade motiva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2009).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9-41호.
  2. 김계수(2007).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3. 김용훈(2010). 이공계 기피현상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위치 재구조화 정 책 방안 연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7(2), 183-202.
  4. 김정석, 권혜련, 장남기(1996a). 과학 학습시 중.고등학생들이 선호하는 동기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47-485.
  5. 김정석, 권혜련, 장남기(1996b). 학습동기 및 학습 전략의 유형에 따른 생물과 수업전략의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4(1), 45-51.
  6. 김진구, 이건남(2010). 농업계 고등학생들의 동일계 대학 전공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 방안 탐색. 직업교육연구, 29(3), 61-83.
  7. 김진홍, 정진수, 박국태, 정진우(2005). ARCS 전략을 적용한 STS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학습 동기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6(3), 175-182.
  8. 박수경, 김영환, 김상달(1996). 동기유발을 위한 ARCS 이론을 적용한 수업이 지구과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4), 429-440.
  9. 박하경, 김선영, 문두호(2010). STS 자료를 활용한 ARCS 수업전략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과학에 대한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생식과 발생 단원을 중심으로 -.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8(4), 570-582.
  10. 박희제(2007). 일반시민들의 과학기술자 직업 선호도 결정요인을 통해 본 이공계 기피현상의 재조명. 한국사회학, 41(6), 142-170.
  11. 백성혜, 김혜경, 채우기, 권균, 노태희(1999).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고려한 개념변화 수업 모형의 효과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2), 305-314.
  12. 서인석(2011). 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직업능력개발연구, 14(2), 1-25.
  13. 안지은, 박지영, 김희백(2011). 과학 수업에서 나타난 예비교사들의 교수 전략 지식과 수업 실행 사이의 차이.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9(4). 608-622.
  14. 윤치원, 하태경, 심규철, 김현섭, 박영철(2005).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학습동기의 수준 비교.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3(1), 104-111.
  15. 이선하, 노일섭, 이양수(1994). 중학교 교사가 본중학생들의 농고 진학 동기. 한국농업교육학회지, 26(3), 67-76.
  16. 이용순, 김선태, 이광호(2006). 실업계 고등학교 명칭 변경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14, 53-70.
  17. 이은경(2006). 이공계 기피 논의를 통해 본 한국과학기술자 사회의 특성. 과학기술학연구, 6(2), 77-102.
  18. 임성민. (2002). 실업계 고등학생의 과학선호도와 인과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92-905.
  19. 주영주, 정영란, 이유경 (2011).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외적동기, 흥미, 과학 과목 성취도의 구조적 관계와 성별에 따른 잠재평균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6), 876-886.
  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방안 연구.
  21.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22. Glynn, S. M., Brickman, P, Armstrong, N., & Taasoobshirazi, G. (2011).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II: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8(10), 1159-1176. https://doi.org/10.1002/tea.20442
  23. Glynn, S. M., Taasoobshirazi, G., & Brickman, P. (2007). Nonscience majors learning science: A theoretical model of mo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 1088-1107. https://doi.org/10.1002/tea.20181
  24. Glynn, S. M., Taasoobshirazi, G., & Brickman, P. (2009).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ation with nonscience majo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2), 127-146. https://doi.org/10.1002/tea.20267
  25. Keith, T. Z. (1993). Causal influences on school learning. In: H. J. Walberg (Ed.), Analytic methods for educational productivity (pp. 21-47). Greenwich, CT: JAI Press.
  26. Keller, J. M. (1987). Development and use of the ARCS model of instructional design. Journal of Instructional Development, 10(3), 2-10. https://doi.org/10.1007/BF02905967
  27. Mathieu, J. E., Martineau, J. W., & Tannenbaum, S. I. (1993). Individual and situational influences on the development of self efficacy: implications for training effectiveness. Personnel Psychology, 46(1), 125-147.
  28. Nolen, S. B., & Haladyna, T. M. (1990). Motivation and studying in high school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7(2), 115-126. https://doi.org/10.1002/tea.3660270204
  29. Phillips, J. M., & Gully, S. M. (1997). Role of goal orientation, ability, need for achievement, and locus of control in the self-efficacy and goal-setting proces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5), 792-802. https://doi.org/10.1037/0021-9010.82.5.792
  30. Pintrich, P. R. (2003). A motivational science perspective on the role of student motivation in learning and teaching context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4), 667-686. https://doi.org/10.1037/0022-0663.95.4.667
  31. Schumacker, R. E., & Lomax, R. G. (1996). A beginner's guide 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ahwah, NJ: Erlbaum.
  32. Simpkins, S. D., Davis-Kean, P. E., & Eccles, J. S. (2006). Math and science motivation: A longitudinal examination of the links between choices and beliefs. Developmental Psychology, 42(1), 70-83. https://doi.org/10.1037/0012-1649.42.1.70
  33. Singh, K., Granville, M., & Dika, S. (2002).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Effects of motivation, interest, and academic engag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5(6), 323-332. https://doi.org/10.1080/00220670209596607
  34. Stake, J. E., & Mares, K. R. (2001). Science enrichment programs for gifted high school girls and boys: Predictors of program impact on science confidence and motiv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10), 1065-1088. https://doi.org/10.1002/tea.10001
  35. Wang, T. L., & Berlin, D. (2010).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to measure Taiwanese elementary students'attitudes toward their science clas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18), 2413-2428. https://doi.org/10.1080/09500690903431561

피인용 문헌

  1. Difference Analysis of School Type Among Self-Efficacy, Parental Support, School Belonging, School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vol.15, pp.3, 2014, https://doi.org/10.15753/aje.2014.15.3.010
  2.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ffect of Gifted Students’ Science Motivation on Science Self-Efficacy vol.21, pp.1,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7.21.1.24
  3. 과학 긍정경험 구성 변인 간의 구조방정식 모형에 관한 연구 vol.37, pp.3,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3.507
  4. 일반계 고등학생과의 비교를 통한 공업계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학습동기 탐색 vol.41, pp.3, 2012, https://doi.org/10.21796/jse.2017.41.3.281
  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 Student Research Activities - Focused on the Prize-Winning Works in the Life Science Field of National Science Fair - vol.46, pp.3, 2018, https://doi.org/10.15717/bioedu.2018.46.3.380
  6. An Exploratory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Motivation in Science: Comparing a STEM Education Program in Korea and the USA vol.43, pp.1, 2019, https://doi.org/10.21796/jse.2019.4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