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on Number and Operations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

  • Kim, Hae-Gyu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Teachers College, Jeju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2.01.19
  • Accepted : 2011.02.10
  • Published : 2012.02.15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Kore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MKT) and compare the results with those obtained by Kwon, Nam, & Kim(2009), so that we can provid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edu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t Korean teachers colleges. For this purpose, we selected the MKT items on number and operations which were adapted for Korean in-service teachers by Kwon et al. The survey consisting of those items was administered to 88 Kore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at teachers college, J University.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respondents,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showed that they already had a sufficient amount of Content Knowledge(CK) on number and operations, but that their level of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KCS) was insufficient. This means we need to strengthen our students' KCS in edu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t our teachers colleges. Second,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in both CK and KCS, of item difficulty felt by the respondents with that by the Kwon et al's in-service teachers. Third, although the respondents valued the MKT items more than the above-mentioned elementary in-service teachers, about 70% of them said the items were never learned at their college. Furthermore, they had different opinions on some of the items from their counterparts'. The suggestions we get here are we need to first consider the results in improving education of elementary mathematics subject at our teachers colleges and second develop MKT items suitable for the situation of Korean schools and curriculums in order to obtain exact estimations of Kore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MKT.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초등 예비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을 분석한 후, 권민성 남승인 김상룡(2009)의 결과들과 비교 분석함으로서 교육대학에서의 초등수학교과 교육을 개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함에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권민성 외에 의해서 한국어로 번안된 수와 연산에 관한 MKT 설문지를 사용하여 J 대학교 교육대학에 재학하고 있는 88명의 초등 예비 교사들을 대상으로 MKT를 측정하고 권민성 외의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들이 수와 연산에 관하여 이미 알고 있는 '내용지식'(CK) 정도는 긍정적이었으나 '내용과 학생에 대한 지식'(KCS) 정도는 부정적으로 나타나 이들의 KCS에 대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CK 및 KCS 문항들에 대한 초등 예비 교사와 교사가 느끼는 문항 난이도는 강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초등 예비 교사들은 교사들보다 교실수업에서 MKT 문항들의 활용성을 더 높게 평가하는데도 불구하고, 약 70%의 초등 예비 교사들은 MKT 문항들이 교육대학에서 배운 내용이 아니라고 응답하였고 일부 문항에 대해서는 교사들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 수행에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예비 교사들의 MKT를 향상시키기 위해 J 대학교 교육대학 초등수학교과교육의 개선이 필요하며 둘째, 우리나라 초등 예비 교사의 MKT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학교와 교육과정에 적합한 MKT 항목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권민성․남승인․김상룡 (2009).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 한 지식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48(4), 399-417.
  2. 김방진․류성림 (2011). 소수의 나눗셈에 대한 교사의 PCK와 실제 수업에의 적용 연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총 제40집, 49-65.
  3. 박경미 (2009). 수학의 교수학적 내용 지식(PCK)에 대한 연구의 메타적 검토.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A 수학교육, 48(1), 93-105.
  4. 서동엽 (2010). 초등수학교육에서 MKT 탐구. 대한수학교육학회 수학교육논총, 제38집, 163-175.
  5. 이현숙 (2011).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과 수업의 실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이현숙․이광호 (2010).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MKT). 대한수학 교육학회 수학교육논총 제38집, 373-387.
  7. 최승현 (2007). 수학과 내용 교수 지식(PCK) 및 수업 컨설팅 연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ORM2007-18-1.
  8. Ball, D. L., Hill, H. C., & Bass, H. (2005). Knowing mathematics for teaching: Who knows mathematics well enough to teach third grade, and how can we decide? American Educator, 14-22 & 43-46.
  9. Ball, D. L., Thames, M. H., & Phelps, G. (2008). Content Knowledge for Teaching.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9(5), 389-407. https://doi.org/10.1177/0022487108324554
  10. Hill, H. C., Schilling, S. G., & Ball, D. L. (2004). Developing measures of teachers' mathematics knowledge for teaching.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5, 11-30. https://doi.org/10.1086/428763
  11. Hill, H. C., Sleep, L., Lewis, J. M., & Ball, D. L. (2007). Assessing teachers' mathematical knowledge. In F. Leste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pp.111-15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2. Piccolo, D. L. (2008). Development of content and pedagogical knowledge for teaching mathematics: A case study of seven middle-grade student teachers. In G. Kulm. (Ed.), Teacher Knowledge and Practice in Middle Grades Mathematics.(pp.87-99). Rotterdam, The Netherlands.: Sense.
  13.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Cited by

  1. 초등학생들의 분수 나눗셈 문제해결 방법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지식 분석 vol.23, pp.2, 2012, https://doi.org/10.30807/ksms.2020.23.2.002
  2. 중등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교수지식(MKT)분석: 정규분포를 중심으로 vol.23, pp.4, 2012, https://doi.org/10.30807/ksms.2020.23.4.001
  3. 수학교사의 대수식 쓰기 지도를 위한 발달에 핵심적인 이해 vol.60, pp.3, 2021, https://doi.org/10.7468/mathedu.2021.60.3.297