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주도 만년콩(콩과) 자생지의 식생구조와 보전 방안

Conserv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Euchresta japonica (Leguminosae) in Jeju Island

  • 투고 : 2011.08.10
  • 심사 : 2012.02.08
  • 발행 : 2012.02.29

초록

한라산에 자생하는 위기식물 만년콩의 보전 및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생육지 식물사회학적으로 조사하였다. 만년콩의 자생지는 해발 220 m에 위치하고 경사는 $40-50^{\circ}$로 매우 가파른 암석지대로, 돈네코 계곡의 북사면 일대에 소수의 개체가 불연속적이며 제한적으로 분포하였다. 조사는 만년콩이 확인된 지역($10{\times}20\;m$)과 분포하지 않는 인근지역을 조사하여 비교 하였다. 조사구는 구실잣밤나무 교목층(70-80%)이 수고 10-16 m로 형성되어 33종류의 식물종이 확인되었으며 본 연구에서 확인된 위협 요인으로는 다른 종과 생육지 경쟁에서의 도태, 매우 가파른 자생지의 입지 등 자연적인 요소와 계곡 정비와 같은 인위적인 요소로 판단되었으며, 보전을 위한 현지 내외 보호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hrough investigation of vegetation structure on the Euchresta japonica Hook. f. ex Regel (Korean endangered species) in Mt. Halla in Jeju Island. Very few individuals were discontinuously distributed and restricted at 220 m above sea level, very steep slope ($40-50^{\circ}$), rocky area of north face of Donneko Valley. For investig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 we established $10{\times}20\;m$ quadrat and one control $20{\times}20\;m$ quadrat in the habitats. Thirty three species were found at habitat under 10-16 m Castanopsis sieboldii tree layer (70-80%). The principal causes of threat which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are competition among companies, very steep slopes, artificial management of valley. For restoration and conservation of habitats, it is needed to suitable plans.

키워드

참고문헌

  1. Han, J.W., G.H. Lee, S.G. Yang and S.H. Kang. 2010. Distribution of Megaleranthis saniculifolia Ohwi (Ranunculaceae) in Mt. Halla, Jeju Island. Korean J. Plant Res. 23(2):179-186.
  2. Oh, B.U, J.W. Han, S.K Yang, E.S. Jang, C.G. Jang, Y.Y Kim, S.J. Ji and S.H. Kang. 2009. Flora and vegetation in a habitat of Echinosophora koreensis (Nakai) Nakai (Leguminosae), a Korean endemic plant in Yanggu-gun (Kangwon), Korea -Focused on Jukgok-ri and Hwanggang-ri. J. Korean Env. Res. Tech. 12:19-28.
  3. Raup, D.M. 1986. Biological extinction in the earth history. Science 231:1528-1533. https://doi.org/10.1126/science.11542058
  4. Schemske, D.W., B.C. Husband, M.H. Ruckelshaus, C. Goodwillie, I.M. Parker and J.G. Bishop. 1994. Evaluating approaches to conservation of rare and endangered plants. Ecology 75(3):584-606. https://doi.org/10.2307/1941718
  5. Wolfe, S.C. 1987. World Watch Paper 78, On the Brink of Extinction: Conserving the Diversity of Life. Worldwatch Institute. Washington, DC. p. 53.
  6. 기상청. 2001. 한국기후표. 기상청.
  7. 김영옥, 이신찬. 1985. 한라산의 기후개관. 한라산 천연보호구역 학술조사보고서. 제주도.
  8. 김철수. 2006. 제주도내 멸종위기야생식물의 분포와 식생. 제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박만규. 1975. 한국식물중 절멸 또는 그 위기에 있는 것과 희귀종에 관한조사연구. 자연보존 8:3-24.
  10. 박행신, 김원택. 1981. 제주도 삼림 조류 조사[1] 1. 계곡을 중심으로 본 분포. 제주대학교 논문집 13:151-165.
  11. 서민환, 고강석, 구연봉, 길지현, 오현경, 서상육, 이덕길, 현정오, 신현철, 고정군. 2002. 생태.유전적 특성을 고려한 멸종위기 및 보호야생식물의 보전전략연구II. 국립환경연구원.
  12. 송순영, 김대신, 정세호, 김철수, 오순자, 고석찬. 2009.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 만년콩(Euchresta japonica Hook f. ex Regel)의 액아배양에 의한 기내증식. 2009 한국자원식물학회 학술심포지엄.
  13. 이덕봉. 1957. 제주도의 식물상. 고려대문리논집 2:339-412.
  14. 이영노. 1980. 한라산 돈네코계곡지역 상록활엽수의 수직분포. 자연보존연구보고서 2:5-11.
  15. 이영노. 1981. 한국의 희귀 및 위기식물. 한국의 희귀 및 위기동식물. 한국자연보존협회 pp. 153-217.
  16. 이창복. 1987. 우리나라 희귀식물의 분포현황과 보존대책. 자연보존 59:15-21.
  17.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p. 284.
  18. 환경청. 1989. 특정야생동식물지정고시 제9-5.

피인용 문헌

  1. Population and genetic status of a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in Korea, Euchresta japonica (Leguminosae), and their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vol.56, pp.4, 2013, https://doi.org/10.1007/s12374-013-0106-6
  2. Vegetation Structure of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in South Korea Natural Habitats vol.26, pp.2, 2013, https://doi.org/10.7732/kjpr.2013.26.2.214
  3. Study of Ecological Response of Endangered Sarcandra glabra (Thunb.) Nakai according to Moisture and Nutrient under Condition of Climate Change for Propagation and Restoration vol.32, pp.1, 2018, https://doi.org/10.13047/KJEE.2018.32.1.30
  4. New polymorphic microsatellite markers for Sarcandra glabra (Chloranthaceae), an evergreen broad-leaved shrub endangered in South Korea vol.25, pp.5, 2020, https://doi.org/10.1080/13416979.2020.1783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