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mputing Websites Based on Design Factors and User Emotions

소셜 컴퓨팅 웹사이트의 디자인 및 감성 특성 연구

  • 양의정 (숭실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 황원일 (숭실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 김동수 (숭실대학교 산업정보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12.20
  • Accepted : 2012.01.30
  • Published : 2012.02.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eferred website's design factors. Social computing is driving a dramatic evolution of the Web these days, and a number of users are increasing every day. But many website designers are just focusing on functional aspects of website. Also, there are few studies regarding the social computing website's emotional design. Proper designs of social computing websites could be designed through investigating the websites design factors preferred by users.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investigate websites design factors preferred by users. Website design and user emotion of social computing websites were measured by the questionnaire and 254 people participated. Also, Website design and user emotion of non-social computing websites were measured by same participants, and then comparing results each other. Five design factors and eight emotion factors were derived, and only four out of design factors and three out of emotion factors were found as having significant effects on the satisfaction of social computing website. In addition, different factors in determining user satisfaction when using social computing websites and non-social computing website.

최근 인터넷 사용자간의 상호작용과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하는 소셜 컴퓨팅(Social Computing)이 출현하고, 이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많은 웹 사이트 디자이너들은 웹사이트의 기능적 측면만을 중심으로 웹사이트를 설계하고 있다. 또한 소셜 웹사이트의 감성적 접근에 관한 연구 역시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총 254명의 웹사이트 이용자에 대한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소셜 컴퓨팅 웹사이트와 일반적인 웹사이트에 영향이 있는 디자인 요소와 감성 요소를 도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 5개의 웹사이트 디자인 요인과 8개의 사용자 감성 요인이 도출되었는데, 소셜 컴퓨팅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4개의 디자인 요인과 3개의 감성 요인이 사용자 만족도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일반적인 웹사이트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5개의 디자인 요인과 3개의 감성 요인이 사용자 만족도에 유효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사용자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소는 소셜 컴퓨팅 웹사이트를 사용할 때와 일반적인 웹사이트를 사용할 때 각각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수이, 최동성, 김진우, "무엇이 홈페이지의 감성품질을 결정하는가?", 디자인學硏究, 제15권, 제4호, pp. 97-110, 2002.
  2. 윤다연, 이현주, "웹에서의 감성 디자인이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효과와 영향요인 분석", 디자인學硏究, 제17권, 제1호, pp. 153-162, 2004.
  3. 이구형, "감성과 감정의 이해를 통한 감성의 체계적 측정 평가", 한국감성과학회, 감성과학, 제1권, 제1호, pp. 113-122, 1998.
  4. 이원제, "디지털 시대 속의 아날로그 감성 디자인의 발전과 전망 : Web site 디자인을 중심으로", The Journal of Design, 제12권, pp. 1-10, 2003.
  5. 이정희, "감성 디자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6. 조철희, 이경용, "웹(Web)상의 GUI (Graphical User Interface) 구현을 위한 감성(感性)디자인 활용에 따른 유저빌리티(Usability)의 향상에 관한 연구", The Journal of Design Center, 제9권, pp. 25-35, 2004.
  7. 진위엔, 권종대, 홍정표, 김태호,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유형 분류를 통한 감성척도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감성과학, 제11권, 제4호, pp. 481-488, 2008.
  8. 홍수연, 이현주, 진기남, "웹사이트 사용자 감성유형 분류를 통한 감성척도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감성과학, 제12권, 제1호, pp. 1-10, 2009.
  9. 황원일, "전자상거래 웹사이트의 인지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디자인 요인들", 한국전자거래학회, 한국전자거래학회지, 제13권, 제3호, pp. 137-152, 2008.
  10. Alan Peslak, "A Framework and Implementation of User Interface and Human-Computer Interaction Instruction,"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Education, Vol. 4, pp. 189-205, 2005. https://doi.org/10.28945/272
  11. Catherine McLoughlin, Mark J. W. Lee, "Personalised and self regulated learning in the Web 2.0 era," Australasia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Vol. 26, No. 1, pp. 28-43, 2010.
  12. Chris Charron, Jaap Favier, and Charlene Li, "Social Computing," Forrester Big Idea, 2006.
  13. Dianne Cyr, Joe Ilsever, Carole Bonanni, John Bowes, "Website Design and Culture : An Empirical Investigation," Proceedings for the International Workshop for the Internationalisation of Products and Systems, 2004.
  14. Helmut Prendinger, Mitsuru Ishizuka, "Introducing the Cast for Social Computting : Life-Like Characters," H. Prendinger and M. Ishizuka, editors, Life-like Characters, Tools, Affective Functions and Applications, Cognitive Technologies Series, pp. 3-16, Springer, 2004.
  15. Irwin King, Jiexing Li, and Kam Tong Chan, "A Brief Survey of Computational Approaches in Social Computing,"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Joint Conference on Neural Networks, Atlanta, Georgia, USA, June pp. 14-19, 2009.
  16. Lu Wang, "How Social Network Position Relates to Knowledge Building?," Front. Educ China, Vol. 5, No. 1, pp. 4-25, 2010. https://doi.org/10.1007/s11516-010-0003-4
  17. Manoj Parameswaran, "Social Computing : an Overview', Communications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19, pp. 762-780, 2007.
  18. Manoj Parameswaran, Andrew B Whinston, "Research Issues in Social Computing,"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Vol. 8, No. 6, pp. 336-350, 2007. https://doi.org/10.17705/1jais.00132
  19. Nathan Eagle and Alex Sandy Pentland, "Social Network Computing," UbiComp, LNCS 2864, pp. 289-296, 2003.
  20. Norah Jones, Haydn Blackey, Karen Fitzgibbon, Esyin Chew, "Get out of MySpace!," Computers and Education, Vol. 54, pp. 776-782, 2010. https://doi.org/10.1016/j.compedu.2009.07.008
  21. Pierre Levy, "From social computing to reflexive collective intelligence : The IEML research program," Information Sciences, Vol. 180, pp. 71-94, 2010. https://doi.org/10.1016/j.ins.2009.08.001
  22. Rachael Kwai Fun IP, Christian Wagner, 'Weblogging : A study of social computing and its impact on organizations', Decision Support Systems, Vol. 45, pp. 242-250, 2008. https://doi.org/10.1016/j.dss.2007.02.004

Cited by

  1. Switching Behavior between Social Networking Sites : Exploring The Philippine Case of Friendster Versus Facebook vol.18, pp.3, 2013, https://doi.org/10.7838/jsebs.2013.18.3.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